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음식을 할 때 설명서만 읽고 외운다고 해서 맛좋은 음식이 저절로 나오는 것은 아니다. 설명서를 활용하면서 직접 해보아야 하는 것이다. 교육도 마찬가지이다. 교육학의 이론들을 그냥 읽고 외우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에게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더 맛좋은 수업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 질 문 ※
① 생활지도를 ‘개인들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주위 세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조력 해 주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는데, 그렇다면 생활지도와 상담의 차이점은 무엇 입니까?
② 현재 7차 교육과정이 진행되고 있는데, 각 학교에서 그 교육과정에 맞게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까?
③ ②번에 더하여 앞으로 8차 교육과정은 어떠한 측면에서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고 생각하십니까?
※ 질 문 ※
① 생활지도를 ‘개인들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주위 세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조력 해 주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는데, 그렇다면 생활지도와 상담의 차이점은 무엇 입니까?
② 현재 7차 교육과정이 진행되고 있는데, 각 학교에서 그 교육과정에 맞게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까?
③ ②번에 더하여 앞으로 8차 교육과정은 어떠한 측면에서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고 생각하십니까?
추천자료
대학원 교육학개론 요약
[교육학개론] 학교 교육에서의 ‘체벌’에 대한 심층 고찰
'기독교교육학개론' - 기독교 학교교육
[특수교육학개론] 13장 의사소통장애아 교육
[특수교육학개론] 정신지체아의 정의, 분류, 정신지체아 교육, 진단과 평가, 정신지체아 원인...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의 4가지 대표적 사조에 관해서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
[교육학개론] 학벌타파 가능한가? - 개인의 창조성과 열정을 높이 평가하는 미래사회를 위하여
[교육학개론 과제] 내가 꿈꾸는 교사의 모습
[교육학개론] 철학의 연구영역의 이해 (존재론(ontology), 인식론(epistemology), 가치론(axi...
[교육학개론] 사회의 기능과 교육 (사회의 기능과 교육의 관계가 어떤 것인가?)
[교육학개론] 블룸(B. S. Bloom)의 완전학습을 위한 교수전략
[교육학개론] 잠재적 교육과정(manifest curriculum)의 이해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 실존주의 교육 - 실존주의의 철학적 배경, 실존주의의 인간관, ...
[교육학개론] 캐롤의 학교학습모형의 이해(학습자의 적성, 학습자의 수업 이해력, 학습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