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지도안 ((생활국어 2-2) 4,글쓰기와 다듬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지도안 ((생활국어 2-2) 4,글쓰기와 다듬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대단원 개관

Ⅱ. 단원 학습 목표

Ⅲ. 전 학년 학습 내용과의 관련

Ⅳ. 단원 학습 계획

Ⅴ. 단원의 구성과 활동영역

Ⅵ. 지도상의 유의점

Ⅶ. 대단원 지도 절차

Ⅷ. 대단원 평가계획

Ⅸ. 본시 지도안

본문내용

본 두 가지 활동에 대해 오늘 우리가 무엇을 했는지 물어본다.
평가 자료를 나누어 주고
적어 넣게 한다.
평가 자료에 대한 답을 맞춰 보고 오늘 한 내용에 대해 다시 언급한다.
글의 목적, 그리고 예상독자에 따라 글이 달라질 수 있음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앞서 이루어졌던 활동들을 상기시킨다.
글의 목적, 예상 독자가 글쓰기의 중요 변인임을 알았다면, 다음 시간에는 이를 토대로 실제적 글쓰기를 해보기로 한다.
글의 목적과 예상독자에 따라 글쓰기가 달라진다고 말한다.
평가지를 받아들고 열심히 적는다.
오늘 배웠던 내용을 되새기며 내일 할 학습내용을 생각해본다.
강의식
5'
형성
평가
1.글을 읽고 목적이 무엇인지 적어 봅시다.(평가 자료 제시)
2.글을 읽고, 예상독자가 누구인지 적어 봅시다. (평가 자료 제시)
3.글은 무엇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지 말해 봅시다.
판서
계획
4.글쓰기와 다듬기
(1) 정확하게 쓰기
글의 목적
예상독자
☞ 글이 어떻게 될까요?
평가자료①
반 번 이름
언젠가 가족들끼리 무심천 가로수 길을 걸은 적이 있었다.
길 한 편에 무심천 유래비를 보고 무심천의 이름에 대해 알게 되었다.
물에 빠진 아이를 안고 무심하게 흘러가는 물이라서 무심천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부모님 어릴 적에는 무심천은 맑고 깨끗하여 수영을 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옛날 무심천의 깨끗한 물은 어디로 갔는지 지금은 예전의 모습을 찾을 수
없는 오염된 하천이 되어 버렸다.
‘무심천’의 이름처럼 ‘무심’으로 우리는 무심천을 대하고 있는 것 같다.
무심천을 사랑하지 않으며, 무시해 버리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무심천이 이렇게 된 것이 아닐까? 우리는 이 점을 곰곰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대답은 하나이다. 무관심이 아닌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관심과 실천으로,
무심천을 물고기 떼가 자유롭게 헤엄치고 아이들이 뛰어 놀 수 있는 푸른 하천으로
변화시킬 수는 것이다. 우리들의 관심과 노력으로 무심천이 인제 아무도 찾지
않는 오염된 하천이 아니라, 구리의 자랑거리인 푸른 하천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글을 읽고, 목적이 무엇인지 적어 봅시다.
평가 자료 ②
반 번 이름
국내외적으로 유난히 다사다난했던 20세기는 막을 내리고, 변화의 회오리가 예측되는 21세기가 열렸습니다. 모두가 알다시피 21세기는 세계화, 정보화 사회로 규정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21세기에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세계를 책임지고 주도할 역군입니다. 지금은 건전한 정신과 신념을 가지고 모든 문제를 스스로 책임지고 해결하여 나갈 수 있는 인간적인 성장이 요구되는 시기입니다. 여러분의 바람직한 성장을 위하여 두 가지 당부의 말을 합니다.
첫째, 여러분은 20~30년 앞은 내다보고 자기 관리를 하는 진취적인 기상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배움에는 끝이 없고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알고 터득한다는 것은 누구나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에 적어도 자기의 전공 분야만큼은 최고가 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둘째, 도덕적인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부모님의 은혜를 항상 마음에 새기고, 또 주변에서 자신에게 도움을 준 모든 분들께 그 은혜에 보답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가난하고 불쌍한 사람과 이웃을 도와주고, 남의 잘못을 너그럽게 용서하는 관용의 생활을 합시다.
여러분은 10여 년 뒤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21세기의 세계를 주도할 우리 사회의 꿈이요, 이상 실현의 계승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은 자신의 정체 의식을 확립하여 모든 일에 더욱 새롭고 발전적인 투지의 한국인으로 거듭나서 자신과 나라 발전에 기여하는 당당하고 자랑스러운 한국인으로 성장하기를 간곡히 당부합니다.
★위 글의 예상독자가 누구인지 적어 봅시다.
예상독자:
이유:
활동지
반 번 이름
(가)
(나)
우리말 사랑은 구호만을 앞세운다고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말의 규범을 지키는 일이 비록 사소해 보일지도 모르지만, 이러한 작고 섬세한 부분에서부터 우리말 사랑을 실천해 나가야 한다. 규범에 맞게 쓰기 위한 과정에서 무심코 저지르는 작은 실수는 있을 수 있겠지만, 그것이 몇 번이나 되풀이된다면, 그때는 실수가 아니라 우리말에 무관심한 사람이라는 소리를 듣게 된다. 우리 자신은 그 동안 우리말 규범 지키기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또 어떤 자세로 실천하고 있는지 반성해 보아야 하겠다.
문법에 맞는 언어생활을 실천하는 일도 중요한 우리말 가꾸기이다. 우리 주변에서는 문법에 어긋나는 문장이 흔히 발견된다. 그 사례들을 먼저 살펴보자.
‘한 가지 소득이 있다면, 그것은 한 달 만에 만나는 친구들이 너무 변했음을 알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부정확한 문장은 읽는 사람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주게 된다. 이런 문장으로 이루어진 글은 내용이 아무리 그럴 듯하다고 하더라도 모범적인 글로 평가되기가 어렵다.
‘새말’이란 이미 있었거나, 새로 생겨난 개념 혹은 사물을 표현하기 위해 지어낸 말, 그리고 이미 있던 말이라도 새 뜻이 주어진 것을 통틀어 일컫는다. 다른 언어로부터 사물과 함께 차용되는 외래어도 여기에 포함된다. 또, 새말은 전에 없던 개념이나 사물을 표현하기 위한 필요 때문에 대부분 생겨나지만, 이미 있던 개념이나 사물일지라도 그것을 표현하던 말들의 표현력이 감소됐을 때, 그것을 보강하거나 신선한 새 맛을 가진 말로 바꾸기 위한 대중적 욕구에 의해서도 생겨난다. 광복 후, 우리나라에서는 국어를 정화 혹은 순화하기 위해 많은 새말을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새말은 그 구성 재료에 따라 완전히 새롭게 창조된 뿌리로 된 것과 이미 있던 말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 진 것이 있다. 또, 새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외국어로부터의 차용어가 있다. 완전히 새로운 뿌리가 창조되는 일은 그리 흔하지 않다. 있다고 해도 의성어나 의태어 계통인 것이 많다. 6·25 전쟁 때 처음으로 미군 제트 전투기가 등장했다. 이제트기는 당시에 어느 비행기보다도 빨랐으며, 눈 깜짝할 사이에 ‘쌕쌕’ 소리를 내며 사라져 갔다. 그때 사람들은 이 비행기를 ‘쌕쌕이’라고 했다.
★ (가)와 (나)의 글의 목적은 각각 무엇일 까요?
가)
나)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1.05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7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