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단체협약의 종료
3. 당사자의 변경
4. 단체협약 종료후의 근로관계
5. 마치며
2. 단체협약의 종료
3. 당사자의 변경
4. 단체협약 종료후의 근로관계
5. 마치며
본문내용
, 단체교섭 및 조합사무실제공, 숍조항, 노동조합의 전임자에 관한 사항, 평화의무조항 등의 채무적 부분은 협약의 종료와 함께 효력을 상실하게 된다(1995.5.8, 노조01254-524).
5. 마치며
이상에서 단체협약의 종료와 이후의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집단적 노사관계에서는 단체협약의 성립과 이를 통한 노사관계의 규율이 노사관계의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할 것이므로 노사당사자간의 적극적인 교섭 및 협약체결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무협약상태로 인한 혼란은 노사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야기할 가능성이 많고, 무협약상태에서의 협약적용에 대한 소모적 논란보다는 한시라도 더 빨리 신협약을 체결하는 것이 노사 모두에게 득이 될 것이다.
5. 마치며
이상에서 단체협약의 종료와 이후의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집단적 노사관계에서는 단체협약의 성립과 이를 통한 노사관계의 규율이 노사관계의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할 것이므로 노사당사자간의 적극적인 교섭 및 협약체결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무협약상태로 인한 혼란은 노사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야기할 가능성이 많고, 무협약상태에서의 협약적용에 대한 소모적 논란보다는 한시라도 더 빨리 신협약을 체결하는 것이 노사 모두에게 득이 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단체협약 위반행위에 대한 처벌규정의 입법방안
[판례 평석]해고무효확인등
연봉제의 개념과 국내 기업의 도입사례
공인노무사 2차 서브노트 (노동법 2)
노동관련사건 발생시 분쟁처리 절차에 대하여
노동법상 노조의 해산
기업 인사적체 해소 방안으로써 직급정년제 도입의 법적 제반 문제점 검토
조정제도의 활성화 전반에 대한 개정 노동법상 검토
단체협약을 통해 본 3사의 교섭력 - 현대차, 대우차, 쌍용차
근로관계종료 후의 근로자 보호
단체협약의 효력확장
(단체교섭) 단체협약의 의의와 효력, 단체교섭의 유형
정년제의 실태와 그 법적평가 그리고 임금피크제
2018년도 취업규칙(개정된 노동관련 법률 적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