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분 균형
(1) 수분 섭취와 배설의 균형
(2) 수분 균형 조절 작용
2. I&O 기록 방법과 원칙
(1) 수분 섭취량 기록 시
(2) 수분 배설량 기록 시
(1) 수분 섭취와 배설의 균형
(2) 수분 균형 조절 작용
2. I&O 기록 방법과 원칙
(1) 수분 섭취량 기록 시
(2) 수분 배설량 기록 시
본문내용
기저귀의 소변이나 설사, 옷이나 침대 시트의 토물, 젖은 드레싱의 상처배액, 기타 등은 계산할 필요가 있을 때 추가한다.
-심한 발한은 특히 대상자의 옷 또는 침대보가 젖었을 때 배설량으로 기록되어야 한다.
-과도 호흡은 배설량으로 기록되어야 한다. (호흡의 깊이와 횟수를 기록한다.
-눈금 있는 측정도구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 되어야 한다.
-우리 몸 안의 배설량의 기준이 되는 것은 소변량이다. 눈에 보이지 않은 수분의 손실은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일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소변량을 정확히 측정함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1 시간당 25cc미만이나 500cc이상은 정상이 아니다.
-튜브를 통한 배출액은 정확히 잴 수 있으나 상처를 통한 배출액은 거즈의 수를 세어서 기록할 수 있다.
-심한 발한은 특히 대상자의 옷 또는 침대보가 젖었을 때 배설량으로 기록되어야 한다.
-과도 호흡은 배설량으로 기록되어야 한다. (호흡의 깊이와 횟수를 기록한다.
-눈금 있는 측정도구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 되어야 한다.
-우리 몸 안의 배설량의 기준이 되는 것은 소변량이다. 눈에 보이지 않은 수분의 손실은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일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소변량을 정확히 측정함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1 시간당 25cc미만이나 500cc이상은 정상이 아니다.
-튜브를 통한 배출액은 정확히 잴 수 있으나 상처를 통한 배출액은 거즈의 수를 세어서 기록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