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문학교육][아동문학][문학교육][문학지도]아동 문학교육을 통해 본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문학교육적 의미,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 체계, 아동 문학교육,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아동문학, 문학교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 문학교육][아동문학][문학교육][문학지도]아동 문학교육을 통해 본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문학교육적 의미,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 체계, 아동 문학교육,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아동문학, 문학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문학교육적 의미

Ⅲ.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 체계

Ⅳ. 아동 문학교육
1. 정서적 안정감
2. 사회성 개발
3. 민족애와 민족 이상 고취

Ⅴ.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Ⅵ. 결론

본문내용

작품을 분석하여 지엽적인 문법 문제나 한자, 문학 이론, 수사법, 특정한 문학사적 지식 등을 가르치지 말아야 한다. 또한 그럴 필요도 없다. 학생들도 그런 것을 더 이상 중요한 사실로 오인하여 암기하는 헛된 노력을 중단해야 한다. 당연히 고등학교의 평가에서도 그런 문제는 모조리 추방되어야 한다. 그리고,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준하는 문제의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이런 노력없이 문학 교육이 정상화될 수 없고, 국어 교육이 제 자리를 찾을 수 없다. 물론, 많은 수의 학생을 지도하며, 또다른 여러 잡무에 시달리는 교사에게 이런 주문은 무리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병원에 갈 시간이 없다고 아픈 몸을 그대로 놔 둘 수 없듯이 잘 못 되어 국어 교육을 귀찮다고, 힘들다고, 방치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이상에서 논의한 네 가지 해결 방향은 어쩌면 또 다른 공론일지도 알 수 없다. 그렇지만, 나라 전체가 변화를 받아 들여야 하고, 고교 교육 전반이 바뀌어야 할 당위성이 있으며, 문학 교육이 개선될 필요성을 인정한다면 아무리 어렵고 힘들더라도, 우리는 그 변혁에 동참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선두에 서야 할 사람은 바로 국어 교사다.
Ⅵ. 결론
문학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것은 역사적 필연성을 띤다고 할 수 있다. 문학교육에 대한 관심은 문학과 사회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된 결과이며 문학의 수용 방식에 대한 이론화가 진전된 결과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자본주의적 사회체제의 폐단으로 나타나는 물질중심적 문명의 일방적 진전과 논리중심의 세계 파악 방식을 반성하도록 하는 문학의 기능에 대한 인식이 제고된 결과 문학교육을 촉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이른바 과학적 문화의 缺落部分을 보완하여 삶의 전체성을 회복하여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와 맞물려 있는 점이다.
문학교육을 조작적으로 정의하는 방식은 이제 벗어나야 할 때가 되었다. 조작적으로 \'文學의 敎育\'으로 규정되는 문학교육은 지나치게 정태적인 방식이다. 문학교육을 어떻게 규정하더라도,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문학교육이 문학의 본질에 입각한 교육이라야 한다는 점이다. 문학의 본질이 문학교육으로 전이되었을 때, 문학과 더불어 즐기며 깨달음에 이르는 자기교육이 된다. 문학을 향수하는 과정이 주체를 형성하는 과정과 일치하는 것이다.
문학교육과 연관지어 문학의 예술적 속성에 대한 이해야 전제되어야 한다. 문학은 가치있는 체험을 언어를 통해 형상화하는 과정과 결과이다. 다른 예술과 달리 언어가 문학의 매재라는 점은 정확히 고려되어야 한다. 문학의 언어적인 속성 즉 의미적인 속성 때문에 문학교육은 예술교육과 동일 차원에서 설명되기 어렵다. 문학교육은 그만큼 理念指向性을 지닌다. 이러한 이념지향성은 문학이 문화의 한 양태라는 점과 연관된다.
문학의 본질에 입각한 문학교육을 위해서는 문학의 본질이 먼저 규정되어야 한다. 문학의 본질은 문학이 언어행위의 일종이라는 점을 승인하는 데서 검토되어야 한다. 이는 문학을 \'文學現象\'으로 보는 관점을 뜻한다. 또한 문학을 記號論的인 實踐의 양상으로 규정하는 입장이기도 하다. 작자와 독자가 작품을 사이에 두고 서로간에 의미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확인하고 의미를 조정하며 재구조화를 수행하는 절차와 결과를 함께 아우르는 작용태가 \'문학현상\'인 것이다. 이는 문학의 인간화를 지향하는 관점이기도 한데 바흐찐의 對話主義에 뿌리를 두고 있는 사고의 양상이다. 문학교육은 국어교육의 한 하위범주로 수행되는 것이 현실이다. 국어과의 교과영역은 크게 표현.이해의 영역과 언어의 영역, 그리고 문학의 영역으로 나뉜다. 문학의 영역은 시, 소설, 수필, 희곡, 문학이론, 문학비평, 문학사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모두 언어문화의 한 현상이다. 국어과의 영역을 보다 폭넓게 고려하는 경우 \'國語文化\'일반으로까지 영역을 확대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언어와 문학을 대립적으로 파악할 것이 아니라 언어기능의 다양성과 언어와 사상의 관계를 고려하는 입장이라야 한다는 뜻이다. 문학은 국어과 안에서 고도로 精緻化된 언어활용의 한 영역으로 자리잡는 것이다. 그렇다고 국어교육과 문학교육이 동일시되지는 않는다. 학문적인 자기한정과 교육과정 운용의 통합성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상 문학교육의 영역은 작품의 \'理解와 鑑賞\'으로 한정되어 있다. 문학교육의 영역을 문학작품의 이해와 감상으로 한정할 경우, 문학의 독자를 단지 문학의 \'消費者\'로 규정하게 되고, 문학의 창조적 체험에서 외돌려 놓는 결과를 빚기 쉽다. 문학의 독자가 문학의 의미 생성과 재창조에 관여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독자로서의 학생이 문학현상의 주체가 되는 길을 차단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중.고등학교에서 문학이론을 가르친다거나 문학작품 창작을 전문가 수준으로 가르쳐야 한다는 주장은 아니다. 능력이 있는 학생의 경우 제도적으로 창작능력을 제한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지적일 따름이다. 이러한 관점을 확보하는 데는 문학 창작이 지고한 예술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엘리트주의를 벗어나야 한다. 문학은 언어문화 가운데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 것이라야 한다.
문학교육이 정상적인 궤도에 올라가기 위해서는 작품을 읽는 즐거움과 풍부한 느낌을 되찾아야 한다. 지나친 分析主義로 인해 작품에 대해 통합적인 체험을 하기 어렵게 된 현실을 벗어나지 않으면 안 된다. 내용주의적 문학관에 입각한 작품읽기, 즉 주제찾기 식의 작품읽기에서 작품을 음미하는 독서로 작품 수용 방향이 달라져야 한다. 주제찾기 방식의 독서로 인해 문학의 자율성보다는 문학의 이념성만을 추구하는 결과에 이른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학의 핵심 장르에 해당하는 작품을 가르쳐야 하고, 문학의 자율성을 강조하면서도 학생 스스로 작품을 읽고 주체적으로 수용하도록 하는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주체의 죽음을 논하는 시대가 되기는 하였지만, 인간이 가소성을 지닌 존재라는 것과 상징적 존재라는 사실을 떠나서는 인문적 이상을 수립할 수 없을 것이다. 인문적 이상을 지향하는 것이 문학교육의 이념이다. 이러한 이념 가운데 주체로 성장하는 인간을 길러 주는 것이 문학교육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1.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0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