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지방교육재정 교부금의 배분방법과 문제점
1. 기준재정수요액 산정과 문제점
가. 경상재정수요
나. 학생수용시설 재정수요
다. 기준재정수요 산출 방법상의 문제점
2. 기준재정수입액 산정
가. 기준재정수입액 산정 방법
나. 기준재정수입액 산출 방법상의 문제점
3. 인건비와 지방교육재정의 세입구조의 문제점
Ⅲ. 교육재정의 탄력성 측정
1. 교육재정 탄력성의 개념 및 유형
가. 교육수요의 탄력성
나. 교육공급 탄력성
다. 교육재정 규모의 탄력성
라. 수업탄력성
마. 학생 1인당 교육비 탄력성
2. 부산시 교육재정 탄력성 측정
가. 교육예산에 대한 부산시 교육예산의 탄력성
나.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초등학교비의 탄력성
다.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중등학교비의 탄력성
라.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교육행정사업비의 탄력성
마.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시설비의 탄력성
Ⅳ. 결 론
참고 문헌
Ⅱ. 지방교육재정 교부금의 배분방법과 문제점
1. 기준재정수요액 산정과 문제점
가. 경상재정수요
나. 학생수용시설 재정수요
다. 기준재정수요 산출 방법상의 문제점
2. 기준재정수입액 산정
가. 기준재정수입액 산정 방법
나. 기준재정수입액 산출 방법상의 문제점
3. 인건비와 지방교육재정의 세입구조의 문제점
Ⅲ. 교육재정의 탄력성 측정
1. 교육재정 탄력성의 개념 및 유형
가. 교육수요의 탄력성
나. 교육공급 탄력성
다. 교육재정 규모의 탄력성
라. 수업탄력성
마. 학생 1인당 교육비 탄력성
2. 부산시 교육재정 탄력성 측정
가. 교육예산에 대한 부산시 교육예산의 탄력성
나.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초등학교비의 탄력성
다.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중등학교비의 탄력성
라.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교육행정사업비의 탄력성
마.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시설비의 탄력성
Ⅳ.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성
1990년부터 1995년까지의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교육행정 사업비의 탄력성은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력계수가 전체평균하여 1.384로 탄력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부산시 교육예산의 성장률보다 교육행정 사업비의 성장률이 0.384만큼 높은 성장을 보이고 있다. 탄력성의 증감상황은 거의 매년 탄력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990년-1991년에 1.831로 가장 탄력계수가 높았다.
이것은 부산시 교육예산 규모가 커지면서 그에 상응하는 비율로 교육행정비 및 사업비가 증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최근들어 초등학교비나 중등학교비보다는 더 탄력적인 측면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지방교육자치제의 실시로 인해 행정규모가 확대되고 사업내용이 다양화되면서 교육행정 및 사업비에 대한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또한 부산시 교육청이 정책으로 행정·사업비에 보다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겠다.
마.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시설비의 탄력성
1990년부터 1995년까지의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시설비의 탄력성을 <표 9>에서와 같이 전체평균하여 3.917로 매우 탄력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탄력계수의 변화가 매우 심하게 나타나 가장 탄력성 계수가 높은 때(10.433)와 가장 낮은 때(-0.617)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연도별 시설비 배분의 변화가 심함을 나타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Ⅳ. 결 론
1990년도 이전의 소요경비별 배분방식은 공정성 측면에서는 양호하다고 할 수 있지만 시·도교육청의 자율성과 효율성이 고려되지 않았다. 반면에, 1991년도 이후의 총괄배분방식은 다소 공정성은 약화되었지만 시·도교육청에 자율성을 부여해줌으로써 독자적인 자구노력을 통한 예산집행의 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총괄배분방식은 경상재정수요를 결정하는 두가지 핵심요소인 가중학생수의 산출기초가 되는 학교급별 교육비 차이도 계수와 단위비용의 산출 기초가 되며 지역별 교육비 차이도를 반영하는 시·도별 지수에 의해 시·도 교육예산의 불공정한 배분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인건비는 교육예산의 약 70%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인건비를 어떠한 기준에 의거해서 산출하느냐에 따라 시·도교육예산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인건비 산정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도별 정보확보율과 인건비 평균 단가 산정방법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시·도교육예산의 공정성 확보는 기대하기 어렵다. 아울러, 교육환경 개선사업이 2000년도에 종료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 부문에 투자하던 사업비가 계속적으로 투자될 수 있도록 학생수용시설 재정수요를 시설비 재정수요로 확대개편할 필요가 있다.
교육재정 탄력성은 GNP, 국민소득, 정부예산의 변화에 따른 공교육비의 지출반응 관계를 말한다. 교육부예산에 대한 부산시 교육예산의 종단적 비교 척도 제공을 위한 탄력성 측정 결과(1990-1995년)는 비탄력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산시 교육예산이 교육예산 증가 추세에 상응할 만큼 많은 증가를 하지 못했고, 부산시 교육예산이 정부수준에서 그렇게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음을 뜻한다.
항목간 교육재정 배분에 있어 중등학교비는 부산시 교육예산에 비하여 탄력적으로 책정되어 정책적 비중이 높게 두어졌으며, 초등학교비는 비탄력적으로 정책적 비중이 낮았다. 교육행정 사업비는 탄력적으로 동기간의 부산시 교육예산의 증가율보다 높게 책정되어졌으며, 특히 시설비는 가장 탄력적으로서 이 기간의 시설비 투자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참고 문헌
강낙원(1996). 부산시 교육재정의 탄력성에 관한 연구, 지방교육경영 창간호.
공은배외(1986). 교육재정배분의 합리화 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부(1996). 1996년도 교육부 소관 예산개요.
------(1990-1995). 교육통계연보.
김남순(1988). 한국교육재정 배분에 관한 연구 - 중등교육재정의 공정성·효율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2). 교육재정과 교육비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박정수, 안종석(1996). 교육재정의 구조와 재원 확충방안, 서울: 한국조세연구원. 부산시교육청(1990-1995). 부산교육통계연보.
송기창(1994). 지방교육재정정책 변천과정 분석연구, 서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양희석(1981). 교육재정 탄력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정일(1988). 교육재정 배분방식의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이동구(1997). 교육재정 탄력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상범(1993).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배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주철안(1992). 교육재정의 공정성 개념과 측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교육재정·경제 연구, 1(2) : 19-43.
허병기(1988). 자유주의적 평등론에 의한 한국교육정책의 공정성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Cullis, J. and Jones. P.(1992). Public finance, London: McGraw-Hill Book Company.
Davis, J.R. and Morrall Ⅲ, J.F.(1984). Evaluating educational investment, Lexington: Lexington Books.
Friedman, M.(1955). The role of government in education, In: Solo R. A.(ed.) Economics and the Public Interest, Rutgers University Press, New BrunsWick, N.J.
Levin, H.M.(1991). The economics of educational choice,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10(2).
Michael, R.T.(1972). The effect of education on efficiency in consumption, New York: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90년부터 1995년까지의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교육행정 사업비의 탄력성은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력계수가 전체평균하여 1.384로 탄력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부산시 교육예산의 성장률보다 교육행정 사업비의 성장률이 0.384만큼 높은 성장을 보이고 있다. 탄력성의 증감상황은 거의 매년 탄력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990년-1991년에 1.831로 가장 탄력계수가 높았다.
이것은 부산시 교육예산 규모가 커지면서 그에 상응하는 비율로 교육행정비 및 사업비가 증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최근들어 초등학교비나 중등학교비보다는 더 탄력적인 측면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지방교육자치제의 실시로 인해 행정규모가 확대되고 사업내용이 다양화되면서 교육행정 및 사업비에 대한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또한 부산시 교육청이 정책으로 행정·사업비에 보다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겠다.
마.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시설비의 탄력성
1990년부터 1995년까지의 부산시 교육예산에 대한 시설비의 탄력성을 <표 9>에서와 같이 전체평균하여 3.917로 매우 탄력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탄력계수의 변화가 매우 심하게 나타나 가장 탄력성 계수가 높은 때(10.433)와 가장 낮은 때(-0.617)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연도별 시설비 배분의 변화가 심함을 나타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Ⅳ. 결 론
1990년도 이전의 소요경비별 배분방식은 공정성 측면에서는 양호하다고 할 수 있지만 시·도교육청의 자율성과 효율성이 고려되지 않았다. 반면에, 1991년도 이후의 총괄배분방식은 다소 공정성은 약화되었지만 시·도교육청에 자율성을 부여해줌으로써 독자적인 자구노력을 통한 예산집행의 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총괄배분방식은 경상재정수요를 결정하는 두가지 핵심요소인 가중학생수의 산출기초가 되는 학교급별 교육비 차이도 계수와 단위비용의 산출 기초가 되며 지역별 교육비 차이도를 반영하는 시·도별 지수에 의해 시·도 교육예산의 불공정한 배분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인건비는 교육예산의 약 70%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인건비를 어떠한 기준에 의거해서 산출하느냐에 따라 시·도교육예산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인건비 산정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도별 정보확보율과 인건비 평균 단가 산정방법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시·도교육예산의 공정성 확보는 기대하기 어렵다. 아울러, 교육환경 개선사업이 2000년도에 종료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 부문에 투자하던 사업비가 계속적으로 투자될 수 있도록 학생수용시설 재정수요를 시설비 재정수요로 확대개편할 필요가 있다.
교육재정 탄력성은 GNP, 국민소득, 정부예산의 변화에 따른 공교육비의 지출반응 관계를 말한다. 교육부예산에 대한 부산시 교육예산의 종단적 비교 척도 제공을 위한 탄력성 측정 결과(1990-1995년)는 비탄력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산시 교육예산이 교육예산 증가 추세에 상응할 만큼 많은 증가를 하지 못했고, 부산시 교육예산이 정부수준에서 그렇게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음을 뜻한다.
항목간 교육재정 배분에 있어 중등학교비는 부산시 교육예산에 비하여 탄력적으로 책정되어 정책적 비중이 높게 두어졌으며, 초등학교비는 비탄력적으로 정책적 비중이 낮았다. 교육행정 사업비는 탄력적으로 동기간의 부산시 교육예산의 증가율보다 높게 책정되어졌으며, 특히 시설비는 가장 탄력적으로서 이 기간의 시설비 투자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참고 문헌
강낙원(1996). 부산시 교육재정의 탄력성에 관한 연구, 지방교육경영 창간호.
공은배외(1986). 교육재정배분의 합리화 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부(1996). 1996년도 교육부 소관 예산개요.
------(1990-1995). 교육통계연보.
김남순(1988). 한국교육재정 배분에 관한 연구 - 중등교육재정의 공정성·효율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2). 교육재정과 교육비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박정수, 안종석(1996). 교육재정의 구조와 재원 확충방안, 서울: 한국조세연구원. 부산시교육청(1990-1995). 부산교육통계연보.
송기창(1994). 지방교육재정정책 변천과정 분석연구, 서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양희석(1981). 교육재정 탄력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정일(1988). 교육재정 배분방식의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이동구(1997). 교육재정 탄력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상범(1993).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배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주철안(1992). 교육재정의 공정성 개념과 측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교육재정·경제 연구, 1(2) : 19-43.
허병기(1988). 자유주의적 평등론에 의한 한국교육정책의 공정성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Cullis, J. and Jones. P.(1992). Public finance, London: McGraw-Hill Book Company.
Davis, J.R. and Morrall Ⅲ, J.F.(1984). Evaluating educational investment, Lexington: Lexington Books.
Friedman, M.(1955). The role of government in education, In: Solo R. A.(ed.) Economics and the Public Interest, Rutgers University Press, New BrunsWick, N.J.
Levin, H.M.(1991). The economics of educational choice,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10(2).
Michael, R.T.(1972). The effect of education on efficiency in consumption, New York: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재정의 개념과 특성
교육재정
지방교육자치 교육행정 이원화에 따른 문제점 개선방안 사례위주
[지방교육자치]지방교육자치(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념, 지방교육자치(지방교육자치제도)의 ...
[대학재정]대학평가체제에 의한 재정지원제도의 개선방안
[교육재정론] 교육재정이론
[지방교육행정]지방교육행정의 기능과 체제, 지방교육행정체제의 기능 개선 필요성, 지방교육...
[교육자치][교육자치 원리][교육자치 문제점][교육자치 방향]교육자치의 의미, 교육자치의 역...
교육자치제(지방교육자치제도)의 의의와 본질, 교육자치제(지방교육자치제도)의 내용, 교육자...
[미국교육]미국교육의 현황, 미국교육의 교육제도, 미국교육의 학교제도, 미국교육의 교육개...
[지방교육자치제도][지방교육자치제]지방교육자치제도의 본질,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유형, 지...
[EBS교육방송재정]EBS교육방송의 정의, EBS교육방송의 위기, EBS교육방송재정의 자체재원, EB...
[지방교육자치제][지방교육자치][교육자치]지방교육자치제의 원리, 지방교육자치제의 이념, ...
교육재정 및 학교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