목차
1.생애
2.학문적배경
-시대적배경
-사상적배경
3.교육사상의 기초
4.교육사상의 목적
5.교육사상의 내용
6.교육사상의 방법
7.현대교육에 준 영향
- 현대교육의 시사점
- 교육사적 의의
2.학문적배경
-시대적배경
-사상적배경
3.교육사상의 기초
4.교육사상의 목적
5.교육사상의 내용
6.교육사상의 방법
7.현대교육에 준 영향
- 현대교육의 시사점
- 교육사적 의의
본문내용
능한 것이다. 도덕의 원천은 가족끼리의 사랑, 믿음, 감사, 순종에서 비롯된다.
3) 모성의 회복에 대한 일깨움이다.
모성은 천부적인 교사로서 사명의 자각이다. 여성의 천직에 대한 구체적인 각성을 하고 있다. 어머니는 가정을 잘 경영하여 자녀교육을 맡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 한국가정에서 가사노동에 시달리고 있는 주부로서보다 여성의 교사로서 천직자각을 하고 있다. 페스탈로치는 가정의 안방은 중요한 교육의 장이며 출발점으로 보고 있다. 가정은 부모에 의해서 도덕, 지식, 직업에 대한 기초를 이룩해야 한다. 오늘날 어머니의 손에서 보육원 교사의 손으로 옮겨져 점차 어머니의 따뜻한 사랑에서 멀어져 가고 있는 현실에서 모성의 회복은 현대가정에 큰 기여가 될 수 있다.
4) 형식적인 종교교육의 지양
인간과 신 사이의 종교문제는 지식에 의해 해결하기보다는 사랑과 정서에 의해서 해결된다고 보고 있다. 한층 더 나아가서 종교에 근간을 둔 도덕교육의 지향이다. 페스탈로치는 인간이 하나님에 대한 신앙의 부족으로 도덕적 부패가 생긴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페스탈로치는 종교교육을 통한 도덕성의 회복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종교와 도덕이 일치되며 종교가 지향하는 궁극적 목적과 그가 지향하는 사회개조가 일치된다. 이와 같은 종교, 도덕 및 교육의 이념이 통합되는 것은 현대교육의 정신 및 도덕의 가치를 중시해야 한다는 입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
5) 자유와 평등의 정신
페스탈로치는 사회개조사상의 중심을 이룬 이 자유와 평등의 정신은 남녀는 사회적 지위와 법률적 측면에서 자유요 평등이며 특히 여성의 교육적 역할의 중시는 인격적 존중의 정신이 기본이 되어 사회적 자유와 평등이 실현된다. 하류층과 상류층의 인간적인 사회적 평등을 그는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때의 평등은 차별을 통한 평등이다. 자유 역시 순종을 중시하면서 사회정의와 복지사회의 건설을 위해 무제한적 자유에 대한 부정과 이성의 판단에서 오는 절제 있는 자유로운 행위를 강조하고 있다. 버림받고 소외당한 인간에게도 신이 준 아름다운 인간성이 있고 그들도 인간답게 살 권리가 있으므로 빈민, 하류계층, 고아, 불량아도 인간성은 도야해서 인간답게 살도록 교육의 기회도 평등하게 제시되어야하고 국가적 배려와 이익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자유와 평등의 정신이 기초되어 있을 때 사회정의가 실현되고 복지사회가 건설될 수 있다는 것이 페스탈로치의 입장이다.
이러한 사회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 사회적인 도덕사회의 건설을 갈망한 페스탈로치의 사상은 민주교육을 실천하는 데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2). 교육사적 의의
1) 민중의 전인교육
페스탈로치의 교육이념 중에서 가장 귀하고, 가장 높이 평가받아야 하는 것이 바로 민중 교육이다. 민중을 새 역사의 주인으로 일깨워주기 위한 전인교육론을 이름이다. 이념은‘국 민교육’,‘민족교육’이념으로 발전하면서 근대 국민국가, 민족국가의 가장 중요한 이념으로 정립되었다. 그 이유는 근대의 국가는 민족을 그 기본단위로 하는 민족국가이기 때문이다. 근대국가들은 거의 헌법의 교육조항에, 모든 계층의 교육, 교육의 기회균등, 일반기초교육, 무상교육, 그리고 더러는 교육용어로서의 국어 중시 혹은 국가에 대한 충성심 함양 등을 노래하고 있는데, 바로 이 민중의 전인교육의 역사를 개척한 사람이 페스탈로치이다.
2) 국민 문화 함량
교육을 가정, 학교, 사회교육이란 세 기둥으로 국민문화 정립, 국민 덕성교육으로 정립한 사람도 페스탈로치이다. 이와 같은 국민문화도야론은 현대에 와서는‘평생교육론'으로 크게 발전하고 있다.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인간답게 살수 있는 전인 교육을 위한 학습사회의 건설, 현대의 인격분열(인간소외) 현상을 극복하려는 인간화 교육, 현 체제의 불평등과 차별이 파고드는 학교교육의 한계를 극복하자는 탈학교교육, 그리고 지배계층이 독점적으로 누려 온 '고급문화'를 국민모두가 즐길 수 있는 국민문화 혹은 민중문화로 이어주자는 문화의 민주화, 등등 이 모든 문화의 민주화운동의 뒤에, 우리가 알던 모르던, 실은 그의 민중문화 함양의 논리가 깔려 있는 것이다.
3) 교육적 인간학 체계
교육을 식물의 재배나 동물의 훈련 혹은 길들이기와는 결정적으로 다른, 예를 들면, 자유, 정의, 진리 등의 동경하는 사람으로 키워주는 인간성지향교육으로 보았다. 이것은 1950년대 이후 독일을 중심으로 그게 발전하여, 이제는 온 세계의 이론과 실천에 엄청난 영향을 주게 된 교육적 인간학, 또는 같은 뜻인 인간학적 교육학이다.
3) 모성의 회복에 대한 일깨움이다.
모성은 천부적인 교사로서 사명의 자각이다. 여성의 천직에 대한 구체적인 각성을 하고 있다. 어머니는 가정을 잘 경영하여 자녀교육을 맡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 한국가정에서 가사노동에 시달리고 있는 주부로서보다 여성의 교사로서 천직자각을 하고 있다. 페스탈로치는 가정의 안방은 중요한 교육의 장이며 출발점으로 보고 있다. 가정은 부모에 의해서 도덕, 지식, 직업에 대한 기초를 이룩해야 한다. 오늘날 어머니의 손에서 보육원 교사의 손으로 옮겨져 점차 어머니의 따뜻한 사랑에서 멀어져 가고 있는 현실에서 모성의 회복은 현대가정에 큰 기여가 될 수 있다.
4) 형식적인 종교교육의 지양
인간과 신 사이의 종교문제는 지식에 의해 해결하기보다는 사랑과 정서에 의해서 해결된다고 보고 있다. 한층 더 나아가서 종교에 근간을 둔 도덕교육의 지향이다. 페스탈로치는 인간이 하나님에 대한 신앙의 부족으로 도덕적 부패가 생긴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페스탈로치는 종교교육을 통한 도덕성의 회복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종교와 도덕이 일치되며 종교가 지향하는 궁극적 목적과 그가 지향하는 사회개조가 일치된다. 이와 같은 종교, 도덕 및 교육의 이념이 통합되는 것은 현대교육의 정신 및 도덕의 가치를 중시해야 한다는 입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
5) 자유와 평등의 정신
페스탈로치는 사회개조사상의 중심을 이룬 이 자유와 평등의 정신은 남녀는 사회적 지위와 법률적 측면에서 자유요 평등이며 특히 여성의 교육적 역할의 중시는 인격적 존중의 정신이 기본이 되어 사회적 자유와 평등이 실현된다. 하류층과 상류층의 인간적인 사회적 평등을 그는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때의 평등은 차별을 통한 평등이다. 자유 역시 순종을 중시하면서 사회정의와 복지사회의 건설을 위해 무제한적 자유에 대한 부정과 이성의 판단에서 오는 절제 있는 자유로운 행위를 강조하고 있다. 버림받고 소외당한 인간에게도 신이 준 아름다운 인간성이 있고 그들도 인간답게 살 권리가 있으므로 빈민, 하류계층, 고아, 불량아도 인간성은 도야해서 인간답게 살도록 교육의 기회도 평등하게 제시되어야하고 국가적 배려와 이익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자유와 평등의 정신이 기초되어 있을 때 사회정의가 실현되고 복지사회가 건설될 수 있다는 것이 페스탈로치의 입장이다.
이러한 사회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 사회적인 도덕사회의 건설을 갈망한 페스탈로치의 사상은 민주교육을 실천하는 데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2). 교육사적 의의
1) 민중의 전인교육
페스탈로치의 교육이념 중에서 가장 귀하고, 가장 높이 평가받아야 하는 것이 바로 민중 교육이다. 민중을 새 역사의 주인으로 일깨워주기 위한 전인교육론을 이름이다. 이념은‘국 민교육’,‘민족교육’이념으로 발전하면서 근대 국민국가, 민족국가의 가장 중요한 이념으로 정립되었다. 그 이유는 근대의 국가는 민족을 그 기본단위로 하는 민족국가이기 때문이다. 근대국가들은 거의 헌법의 교육조항에, 모든 계층의 교육, 교육의 기회균등, 일반기초교육, 무상교육, 그리고 더러는 교육용어로서의 국어 중시 혹은 국가에 대한 충성심 함양 등을 노래하고 있는데, 바로 이 민중의 전인교육의 역사를 개척한 사람이 페스탈로치이다.
2) 국민 문화 함량
교육을 가정, 학교, 사회교육이란 세 기둥으로 국민문화 정립, 국민 덕성교육으로 정립한 사람도 페스탈로치이다. 이와 같은 국민문화도야론은 현대에 와서는‘평생교육론'으로 크게 발전하고 있다.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인간답게 살수 있는 전인 교육을 위한 학습사회의 건설, 현대의 인격분열(인간소외) 현상을 극복하려는 인간화 교육, 현 체제의 불평등과 차별이 파고드는 학교교육의 한계를 극복하자는 탈학교교육, 그리고 지배계층이 독점적으로 누려 온 '고급문화'를 국민모두가 즐길 수 있는 국민문화 혹은 민중문화로 이어주자는 문화의 민주화, 등등 이 모든 문화의 민주화운동의 뒤에, 우리가 알던 모르던, 실은 그의 민중문화 함양의 논리가 깔려 있는 것이다.
3) 교육적 인간학 체계
교육을 식물의 재배나 동물의 훈련 혹은 길들이기와는 결정적으로 다른, 예를 들면, 자유, 정의, 진리 등의 동경하는 사람으로 키워주는 인간성지향교육으로 보았다. 이것은 1950년대 이후 독일을 중심으로 그게 발전하여, 이제는 온 세계의 이론과 실천에 엄청난 영향을 주게 된 교육적 인간학, 또는 같은 뜻인 인간학적 교육학이다.
추천자료
[진로교육]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필요성,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목적, 초등...
과학영재(과학기술영재) 특성과 판별절차,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 목적, 과학영재교...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의미와 목적,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필요성과 실태, ICT(정...
전래놀이교육(전통놀이학습, 민속놀이지도)의 의미, 전래놀이교육(전통놀이학습, 민속놀이지...
기악교육(기악지도, 기악수업, 기악학습) 정의와 목적, 기악교육(기악지도, 기악수업, 기악학...
과학과교육과정(과학교육과정)의 성격과 목적, 과학과교육과정(과학교육과정)의 설정배경, 과...
도덕과교육(수업, 학습)의 특성, 도덕과교육(수업, 학습)의 목적, 도덕과교육(수업, 학습)의 ...
과학과학습(수업, 교육) 목적과 구성주의적 관점, 과학과학습(수업, 교육) 도서관 활용과 개...
사회과(사회과교육) 목적, 사회과(사회과교육) 교육관과 정보화, 사회과(사회과교육) 수준별...
재량활동(교육과정) 개정배경과 기본이론, 재량활동(교육과정) 목적과 편성방향, 재량활동(교...
국어과교육과정(국어교육과정)의 목적, 국어과교육과정(국어교육과정)의 기본방향, 국어과교...
바른생활지도(바른생활교육)의 원리, 바른생활지도(바른생활교육) 목적, 바른생활지도(바른생...
도덕과(수업, 교육) 특성, 도덕과(수업, 교육) 목적, 도덕과(수업, 교육) 정의적 접근, 도덕...
[예절][예절교육][예절지도]예절의 의미, 예절의 종류, 예절교육(예절지도)의 목적, 예절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