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발달, 운동학습, 운동제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동발달, 운동학습, 운동제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Motor development
1. 정 의
2. 운동발달의 영향
3. 신경의 조직과 발달 활동적인 유기체 개념
4. 운동패턴의 개념

* Motor learning
1. 정의
2. 동기와 운동수행
3. 운동학습의 단계

* Motor control
1. 정의
2. 폐쇄회로체계
3. 개방회로체계

본문내용

문제는 빠른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오류탐지, 수정 결정, 수정개시를 할 동안에 동작이 이미 끝나 버린다는 것이다. 폐쇄회로 이론은 빠른 운동을 설명하는 데 적합하지 못하다.
4) 반사적인 폐쇄회로 제어
① 수정에 필요한 잠재 시간: 운동감각적 피드백을 정보처리단계를 통하여 처리해야 한다면 150∼200msec 동안에는 동작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주의집중이 필요한 폐쇄회로 과정에 의하여 설명되는 것보다 훨씬 빨리 수정되는 운동이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와 같은 수정이 척수의 반사에 의한 제어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② 반사적인 수정에 대한 주의집중의 필요성: 반사적인 수정은 신속하게 일어나지만 주의가 필요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매우 빠르게 변화에 반응하고 있다는 것이다.
③ 반사에 의한 수정: 위치 및 압력의 변화에 대한 수정은 사람이 감지할 수 없을 정도로 미세하다. 이러한 사실은 이러한 종류의 수정 작업이 정보처리단계나 주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반사작용에 의하여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3. 개방회로체계
1) 개방회로체계의 개념
개방회로체계는 지시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 그것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없이 실행되는 체계를 말한다. 특, 개방회로체계는 피드백에 크게 관여되지 않는다. 실행기와 효과기는 폐쇄회로체계와 같은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피드백 회로와 정확성 참조준거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즉, 실행은 계획되어 있어서 특정한 시간에 효과기에 명령을 보내고 오차가 있을 때에도 효과기는 수정하지 않고 명령을 수행한다.
2) 개방회로체계의 실험적 증거
운동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된다는 것을 증명한는 방법.
· 구심성 신경 차단하여 피드백이 없어도 운동수행에 별다른 지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는 방법.
· 인간은 피드백 정보를 처리하고 동작을 수정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밝혀 환경에서 일어난 상황을 수정할 가능성이 없이 운동이 일어난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방법
① 피드백 회로를 차단하는 접근방법-감각정보(구심성 신경)의 전달경로를 차단하는 방법일시적 차단방법
· 압대기법-구심성 신경이 척수로 되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피험자의 팔이나 손목 부위에 혈압대를 두르고 심장혈압보다 높게 부풀리어20∼22분 동안 지속시키면 신경이 얇은 구심성 신경은 산소부족으로 임펄스의 전달을 중단하게 되는데, 원심성 신경은 굵기 때문에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는 원리를 이용
· 부마취법-구심성 신경의 집합소에 마취제를 투여하여 구심성 신경의 활동을 차단시키는 방법
· 영구적 차단방법: 실험 대상이 동물인 경우에 외과적인 수술을 통하여 구심성 신경을 영원히 단절하는 방법
〈이 차단기법을 이용한 연구〉
동물 대상 실험
· Wilson(1961): 메뚜기의 구심성 신경 단절, 날개운동이 정상상태보다 횟수와 진폭이 줄어들었으나 날개운동의 박자와 운동의 유형이 정확하였다고 보고함
· Taub, Berman(1968): 원숭이의 구심성 신경을 외과적인 수술 통하여 제거, 걸음걸이와 잡는 동작에 큰 지장 초래하지 않음을 발견
인간 대상 실험
· Provins(1958): 손가락 관절에 마취제 투입하여 구심성 신경 차단, 운동의 정확성이 감소할 뿐 운동능력에는 이상이 없었음
♤ 결론- 피드백 정보가 운동의 정확성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운동 등의 발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기제는 아니다.
② 피드백 처리의 어려움을 밝혀 수정의 가능성 없이 운동 일어난다는 것 증명- 200msec 이하의 빠른 운동 과제 사용
〈이 증명의 연구〉
· Henry, Harrison(1961): 피험자에게 대퇴옆에 있는 스위치에 손 대고 있다가 경고등이 켜지면 가능한 빨리 전상방으로 움직여 오른쪽 어깨 방향에 있는 줄에 손 대도록 하였음, 그런데 다른 불이 켜지면 줄에 손을 대지 말거나 반응을 느리게 해야 하는 실험
· Slater-Hammel(1960): 피험자들이 1초당 1회전하는 시계를 보면서 시계바늘이 정확하게 8시 20분(시작으로부터 800msec 후)을 가리키는 순간 스위치에서 손을 떼어 정지시키도록 하는 실험
♤ 결론- 매우 빠른 운동을 수행할 때 정보의 처리와 사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특히 200msec 이하의 운동일 때 다른 운동수행을 위한 지시가 있어도 피드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심각한 의문이 생기게 된다. 사전에 구조화 된 운동 프로그램에 의해 운동이 수행된다는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1.04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