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의를 이용한 교육방법의 이론과 실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론토의를 이용한 교육방법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토론식 교수법과 토의식 교수법의 이해
1. 토론식 교수법
2. 토의식 교수법

Ⅱ. 토의법의 종류
1. 교사 중심의 토의 학습 종류(비형식적 토의)
2. 학생 중심의 토의 학습 종류(형식적 토의)

Ⅲ. 토론토의 교수법의 절차 및 유의점
1.토론수업 절차 및 유의점
2. 토의수업의 절차 및 유의점

Ⅳ. 토론토의교수법의 실제
1. 토론 수업의 실태
2. 토론토의 수업의 실제 사례
3. 개선점 및 결론

본문내용

%) (중4-중학생 25명 중 16%/고1-고등학생 25명 중 4%) // 학급회의 2명(4%) // 특활1명 (2%)
4. 토론 토의 수업시간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길러다고 생각합니까?
1. 많이 길러졌다 - 5명(10%) (중4-중학생 25명 중 16%/고1-고등학생 25명 중 4%)
2. 조금 길러졌다 - 19명(38%) (중10-중학생 25명 중 40% /고9-고등학생 25명중 36%)
3.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 24명(48%) (중11-중학생 25명 중 44%/고13-고등학생 25명 중 52%)
4. 오히려 더 저하되었다 - 1명(2%) (중1-중학생 25명 중 4%/고0)
기타-1(2%) (중0/고1-고등학생 25명 중 4%
5. 토론 토의 수업시간을 통해 다양한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습관이 길러졌다고 생각하는가?
1. 많이 길러졌다 - 4명(8%) (중4-중학생 25명 중 16%/고0)
2. 조금 길러졌다 - 19명(38%) (중9-중학생 25명 중 36%/고10-고등학생 25명 중 40%)
3. 별로 달라진것이 없다 - 24명(48%) (중11-중학생 25명 중 44%/고13-고등학생 25명 중 52%)
4. 오히려 더 저하되었다 - 0명 (중0/고0)
기타-1명(2%) (중0/고1-고등학생 25명 중 4%)
6. 토론 토의 수업을 할 때 규칙을 알고 잘 지키는 편인가?
1. 매우 잘 알고 지킨다 - 8명(16%) (중5-중학생 25명 중 20%/고3-고등학생 25명 중 12%)
2. 대체로 알고있고 지키는 편이다 - 33명(66%) (중17-중학생 25명 중 68%/고16-고등학생 25명 중 64%)
3. 잘 모르고 지키지 않는다 - 2명(4%) (중1-중학생 25명 중 4%/고1-고등학생 25명 중 4%)
4. 잘 알지만 지키지 않는다 - 4명(8%) (중1-중학생 25명 중 4%/고3-고등학생 25명 중 12%)
기타) 규칙이 있는지도 몰랐다 - 1명(2%) (중/고)
7. 토론 토의 수업을 할 때 잘 참여하는가?
1.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 5명(10%) (중 4-중학생 25명 중 16%/고 1-고등학생 25명 중 4%)
2. 잘 참여하는 편이다 - 25명(50%) (중 15-중학생 25명 중 60%/고 10-고등학생 25명 중 40%)
3. 잘 참여하지 않는다 - 16명(32%) (중 5-중학생 25명 중 20%/고 11-고등학생 25명 중 44%)
4.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 - 3명(6%) (중 2-중학생 25명 중 8%/고 1-고등학생 25명 중 4%)
기타-내용이 생각날때만 참여
8. 참여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1. 할 말이 없어서 - 4명(8%) (중 1-중학생 25명 중 4%/고 3-고등학생 25명 중 12%)
2. 부끄러워서 - 2명(4%) (중 1-중학생 25명중 4%/고 1-앞과 같음)
3. 뻔한 내용일 것 같아서 - 6명(12%) (중 2-중학생 25명 중 8%/고 4-고등학생 35명 중16%)
4. 무엇을 하는지 잘 몰라서- 2명(4%) (중 1-중학생 25명 중 4%/고 1-앞과 같음)
5. 지루해서- 9명(18%) (중 3-중학생 25명 중 12%/고 6-고등학생 25명 중 24%)
6. 기타- 2명(4%) (중 2-중학생 25명 중 8%/고 0)
9. 토론을 할 때 어느 정도의 규모로 했습니까?
1. 소규모 그룹으로 나누어서 하였다 (4~7명) - 28명(56%) (중 12-중학생 25명 중 48%/고 16-고등학생 25명 중 64%)
2. 반 전체가 둘로 나누어 참여했다 - 17명(34%) (중 10-중학생 25명 중 40%/고 7-고등학생 25명 중 28%)
3. 반에서 대표만 몇명 뽑아서 했다 - 4명(8%) (중 2-중학생 25명 중 8%/고 2-앞과 동일)
10. 앞으로 토론수업을 한다면 어떤 과목에서?
1. 국어 -26명(52%) (중 16-중학생 25명 중 64% /고 10-고등학생 25명 중 40%)
2. 영어 -11명(22%) (중6-중학생 25명 중 24% /고 5-고등학생 25명 중 20%)
3. 수학 -6명(12%) (중 4-중학생 25명 중 16%/고 2-고등학생 25명 중 8%)
4. 사회 -23명(46%) (중 10-중학생 25명 중 40%/고 13-고등학생 25명 중 52%)
기타-많은과목 진로와 집업, 정치나 경제 (사형제도 등)<-고등학생 의견
11. 토론 토의 수업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만약 그렇다면 어떤 부분에서 도움이 될 것 같은가?
1. 반 분위기가 좋아진다 -10명(20%) (중 8-중학생 25명 중 32%/고 2-고등학생 25명 중 8%)
2. 생각지 못했던 부분을 토론을 통해서 알게된다 -29명(58%) (중 11-중학생 25명 중 44%/고 18-고등학생 25명 중 72%)
3. 내용 기억이 더 잘난다 -11명(22%) (중 5-중학생 25명 중 20%/고 6-고등학생 25명 중 24%)
4. 재미있다 -3명(6%) (중2 -중학생 25명 중 8%/고1-고등학생 25명 중 4%)
12. 앞으로도 토론,토의 수업을 했으면 좋겠는가?
1. 예 -24명(48%) (중 12-중학생 25명 중 48%/고 12-앞과 동일)
2. 아니오 -26명(52%) (중14-중학생 25명 중 56% /고12-고등학생 25명 중 48%)
3)통계-교사위주
발췌논문-중등학교 과학과목에서 토의토론 학습 수업의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장인숙淑明女子大學校2003
서울 경기 지역의 5개 중학교와 2개의 고등학교에서 34명을 대상으로 연구
3. 개선점 및 결론
많은 학생들이 토의토론을 통해서 학습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답하였고, 교사들 또한 실제 환경에서 토의, 토론 교수법을 별로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공통적인 이유로는 학생들이 토의수업에 참여하는 정도가 부족하고 표현능력, 토의학습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고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반면 토의식 토론식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도 학생들과 교사들 사이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토의식, 토론식 수업의 효과를 실제로 나타낼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6.12.22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42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