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정보화정책 평가의 성격과 주요 이슈
1. 정보화정책 평가의 기본적 성격
2. 정보화 평가의 주요 이슈와 논의
III. 정보화정책 평가모형의 설정
IV. 정보화정책 평가지표의 개발과 적용
1. 전자정부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구성개념정의
2. 정보화 수준평가에 대한 기존연구의 검토
3. 정보화 수준평가 지표의 개발
(1) 정보화 기반 부문
(2) 정보화 지원부문
(3) 정보화 비전 및 전략 분야
(4) 정보화 성과분야
4. 정보화 수준평가 지표설정에 있어서 주요 고려사항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II. 정보화정책 평가의 성격과 주요 이슈
1. 정보화정책 평가의 기본적 성격
2. 정보화 평가의 주요 이슈와 논의
III. 정보화정책 평가모형의 설정
IV. 정보화정책 평가지표의 개발과 적용
1. 전자정부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구성개념정의
2. 정보화 수준평가에 대한 기존연구의 검토
3. 정보화 수준평가 지표의 개발
(1) 정보화 기반 부문
(2) 정보화 지원부문
(3) 정보화 비전 및 전략 분야
(4) 정보화 성과분야
4. 정보화 수준평가 지표설정에 있어서 주요 고려사항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라기 보다는 필요에 따라 골라쓸 수 있는 지표군 또는 지표의 모집단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평가분야, 평가대상, 평가목적, 평가접근법, 평가분석방법 등에 따라서 일차적으로 평가지표의 모집단을 충실화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다음으로는 이러한 지표를 다양한 평가영역에 실제로 적용하고 검증해 봄으로써 지표 자체의 타당성과 효용성을 계속적으로 검증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지표의 수정과 보완과 교체를 지속적으로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Hirschheim, R. & Smithson, S.(1988). A Critical Analysis of information systems evaluation. In Information Systems Assessment: Issues and Challenges, (eds N Bjorn-Andersen and G.B. Davis). North Holland, Amsterdam, 17-37.
KPMG(2001.2). E-Government for All. The KPMG Consulting e-government survey 2001.
Marien, Michael(1996). "New Communications Technology", Telecommunications Policy, Vol.20, No.5.
NPR(1993). Reengineering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Powell, P.(1992). Information Technology and Business Strategy: A Synthesis of the Case for Reverse Causality. In Proceedings of the Thirte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eds J.I. DeGross, J.D. Becker and J.J. Elam), December 13-16, Dallas, Texas, 71-80.
Serafeimidis, Vassilis. (2001). "A Review of Research Issues in Evaluation of Information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y Evaluation Methods and Management. Idea Group Publishing.
Strassmann, P. A(1985). Information Payoff: The Transformation of Work in the Electronic Age, Free Press, New York, NY.
Brynjolfsson, Erik and Hitt, Lorin(1996). "Paradox Lost? Firm-Level Evidence on the Returns to Information Systems Spending", Management Science, (April).
Brynjolfsson, Erik and Hitt, Lorin. (1995). "Information Technology as a Factor of Production: the Role of Differences among Firms," Economics of Innovation and New Technology, Vol. 3: 183-199.
The Progress & Freedom Foundation(1998.9). The Digital State 1998: How State Governments are Using Digital Technology.
Thorp, John. (1998). The Information Paradox: Realizing the Business Benefits of Information Technology. McGraw-Hill.
Walsham, G.(1993). Interpreting Information Systems in Organizations, John Wiley & Sons, Chichester, England.
Willcocks, Leslie P. and Stephanie Lester ed.(2000). Beyond the IT Productivity Paradox. John Wiley & Sons.
권기헌·박승관·윤영민(1998). 『정보의 신화, 개혁의 논리』, 나남출판
김준한(1999). 정보화평가의 전략적 의의, 제1회 정보화평가심포지엄 발표집.
변지석(1996). "정보기술투자의 생산성 효과", 「홍익대 경영연구」 21권: 377-393.
자치정보화지원재단·행정자치부(1999.12), '99 자치단체 정보화수준측정결과.
전자정부특별위원회(2001.5). 세계일류국가 도약을 위한 전자정부구현 전략.
신일순·정부연(1997). "정보화 정책지표 개발방법론 연구: 정보기술 이용자료 추계 및 분석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윤영민(1998). "혁신적인 정보화정책의 청사진",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발표논문집. 1998. 1. 23.
윤영민(1998). "정보화정책의 사회학적 비판: 재구조화를 위하여", 「산업사회연구」제 3집.
이윤식(1998). "행정정보화와 중앙정부 경쟁력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8권 2호:163-184
이윤식(2000). 정보화 평가방법론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4-97.
전자정부특별위원회(2001.5). 세계일류국가 도약을 위한 "전자정부 구현전략".
정보화평가위원회(2000). 2000년 국가정보화평가보고서II: 정보화수준평가.
정보화평가위원회(2000.3). 국가정보화평가 기본계획
정보화평가위원회(2001.3). 2001년도 중앙행정기관 정보화수준평가 세부추진계획.
임수경 외(1999). 정보화수준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전산원
최성모 편(1998), 『정보사회와 정보화정책』, 나남출판.
한국전산원(1994). 국가정보기반과 행정서비스.
행정자치부(1998). 전자정부의 비전과 전략-21세기 전자정부로 가는 길.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평가분야, 평가대상, 평가목적, 평가접근법, 평가분석방법 등에 따라서 일차적으로 평가지표의 모집단을 충실화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다음으로는 이러한 지표를 다양한 평가영역에 실제로 적용하고 검증해 봄으로써 지표 자체의 타당성과 효용성을 계속적으로 검증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지표의 수정과 보완과 교체를 지속적으로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Hirschheim, R. & Smithson, S.(1988). A Critical Analysis of information systems evaluation. In Information Systems Assessment: Issues and Challenges, (eds N Bjorn-Andersen and G.B. Davis). North Holland, Amsterdam, 17-37.
KPMG(2001.2). E-Government for All. The KPMG Consulting e-government survey 2001.
Marien, Michael(1996). "New Communications Technology", Telecommunications Policy, Vol.20, No.5.
NPR(1993). Reengineering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Powell, P.(1992). Information Technology and Business Strategy: A Synthesis of the Case for Reverse Causality. In Proceedings of the Thirte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eds J.I. DeGross, J.D. Becker and J.J. Elam), December 13-16, Dallas, Texas, 71-80.
Serafeimidis, Vassilis. (2001). "A Review of Research Issues in Evaluation of Information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y Evaluation Methods and Management. Idea Group Publishing.
Strassmann, P. A(1985). Information Payoff: The Transformation of Work in the Electronic Age, Free Press, New York, NY.
Brynjolfsson, Erik and Hitt, Lorin(1996). "Paradox Lost? Firm-Level Evidence on the Returns to Information Systems Spending", Management Science, (April).
Brynjolfsson, Erik and Hitt, Lorin. (1995). "Information Technology as a Factor of Production: the Role of Differences among Firms," Economics of Innovation and New Technology, Vol. 3: 183-199.
The Progress & Freedom Foundation(1998.9). The Digital State 1998: How State Governments are Using Digital Technology.
Thorp, John. (1998). The Information Paradox: Realizing the Business Benefits of Information Technology. McGraw-Hill.
Walsham, G.(1993). Interpreting Information Systems in Organizations, John Wiley & Sons, Chichester, England.
Willcocks, Leslie P. and Stephanie Lester ed.(2000). Beyond the IT Productivity Paradox. John Wiley & Sons.
권기헌·박승관·윤영민(1998). 『정보의 신화, 개혁의 논리』, 나남출판
김준한(1999). 정보화평가의 전략적 의의, 제1회 정보화평가심포지엄 발표집.
변지석(1996). "정보기술투자의 생산성 효과", 「홍익대 경영연구」 21권: 377-393.
자치정보화지원재단·행정자치부(1999.12), '99 자치단체 정보화수준측정결과.
전자정부특별위원회(2001.5). 세계일류국가 도약을 위한 전자정부구현 전략.
신일순·정부연(1997). "정보화 정책지표 개발방법론 연구: 정보기술 이용자료 추계 및 분석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윤영민(1998). "혁신적인 정보화정책의 청사진",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발표논문집. 1998. 1. 23.
윤영민(1998). "정보화정책의 사회학적 비판: 재구조화를 위하여", 「산업사회연구」제 3집.
이윤식(1998). "행정정보화와 중앙정부 경쟁력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8권 2호:163-184
이윤식(2000). 정보화 평가방법론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4-97.
전자정부특별위원회(2001.5). 세계일류국가 도약을 위한 "전자정부 구현전략".
정보화평가위원회(2000). 2000년 국가정보화평가보고서II: 정보화수준평가.
정보화평가위원회(2000.3). 국가정보화평가 기본계획
정보화평가위원회(2001.3). 2001년도 중앙행정기관 정보화수준평가 세부추진계획.
임수경 외(1999). 정보화수준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전산원
최성모 편(1998), 『정보사회와 정보화정책』, 나남출판.
한국전산원(1994). 국가정보기반과 행정서비스.
행정자치부(1998). 전자정부의 비전과 전략-21세기 전자정부로 가는 길.
추천자료
[신자유주의][신자유주의와 정보화사회][신자유주의정책의 평가]신자유주의의 정의, 신자유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소위 '텍스트 중심 원리'에 대한 비판(주세형) 정리 및 요약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지도중점...
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단계형수준별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선택중심교육...
[A+평가 레포트]지적장애의 개념, 원인, 수준, 특성
“다른 사람과 더불어 목표를 달성해내는 능력, 다른 사람을 통하여 무엇인가를 이루어낼 수 ...
회귀분석 - y=x1-x50까지 난수생성해서 20%수준에서 유의한 것을 찾아 모형평가를 하여라
[인지구조][인지][구조][인지구조 의의][인지구조 수준][인지구조 수준별성격][인지구조 평가...
도일의 정보활용능력을 갖춘 사람에 대비하여 자신의 정보 활용능력의 수준을 평가
발문에 대해서 [교육과정 및 평가] {발문의 정의와 조건, 높은 수준의 발문과 낮은 수준의 발...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 - 콜버그(Kohlberg)이론의 특성, 도덕성발달단계(전인습적수준,인습...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에서 강조하는 분화(기본분화, 기능분화)의 관점에서 자신의 분화수준을...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ADDIE 모형에 근거하여 국가 수준의 영유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해 ...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의 정의와 기본원리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사회복지실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