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식품]섬유소의 기능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식이 섬유소의 정의 및 특징

▶식이 섬유소의 종류 :
1. 용해도에 따른 분류
2. 기원에 따른 분류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펙틴

▶리그닌

▶식물성 검

▶글루코만난

▶갈락토만난

▶키틴&키토산

▶폴리덱스트로스

▶식이섬유의 식품화학적 특징

▶식이섬유의 기능

▶용해성에 따른 식이 섬유소의 기능성

▶식이섬유소의 섭취 권장량

▶식이섬유소를 이용한 제품

▶향후개발비전

▶논문

본문내용

고 영양성분을 보충하는데 식이섬유를 함유한 자연식품을 이용한 경우와 자연식품에 함유된 소재를 저분자 형태로 또는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하여 제조하고 있다.
- 액상과 분말, 환 등의 형태로 섭취하도록 제품화되어 있다.
19. 향후 개발 비전
우리나라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되면서 식이섬유의 섭취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대장암의 발병율이 증가되었다. 뿐만 아니라 당뇨병, 순환계 질환 등의 성인병이 식이섬유와 관련성이 있으며 식이섬유는 체중조절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건강보조 식품과 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은 건강지향적인 사고에서 출발하였으며 균형잡힌 영양소와 생체조절기능을 갖는 식품소재의 적절한 섭취를 요구하고 있다.
이런점에서 볼 때 식품의 다양한 개발은 다양한 건강 기능성 소재의 개발 및 활용과 밀접하며 특히 식이성 섬유의 경우 일일 요구량을 섭취할 수 있는 또는 부족한 식이섬유를 보충할 수 있는 식품개발이 필요하다.
20.섬유소에 관한 논문
쌀이 식이 섬유함량이 정상인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찬ㆍ신재수
한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주)종근당 종합연구소
본 연구의 목적은 식이 섬유함량이 높은 쌀과 일반 쌀을 섭취한 건강한 성인에서 혈당반응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전기압력밥솥으로 조리한 수원464 백미와 일반 쌀 백미를 섭취시켜 혈당과 인슐린의 반응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후 60분 후에서 수원464 백미섭취군의 혈당이 일반 쌀 백미 섭취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더 감소하였다.
2. 실험 당질에 대한 혈당반응면적은 수원464 백미군이 일반 쌀 백미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았다.
3. 혈청 인슐린치는 혈당반응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며 식후 120분에서 수원464 백미군의 인슐린치가 일반 쌀 백미군의 인슐린치보다 유의성 있게 더 낮았다.
4. 일반 쌀 백미의 혈당지수를 100%로 하였을 때 수원464 백미의 혈당지수는 64.5%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수원464 백미의 혈당지수는 문헌상으로 조사된 일반 쌀 현미의 혈당지수인 90%에 비해 서도 현저하게 낮았다.
이상의 임상시험을 통하여 일반 쌀에 비하여 식이 섬유함량이 높은 수원464는 혈당지수가 매우 낮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수원464 백미는 문헌상으로 조사된 일반 쌀 현미의 혈당지수 보다도 낮음을 확인하였다.
표고버섯 헤미셀룰로tm의 식이가 쥐의 혈당과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김미향ㆍ이명예ㆍ김순동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산업학부
본 연구에서는 천연자원으로부터 항당뇨 및 항콜레스테롤 기능성의 재료를 선별하는 일련의 연구로 표고버섯으로부터 추출한 헤미셀룰로즈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쥐의 혈당과 혈청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고버섯 헤미셀룰로스의 식이(0.5∼1%)는 당뇨병을 개선하거나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글루코만난을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가 고지방 식이를 급여하여 유도된 비만흰쥐의 체중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박수진ㆍ강명화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부 식품영양전공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교 첨단산업기술학과
본 연구에서는 글르코만난 100%를 함유하는 swelling colloid된 국수를 제조하여 고지방 식이에 국수의 양을 달리하여 실험용 흰쥐에게 제공하면서 식사대용 시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측정하고, 그들의 혈액 및 혈청 영양 생화학적 상태를 분석하여 최적 대체 비율을 결정하여, 체중 감소 식품소재로 개발 가능한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섬유성분이 대부분인 국수는 적은 양, 적은 칼로리로도 포만감을 주어 체중감량에 효과가 크나, 섭취 비율이 다른 식이와 적절할 때 영양상에도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글루코만난으로 제조된 식품인 '국수'는 다이어트 식품소재로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키토산 두부가 고지질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노홍균ㆍ백경연ㆍ김석중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키토산을 응고제로 사용하여 상업적 조건에서 제조한 두부와 일반 두부 및 키토산 분말을 조지질 급여 흰쥐에 6주간 급여한 후 혈청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흰 쥐의 식이 섭취량은 정상 식이군(N)에 비해 모두 낮았으며 키토산 두부 첨가군(CSC)과 키토산 분말 첨가군(CP)의 식이 섭취량이 특히 낮았다. 체중 증가량은 고지질 식이군(HF)에 CSC군, 일반 두부 첨가군(SC) 그리고 CP군들은 모두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CP군이 가장 잔은 체중증가를 나타내었다. 혈청 중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전 실험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HDL-콜레스테롤 함량에서는 CSC, SC, CP군 모두 HF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총 콜레스테롤 중 HDL-콜레스테롤이 차지하는 비율은 CSC, SC, CP군 HF군에 비하여 높고, 동맥경화지수는 반대로 낮게 나타났다. LDL-콜레스테롤농도는 HF군에 비해 CSC, SC, CP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총 지질 함량에서는 HP군에 비하여 SC와 CP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고지질 식이에 의한 증가한 중성지질 및 감소한 인지질 함량은 CSC, SC, CP군에서 유의적으로 회복되었다. 본 실험에서는HF군에 비해 CP군 뿐만 아니라 CSC, SC군에서 HDL-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농도의 증가, 중성지질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가 관찰됨으로써 상업용 키토산 두부가 고지질 성인병 예방 및 고지질 관련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현 실험조건 하에서는 일반 두부와 키토산 두부간의 효능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목차
▶식이 섬유소의 정의 및 특징
▶식이 섬유소의 종류 : 1. 용해도에 따른 분류
2. 기원에 따른 분류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펙틴
▶리그닌
▶식물성 검
▶글루코만난
▶갈락토만난
▶키틴&키토산
▶폴리덱스트로스
▶식이섬유의 식품화학적 특징
▶식이섬유의 기능
▶용해성에 따른 식이 섬유소의 기능성
▶식이섬유소의 섭취 권장량
▶식이섬유소를 이용한 제품
▶향후개발비전
▶논문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2.09
  • 저작시기200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4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