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해고의 실질적 요건 (해고의 정당한 이유)
Ⅲ. 해고의 절차적 요건
Ⅳ. 해고 금지 요건(정당하지 아니한 해고사유, 해고사유의 제한)
Ⅴ. 부당한 해고의 효과
Ⅵ. 결론
Ⅱ.해고의 실질적 요건 (해고의 정당한 이유)
Ⅲ. 해고의 절차적 요건
Ⅳ. 해고 금지 요건(정당하지 아니한 해고사유, 해고사유의 제한)
Ⅴ. 부당한 해고의 효과
Ⅵ. 결론
본문내용
여 부당해고를 한 자는 벌칙의 적용을 받는다.
2. 해고의 절차적 요건의 결여
1) 해고시기제한의 위반
무효이다(判). 벌칙적용.
2) 해고예고의 위반
사법적 효력- 유효설(判, 행정해석), 무효설, 상대적 무효설. 벌칙적용.
3) 단체협약취업규칙상의 해고절차 위반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 등에 해고절차를 규정하고 있는 경우 동 절차를 준수하지 아니하면 동 해고 처분은 무효가 되는 것이 원칙이다(判).
3. 구제절차
1) 노동위원회를 통한 구제(제33조제1,2항)
2) 법원을 통한 구제
해고무효확인의 소제기, 노동위원회 구제와 선택가능
Ⅵ. 결론
지금까지 해고의 제한에 대하여 살펴본 바 이러한 해고 제한의 기본적 취지는 근로자의 생존권과 근로 3권의 기초를 이루는 근로관계의 존속을 사용자의 자의적인 해고권으로부터 보호함으로서 근로자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려는데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근로자에게 있어 직장과 함께 생활의 원천을 박탈하는 해고에 있어서는 그 사유를 엄격하게 해석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해고 제한의 기본 취지에 반하는 사용자의 해고남용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 할 수 있는 행정 관청의 철저한 감독과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해석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2. 해고의 절차적 요건의 결여
1) 해고시기제한의 위반
무효이다(判). 벌칙적용.
2) 해고예고의 위반
사법적 효력- 유효설(判, 행정해석), 무효설, 상대적 무효설. 벌칙적용.
3) 단체협약취업규칙상의 해고절차 위반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 등에 해고절차를 규정하고 있는 경우 동 절차를 준수하지 아니하면 동 해고 처분은 무효가 되는 것이 원칙이다(判).
3. 구제절차
1) 노동위원회를 통한 구제(제33조제1,2항)
2) 법원을 통한 구제
해고무효확인의 소제기, 노동위원회 구제와 선택가능
Ⅵ. 결론
지금까지 해고의 제한에 대하여 살펴본 바 이러한 해고 제한의 기본적 취지는 근로자의 생존권과 근로 3권의 기초를 이루는 근로관계의 존속을 사용자의 자의적인 해고권으로부터 보호함으로서 근로자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려는데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근로자에게 있어 직장과 함께 생활의 원천을 박탈하는 해고에 있어서는 그 사유를 엄격하게 해석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해고 제한의 기본 취지에 반하는 사용자의 해고남용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 할 수 있는 행정 관청의 철저한 감독과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해석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추천자료
노동법2(공인노무사 2차 서브노트)
징계에 대한 정리
공인노무사 2차 서브노트 (노동법 2)
[노동법] 회사합병, 사업양도와 노동관계
징계권의주요내용과문제점 및 개선방안 분석(완벽A+파포)
위법한 쟁의행위의 책임에 대한 쟁점
근로기준법상 징계절차관련 판례분석
위법한 쟁의행위에 대한 법적 책임
노동법상 쟁의행위 전반에 대한 연구
근로관계의 종료 후 근로자 보호
부당노동행위 유형 중 불이익취급
근로관계에서 징계절차와 관련한 판례분석
인수 합병 (M&A) 과 고용승계 문제의 법적 검토
[기업 고용][기업][고용][기업 고용계약][기업 고용체제][기업 고용보험법][기업 고용조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