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토론식 교수법과 토의식 교수법의 이해
1. 토론식 교수법
2. 토의식 교수법
Ⅱ. 토의법의 종류
1. 교사 중심의 토의 학습 종류(비형식적 토의)
2. 학생 중심의 토의 학습 종류(형식적 토의)
Ⅲ. 토론토의 교수법의 절차 및 유의점
1.토론수업 절차 및 유의점
2. 토의수업의 절차 및 유의점
Ⅳ. 토론토의교수법의 실제
1. 토론 수업의 실태
2. 토론토의 수업의 실제 사례
3. 개선점 및 결론
Ⅰ. 토론식 교수법과 토의식 교수법의 이해
1. 토론식 교수법
2. 토의식 교수법
Ⅱ. 토의법의 종류
1. 교사 중심의 토의 학습 종류(비형식적 토의)
2. 학생 중심의 토의 학습 종류(형식적 토의)
Ⅲ. 토론토의 교수법의 절차 및 유의점
1.토론수업 절차 및 유의점
2. 토의수업의 절차 및 유의점
Ⅳ. 토론토의교수법의 실제
1. 토론 수업의 실태
2. 토론토의 수업의 실제 사례
3. 개선점 및 결론
본문내용
%) (중4-중학생 25명 중 16%/고1-고등학생 25명 중 4%) // 학급회의 2명(4%) // 특활1명 (2%)
4. 토론 토의 수업시간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길러다고 생각합니까?
1. 많이 길러졌다 - 5명(10%) (중4-중학생 25명 중 16%/고1-고등학생 25명 중 4%)
2. 조금 길러졌다 - 19명(38%) (중10-중학생 25명 중 40% /고9-고등학생 25명중 36%)
3.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 24명(48%) (중11-중학생 25명 중 44%/고13-고등학생 25명 중 52%)
4. 오히려 더 저하되었다 - 1명(2%) (중1-중학생 25명 중 4%/고0)
기타-1(2%) (중0/고1-고등학생 25명 중 4%
5. 토론 토의 수업시간을 통해 다양한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습관이 길러졌다고 생각하는가?
1. 많이 길러졌다 - 4명(8%) (중4-중학생 25명 중 16%/고0)
2. 조금 길러졌다 - 19명(38%) (중9-중학생 25명 중 36%/고10-고등학생 25명 중 40%)
3. 별로 달라진것이 없다 - 24명(48%) (중11-중학생 25명 중 44%/고13-고등학생 25명 중 52%)
4. 오히려 더 저하되었다 - 0명 (중0/고0)
기타-1명(2%) (중0/고1-고등학생 25명 중 4%)
6. 토론 토의 수업을 할 때 규칙을 알고 잘 지키는 편인가?
1. 매우 잘 알고 지킨다 - 8명(16%) (중5-중학생 25명 중 20%/고3-고등학생 25명 중 12%)
2. 대체로 알고있고 지키는 편이다 - 33명(66%) (중17-중학생 25명 중 68%/고16-고등학생 25명 중 64%)
3. 잘 모르고 지키지 않는다 - 2명(4%) (중1-중학생 25명 중 4%/고1-고등학생 25명 중 4%)
4. 잘 알지만 지키지 않는다 - 4명(8%) (중1-중학생 25명 중 4%/고3-고등학생 25명 중 12%)
기타) 규칙이 있는지도 몰랐다 - 1명(2%) (중/고)
7. 토론 토의 수업을 할 때 잘 참여하는가?
1.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 5명(10%) (중 4-중학생 25명 중 16%/고 1-고등학생 25명 중 4%)
2. 잘 참여하는 편이다 - 25명(50%) (중 15-중학생 25명 중 60%/고 10-고등학생 25명 중 40%)
3. 잘 참여하지 않는다 - 16명(32%) (중 5-중학생 25명 중 20%/고 11-고등학생 25명 중 44%)
4.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 - 3명(6%) (중 2-중학생 25명 중 8%/고 1-고등학생 25명 중 4%)
기타-내용이 생각날때만 참여
8. 참여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1. 할 말이 없어서 - 4명(8%) (중 1-중학생 25명 중 4%/고 3-고등학생 25명 중 12%)
2. 부끄러워서 - 2명(4%) (중 1-중학생 25명중 4%/고 1-앞과 같음)
3. 뻔한 내용일 것 같아서 - 6명(12%) (중 2-중학생 25명 중 8%/고 4-고등학생 35명 중16%)
4. 무엇을 하는지 잘 몰라서- 2명(4%) (중 1-중학생 25명 중 4%/고 1-앞과 같음)
5. 지루해서- 9명(18%) (중 3-중학생 25명 중 12%/고 6-고등학생 25명 중 24%)
6. 기타- 2명(4%) (중 2-중학생 25명 중 8%/고 0)
9. 토론을 할 때 어느 정도의 규모로 했습니까?
1. 소규모 그룹으로 나누어서 하였다 (4~7명) - 28명(56%) (중 12-중학생 25명 중 48%/고 16-고등학생 25명 중 64%)
2. 반 전체가 둘로 나누어 참여했다 - 17명(34%) (중 10-중학생 25명 중 40%/고 7-고등학생 25명 중 28%)
3. 반에서 대표만 몇명 뽑아서 했다 - 4명(8%) (중 2-중학생 25명 중 8%/고 2-앞과 동일)
10. 앞으로 토론수업을 한다면 어떤 과목에서?
1. 국어 -26명(52%) (중 16-중학생 25명 중 64% /고 10-고등학생 25명 중 40%)
2. 영어 -11명(22%) (중6-중학생 25명 중 24% /고 5-고등학생 25명 중 20%)
3. 수학 -6명(12%) (중 4-중학생 25명 중 16%/고 2-고등학생 25명 중 8%)
4. 사회 -23명(46%) (중 10-중학생 25명 중 40%/고 13-고등학생 25명 중 52%)
기타-많은과목 진로와 집업, 정치나 경제 (사형제도 등)<-고등학생 의견
11. 토론 토의 수업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만약 그렇다면 어떤 부분에서 도움이 될 것 같은가?
1. 반 분위기가 좋아진다 -10명(20%) (중 8-중학생 25명 중 32%/고 2-고등학생 25명 중 8%)
2. 생각지 못했던 부분을 토론을 통해서 알게된다 -29명(58%) (중 11-중학생 25명 중 44%/고 18-고등학생 25명 중 72%)
3. 내용 기억이 더 잘난다 -11명(22%) (중 5-중학생 25명 중 20%/고 6-고등학생 25명 중 24%)
4. 재미있다 -3명(6%) (중2 -중학생 25명 중 8%/고1-고등학생 25명 중 4%)
12. 앞으로도 토론,토의 수업을 했으면 좋겠는가?
1. 예 -24명(48%) (중 12-중학생 25명 중 48%/고 12-앞과 동일)
2. 아니오 -26명(52%) (중14-중학생 25명 중 56% /고12-고등학생 25명 중 48%)
3)통계-교사위주
발췌논문-중등학교 과학과목에서 토의토론 학습 수업의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장인숙淑明女子大學校2003
서울 경기 지역의 5개 중학교와 2개의 고등학교에서 34명을 대상으로 연구
3. 개선점 및 결론
많은 학생들이 토의토론을 통해서 학습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답하였고, 교사들 또한 실제 환경에서 토의, 토론 교수법을 별로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공통적인 이유로는 학생들이 토의수업에 참여하는 정도가 부족하고 표현능력, 토의학습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고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반면 토의식 토론식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도 학생들과 교사들 사이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토의식, 토론식 수업의 효과를 실제로 나타낼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 토론 토의 수업시간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길러다고 생각합니까?
1. 많이 길러졌다 - 5명(10%) (중4-중학생 25명 중 16%/고1-고등학생 25명 중 4%)
2. 조금 길러졌다 - 19명(38%) (중10-중학생 25명 중 40% /고9-고등학생 25명중 36%)
3.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 24명(48%) (중11-중학생 25명 중 44%/고13-고등학생 25명 중 52%)
4. 오히려 더 저하되었다 - 1명(2%) (중1-중학생 25명 중 4%/고0)
기타-1(2%) (중0/고1-고등학생 25명 중 4%
5. 토론 토의 수업시간을 통해 다양한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습관이 길러졌다고 생각하는가?
1. 많이 길러졌다 - 4명(8%) (중4-중학생 25명 중 16%/고0)
2. 조금 길러졌다 - 19명(38%) (중9-중학생 25명 중 36%/고10-고등학생 25명 중 40%)
3. 별로 달라진것이 없다 - 24명(48%) (중11-중학생 25명 중 44%/고13-고등학생 25명 중 52%)
4. 오히려 더 저하되었다 - 0명 (중0/고0)
기타-1명(2%) (중0/고1-고등학생 25명 중 4%)
6. 토론 토의 수업을 할 때 규칙을 알고 잘 지키는 편인가?
1. 매우 잘 알고 지킨다 - 8명(16%) (중5-중학생 25명 중 20%/고3-고등학생 25명 중 12%)
2. 대체로 알고있고 지키는 편이다 - 33명(66%) (중17-중학생 25명 중 68%/고16-고등학생 25명 중 64%)
3. 잘 모르고 지키지 않는다 - 2명(4%) (중1-중학생 25명 중 4%/고1-고등학생 25명 중 4%)
4. 잘 알지만 지키지 않는다 - 4명(8%) (중1-중학생 25명 중 4%/고3-고등학생 25명 중 12%)
기타) 규칙이 있는지도 몰랐다 - 1명(2%) (중/고)
7. 토론 토의 수업을 할 때 잘 참여하는가?
1.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 5명(10%) (중 4-중학생 25명 중 16%/고 1-고등학생 25명 중 4%)
2. 잘 참여하는 편이다 - 25명(50%) (중 15-중학생 25명 중 60%/고 10-고등학생 25명 중 40%)
3. 잘 참여하지 않는다 - 16명(32%) (중 5-중학생 25명 중 20%/고 11-고등학생 25명 중 44%)
4.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 - 3명(6%) (중 2-중학생 25명 중 8%/고 1-고등학생 25명 중 4%)
기타-내용이 생각날때만 참여
8. 참여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1. 할 말이 없어서 - 4명(8%) (중 1-중학생 25명 중 4%/고 3-고등학생 25명 중 12%)
2. 부끄러워서 - 2명(4%) (중 1-중학생 25명중 4%/고 1-앞과 같음)
3. 뻔한 내용일 것 같아서 - 6명(12%) (중 2-중학생 25명 중 8%/고 4-고등학생 35명 중16%)
4. 무엇을 하는지 잘 몰라서- 2명(4%) (중 1-중학생 25명 중 4%/고 1-앞과 같음)
5. 지루해서- 9명(18%) (중 3-중학생 25명 중 12%/고 6-고등학생 25명 중 24%)
6. 기타- 2명(4%) (중 2-중학생 25명 중 8%/고 0)
9. 토론을 할 때 어느 정도의 규모로 했습니까?
1. 소규모 그룹으로 나누어서 하였다 (4~7명) - 28명(56%) (중 12-중학생 25명 중 48%/고 16-고등학생 25명 중 64%)
2. 반 전체가 둘로 나누어 참여했다 - 17명(34%) (중 10-중학생 25명 중 40%/고 7-고등학생 25명 중 28%)
3. 반에서 대표만 몇명 뽑아서 했다 - 4명(8%) (중 2-중학생 25명 중 8%/고 2-앞과 동일)
10. 앞으로 토론수업을 한다면 어떤 과목에서?
1. 국어 -26명(52%) (중 16-중학생 25명 중 64% /고 10-고등학생 25명 중 40%)
2. 영어 -11명(22%) (중6-중학생 25명 중 24% /고 5-고등학생 25명 중 20%)
3. 수학 -6명(12%) (중 4-중학생 25명 중 16%/고 2-고등학생 25명 중 8%)
4. 사회 -23명(46%) (중 10-중학생 25명 중 40%/고 13-고등학생 25명 중 52%)
기타-많은과목 진로와 집업, 정치나 경제 (사형제도 등)<-고등학생 의견
11. 토론 토의 수업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만약 그렇다면 어떤 부분에서 도움이 될 것 같은가?
1. 반 분위기가 좋아진다 -10명(20%) (중 8-중학생 25명 중 32%/고 2-고등학생 25명 중 8%)
2. 생각지 못했던 부분을 토론을 통해서 알게된다 -29명(58%) (중 11-중학생 25명 중 44%/고 18-고등학생 25명 중 72%)
3. 내용 기억이 더 잘난다 -11명(22%) (중 5-중학생 25명 중 20%/고 6-고등학생 25명 중 24%)
4. 재미있다 -3명(6%) (중2 -중학생 25명 중 8%/고1-고등학생 25명 중 4%)
12. 앞으로도 토론,토의 수업을 했으면 좋겠는가?
1. 예 -24명(48%) (중 12-중학생 25명 중 48%/고 12-앞과 동일)
2. 아니오 -26명(52%) (중14-중학생 25명 중 56% /고12-고등학생 25명 중 48%)
3)통계-교사위주
발췌논문-중등학교 과학과목에서 토의토론 학습 수업의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장인숙淑明女子大學校2003
서울 경기 지역의 5개 중학교와 2개의 고등학교에서 34명을 대상으로 연구
3. 개선점 및 결론
많은 학생들이 토의토론을 통해서 학습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답하였고, 교사들 또한 실제 환경에서 토의, 토론 교수법을 별로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공통적인 이유로는 학생들이 토의수업에 참여하는 정도가 부족하고 표현능력, 토의학습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고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반면 토의식 토론식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도 학생들과 교사들 사이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토의식, 토론식 수업의 효과를 실제로 나타낼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통일교육]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방법, 학교통일교육의 실제, 통일교육의 문제점, 통...
[효도]효(효도)의 어원, 효(효도)의 의미, 효사상(효도사상)의 유래, 효사상(효도사상)의 이...
[부모교육][부모지도]부모의 역할 고찰 및 부모교육(부모지도)의 개념과 필요성, 부모교육(부...
환경교육의 개념, 성격, 목적과 환경교육의 교수학습유형과 교수학습방법, 현장체험환경교육...
블룸 교수학습이론(완전학습이론) 정의와 배경, 블룸 교수학습이론(완전학습이론) 목표와 인...
체육과교육(수업, 학습)의 특성과 비교이론, 체육과교육(수업, 학습)의 동향, 체육과교육(수...
[인권교육][인권지도][인권존중][인권침해]인권교육의 목적, 인권교육의 의의, 인권교육의 실...
[노인교육][일본 노인교육 사례][노인복지]노인교육의 의의, 노인교육의 목적, 노인교육의 발...
EBS교육방송의 의의, EBS교육방송의 목적, EBS교육방송의 기능, EBS교육방송의 효과, EBS교육...
[유아음악교육][유아교육][유치원교육][음악교육]유아 음악교육의 의의, 유아 음악교육의 중...
근대 소설 교육의 실제 -박종화 아랑의 정조- [아랑의 정조 작품 미리 읽어오기][아랑의 정...
아동미술교육의 실제 (아동 미술교육의 원리, 형식, 특성, 방법, 그리기 활동 영역과 지도, ...
영유아 건강교육 방법의 다양한 접근에 대해 설명하고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지도의 각 실제 ...
[국어과교육] 어휘 지도 전략 (어휘 지도의 중요성, 어휘 및 어휘력의 개념, 어휘 지도의 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