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사에 관하여-논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락사에 관하여-논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안락사의정의
2.2 안락사의 유형
2.2.1 생존의 윤리성에 따른 분류
2.2.1.1. 자비사
2.2.1.2. 존엄사
2.2.1.3. 도태사
2.2.2. 시행자의 행위에 따른 분류
2.2.2.1. 소극적 안락사
2.2.2.2. 간접적 안락사
2.2.2.3. 적극적 안락사
2.2.3. 생명주체의 의사에 따른 분류
2.2.3.1. 자의적 안락사
2.2.3.2. 비임의적 안락사
2.2.3.3. 타의적 안락사
2.3. 안락사의 정당성 논의
2.3.1. 안락사 정당화 반대사유
2.3.2. 안락사 정당화 찬성사유
2.4. 안락사에 대한 각국의 입장
2.4.1. 미국
2.4.2. 영국
2.4.3. 호주
2.4.4. 프랑스
2.4.5. 독일
2.4.6. 일본
2.4.7. 네덜란드
2.4.8. 스위스
2.4.9. 우리나라

3. 결론

본문내용

가족의 경제적 사정이 악화되는 경우 소생이 불가능한 환자를 안락사 시킴으로써 다수의 가족이 경제적으로 고통을 덜 수 있다면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정당화 될 것이다. 한 사람의 존엄성이 중요하듯이 그의 가족 여러 명의 인간답게 살 권리 또한 중요하기 때문이다. 소수의 희생이 때로는 필요하다.
이처럼 안락사가 과연 정당한 것인가 혹은 정당하지 못한 것인가 하는 물음에 답이 바로 나올 수는 없다. 인간의 생명과 죽음에 관한 문제이므로 성급한 결론을 내려서는 안 되며, 어떠한 경우이든 인간의 존엄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만일 선택할 수 있다면 편안한 죽음을 맞이하고자 할 것이다. 그러나 편안한 죽음이란 도대체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출산을 관리하듯이 죽음을 관리하는 것이 인간으로서의 존엄일 것이다. 죽음은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죽음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인간을 따라 다니는 사건이다. 사람은 나이를 먹으면 더욱 죽음에 대한 문제를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죽음에 대한 관심은 대체로 우리들의 깊은 의식 속에 잠재해 있다가 죽음과 관련된 사건이 일어날 때만 표면으로 튀어나온다. 누구나 죽음은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말하고, 또 죽음은 삶의 일부라고 얘기하면서도 이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한다. 죽음과 죽는 것은 우리 문화 속에서 너무나 오랫동안 하나의 금기 사항으로 되어 왔다. 환자가 죽어 빈 침대가 되었을 때, 누가 ‘그 자리의 주인은 어디 갔냐고 물으면’ ‘갔다’ 혹은 ‘떠났다’고 대답한다. 마치 회복되어 집으로 간 것 같이 말한다. 의사들도 환자가 말기에 이른 사실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나 임종이 가까워지는 말기 환자는 죽는다는 사실이 밝혀짐으로써 소외감을 덜 느낀다고 한다. 공개적으로 얘기함으로써 공포를 덜 느낀다고 한다. 죽음을 피할 수 없을 때 그것을 수용하도록 이야기하는 것은 환자에게 체념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죽음을 알게 되면 환자는 누구보다는 자신의 인생을 멋지게 마무리하려고 할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쉬쉬되고 금기시 되는 것이 아니라, 공론화 되어 서로 토론할 수 있는 분위기가 되어서 인간의 존엄성이 최대한 보호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문국진: 장기이식과 죽음의 정의, 생명윤리와 안락사, 어문각, 1982.
2. 프란시스 A. 쉐퍼, C. 에버레트 쿠프: 안락사: 인간, 그 존엄한 생명, 라브리, 1988.
3. 김민철: 뇌사문제와 장기이식: 누가들의 세계, 한국누가회, 1991.
4. 낙태에 대한 우리의 입장, 낙태와 생명윤리, 반낙태 세미나 자료집, 1990.
5. 이인수: 뇌사도 죽음이다, 목회와 신학, 1990.
6. 맹용길: 하나님이 인정하시는 죽음은 심장사다, 목회와 신학, 1990.
7. 김일수: 법은 아직 심장사다, 목회과 신학, 1990.
8. 오도광: 장기이식과 생명의 연장, 이웃과 생명을, 사랑의 장기기증운동본부, 1991.
9. 박상은: 생명윤리문화, 예수시대, 1991.
10. 李建鎬, 안락사, 사법행정 제5호, 1964.
11. 李相鎭, 뇌사에 의한 장기이식에 관한 법적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12. 李承珍, 뇌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13. 이영균, 죽음의 정의 - 심폐사 및 뇌사-, 1992.
14. 李宇根, 안락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15. 鄭錫煥, 안락사에 관한 윤리적 고찰,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5.
16. 정양운, 안락사의 문제점, 법조 제16권 2호, 1963.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12.28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5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