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序論
□本論
1)삼국 시대 佛敎의 傳來
2)新羅의 佛敎 공인과 이차돈(異次頓)
3)王室의 關心
4)이차돈의 흘린 하얀 피의 의미
5)韓國 佛敎의 護國的 性格
6)韓國 佛敎와 샤머니즘과의 習合
□結論
□本論
1)삼국 시대 佛敎의 傳來
2)新羅의 佛敎 공인과 이차돈(異次頓)
3)王室의 關心
4)이차돈의 흘린 하얀 피의 의미
5)韓國 佛敎의 護國的 性格
6)韓國 佛敎와 샤머니즘과의 習合
□結論
본문내용
박아 토착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는 그들 諸神이 護法의 善神이라는 성격에 그치지 않고, 그 神들이 지니는 본래의 神格이 특히 강조되면서 각기 그 기능에 따라 독립적인 信仰形態를 나타나게 되었다.
그것은 異質感 없이 서로 융화되어 왔다. 여기에 韓國佛敎에 있어서의 신앙의 이중성 즉 불교와 샤머니즘과의 習合 내지 共存性을 보게 된다.
韓國佛敎가 在來의 토속신앙과 서로 접촉하고 토착화하는 과정에서 현저하게 나타난 종교적 현상의 하나로 특히 寺院內의 山神閣과 八關會儀式에 대하여 주목해야 한다.
팔관회는 善男善女가 일정한 기간을 두고 八關齋戒를 닦는 의식이어서 불교의 법회인 것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러나 국가적 佛事로서 신라나 고려에서 열렸던 팔관회는 불교 본래의 순수한 법회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太祖 王建이 그의 十訓要 가운데서 명시한 바와 같이 八關會開設의 목족은 天神龍神山神水神 등 諸神에의 종합적인 종교적 축제였던 것이다.
오늘날 韓國佛敎寺院에 山神閣이 모셔져 있는 것도, 범(虎)을 山神의 使者 또는 山神 그것으로 여기어 온 재래의 山神信仰과 山岳崇拜가 불교와 서로 習合되어 온 역사적 산물인 것이다. 그것은 현실적인 생존문제와 직결되면서 일반대중과 함께 호흡하여 온 불교 신앙의 한 역사적인 자취인 것이다.
□結論
三國時代의 불교수용은 종교로서의 의미뿐 아니라 정치사회문화의 방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初期의 佛敎信仰은 治病등의 現世的個人的 信仰으로 수용되었으나 그것이 社會發展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의미를 갖지 않으면 안 되었으니 신라나 백제는 초창기에 社會的 意味를 가지고 불교를 전개시켰다.
三國時代의 불교 수용은 政治的 관점뿐 아니라 宗敎的 욕구와 文化的 관심이라는 차원에서도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신라의 불교에서 정치적인 목적이 주가 되었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즉 초기불교는 진흥왕의 왕즉불(王卽佛) 사상에서도 볼 수 있듯이 중앙집권적 체제를 이루고 왕권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었던 것이다.
신라의 토착신앙에서 왕과 신하들은 동등한 지위를 가진다. 하지만 律令이 반포되는 등 중앙집권 체제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이러한 巫覡信仰은 왕에게는 걸림돌이 되었고, 그에 따라 왕은 王權을 옹호해줄 수 있는 새로운 신앙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그것이 바로 불교였다.
三國時代에 불교가 傳來 될 시기에는 삼국이 聯盟王國에서 중앙집권국가로 발전해 나가는 시기였는데, 불교의 수용은 율령반포, 정복활동, 정치체제 정비, 왕위세습과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였다.
新羅는 한반도의 동남쪽에 치우쳐 있는 지리적인 불리함 때문에 百濟와 高句麗 보다 先進 文化를 받아들이는데 시간이 걸렸다.
그래서 이미 눌지왕 때 전래된 불교가 법흥왕 때에 이르러서 공인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처럼 불교는 초기에는 왕권 중심의 지배체제를 강화하는 데 정치적으로 활용되었으나 후에는 나라를 지키고 삼국을 통일해야 한다는 기틀을 마련하는데도 큰 도움이 되었다.
이차돈의 순교는 한국의 최초의 순교이자, 신라가 주변국보다 뒤떨어지지 않고, 7세기까지 三國鼎立을 유지 할 수 있게 해준 밑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參考文獻※
김현준 『이야기 한국불교사 1』 도서출판 효림. 1994
金戊祚 『신라 불교 신라 스님』 新知書院. 1997
일연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주)을유문화사. 2002
불교사학회 편저 「初期韓國佛敎敎團史硏究」 民族史. 1989
김영태 『삼국시대 불교 신앙 연구』 불광출판부. 1990
김영태 「新羅佛敎硏究」 민족문화사. 1987
安啓賢 「韓國佛敎史硏究」 동화출판공사. 1986
洪潤植 「韓國佛敎史의 硏究」 교문사. 1998
통계청 http://www.nso.go.kr
그것은 異質感 없이 서로 융화되어 왔다. 여기에 韓國佛敎에 있어서의 신앙의 이중성 즉 불교와 샤머니즘과의 習合 내지 共存性을 보게 된다.
韓國佛敎가 在來의 토속신앙과 서로 접촉하고 토착화하는 과정에서 현저하게 나타난 종교적 현상의 하나로 특히 寺院內의 山神閣과 八關會儀式에 대하여 주목해야 한다.
팔관회는 善男善女가 일정한 기간을 두고 八關齋戒를 닦는 의식이어서 불교의 법회인 것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러나 국가적 佛事로서 신라나 고려에서 열렸던 팔관회는 불교 본래의 순수한 법회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太祖 王建이 그의 十訓要 가운데서 명시한 바와 같이 八關會開設의 목족은 天神龍神山神水神 등 諸神에의 종합적인 종교적 축제였던 것이다.
오늘날 韓國佛敎寺院에 山神閣이 모셔져 있는 것도, 범(虎)을 山神의 使者 또는 山神 그것으로 여기어 온 재래의 山神信仰과 山岳崇拜가 불교와 서로 習合되어 온 역사적 산물인 것이다. 그것은 현실적인 생존문제와 직결되면서 일반대중과 함께 호흡하여 온 불교 신앙의 한 역사적인 자취인 것이다.
□結論
三國時代의 불교수용은 종교로서의 의미뿐 아니라 정치사회문화의 방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初期의 佛敎信仰은 治病등의 現世的個人的 信仰으로 수용되었으나 그것이 社會發展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의미를 갖지 않으면 안 되었으니 신라나 백제는 초창기에 社會的 意味를 가지고 불교를 전개시켰다.
三國時代의 불교 수용은 政治的 관점뿐 아니라 宗敎的 욕구와 文化的 관심이라는 차원에서도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신라의 불교에서 정치적인 목적이 주가 되었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즉 초기불교는 진흥왕의 왕즉불(王卽佛) 사상에서도 볼 수 있듯이 중앙집권적 체제를 이루고 왕권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었던 것이다.
신라의 토착신앙에서 왕과 신하들은 동등한 지위를 가진다. 하지만 律令이 반포되는 등 중앙집권 체제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이러한 巫覡信仰은 왕에게는 걸림돌이 되었고, 그에 따라 왕은 王權을 옹호해줄 수 있는 새로운 신앙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그것이 바로 불교였다.
三國時代에 불교가 傳來 될 시기에는 삼국이 聯盟王國에서 중앙집권국가로 발전해 나가는 시기였는데, 불교의 수용은 율령반포, 정복활동, 정치체제 정비, 왕위세습과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였다.
新羅는 한반도의 동남쪽에 치우쳐 있는 지리적인 불리함 때문에 百濟와 高句麗 보다 先進 文化를 받아들이는데 시간이 걸렸다.
그래서 이미 눌지왕 때 전래된 불교가 법흥왕 때에 이르러서 공인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처럼 불교는 초기에는 왕권 중심의 지배체제를 강화하는 데 정치적으로 활용되었으나 후에는 나라를 지키고 삼국을 통일해야 한다는 기틀을 마련하는데도 큰 도움이 되었다.
이차돈의 순교는 한국의 최초의 순교이자, 신라가 주변국보다 뒤떨어지지 않고, 7세기까지 三國鼎立을 유지 할 수 있게 해준 밑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參考文獻※
김현준 『이야기 한국불교사 1』 도서출판 효림. 1994
金戊祚 『신라 불교 신라 스님』 新知書院. 1997
일연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주)을유문화사. 2002
불교사학회 편저 「初期韓國佛敎敎團史硏究」 民族史. 1989
김영태 『삼국시대 불교 신앙 연구』 불광출판부. 1990
김영태 「新羅佛敎硏究」 민족문화사. 1987
安啓賢 「韓國佛敎史硏究」 동화출판공사. 1986
洪潤植 「韓國佛敎史의 硏究」 교문사. 1998
통계청 http://www.nso.go.kr
추천자료
신라말의 교종과 선종에 대한 고찰
신라의 석탑
신라의 미술 및 문화
신라하대 호족
[신라향가][고려향가][향가]신라 향가와 고려 향가를 통해 본 향가의 발생, 성격, 내용, 형식...
신라의 도제기마인물상
신라(통일신라)에 관한 고찰
신라 삼국통일 전후의 사회
[유학][유학 역사][유학 理(이)개념][홍범사상][정산사상][신라시대 유학][고려시대 유학]유...
신라의+문화
[한국교육사][삼국교육][고구려교육][백제교육][신라교육][조선교육][실학교육]한국교육사 삼...
신라 선종사찰 석남사 (新羅 禪宗寺刹 石南寺)
통일신라의 불상
[궁예, 궁예 출신과 신라관, 궁예 사상, 궁예 구비전승, 궁예 리더쉽(리더십), 궁예와 삼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