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독교의 수행
Ⅰ. 기독교란 무엇인가?
Ⅱ. 기독교가 지향 하는 것.
Ⅲ. 기독교의 명상
1.기독교 명상의 유래
2. 기독교 명상의 본질
3. 기도의 형태와 내용
4. 기독교 명상의 실재
IV. 기독교와 불교 수행觀 비교
결론
Ⅰ. 기독교란 무엇인가?
Ⅱ. 기독교가 지향 하는 것.
Ⅲ. 기독교의 명상
1.기독교 명상의 유래
2. 기독교 명상의 본질
3. 기도의 형태와 내용
4. 기독교 명상의 실재
IV. 기독교와 불교 수행觀 비교
결론
본문내용
. 그 이유는 크게 3가지로 말할 수 있다. 첫째, 진리의 종교는 자신이 수행하여 자신의 본성(정체성)을 밝히는 것이 진리의 종교라 생각한다. 하지만 기독교는 너무 타력 적 이다. 이들은 하나님이라는 절대자를 만들어 놓고 그에게 모든 것을 의지하는 수행체계를 가지고 그것을 필사적으로 지키고 있다. 둘째, 기독교는 예수의 가르침을 왜곡하고 있다. 예수는 자신을 하나님의 아들이라 분명히 밝혔고 사랑을 펼치어 어려운자를 돕고 원수를 사랑하라 하였다. 하지만 기독교인은 삼위일체(Trinitas, Trinity) 라는 말을 주장하여 예수를 하나님이라 주장하여 그를 하나님으로 모시고 그들의 종지에 위반되거나 위해가 된다고 생각하면 가차 없이 이단으로 몰아 많은 사람을 죽이고 무력을 사용하여 그들을 굴복 시켰다. 이것은 하나님인 예수에게 한 걸음 더 다가가고 그를 느끼고 그를 체험한다는 그들의 주장과는 상반되는 행동이다. 그들은 예수의 뜻을 왜곡하고 어기고 있다. 이것은 그들의 수행법이 잘못된 것임을 증명한다. 셋째, 기독교의 수행법은 역사적으로나 이론적으로도 질이 낮다. 그들은 역사적으로 그들의 수행의 뿌리인 영지주의를 배척하고 이단으로 몰아 탄압하여 새로운 수행법으로 발전시켜 수행법의 본질을 변형 시켰고 이론적으로는 ‘궁극적 관심’은 자신의 내면에서 나온 것이고 그러므로 그 해답은 자신 안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인데 기독교인은 예수를 무리하게 하나님으로 만들고 그를 절대자로 만들어 그에게 의지해 ‘궁극적 관심, 의 해답을 찾으려 한다. 그러므로 결론은 그들이 비록 세계에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지만 그들의 진리는 참된 진리가 아니며. 그들의 수행법 또한 바르지 못하다. 단 기독교인의 신앙심 하나님을 따르려는 마음만은 크게 높게 평가할 만하다.
참고문헌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세계종교사, 청년사, 2004
휴스톤스미스, 세계의 종교들, 연세대, 2004
정태혁, 명상의 세계, 정신세계사, 2004
박석, 박석 교수의 명상 길라잡이, 도솔, 1998
류성민, 종교와 인간, 한신 대학교, 2002
월폴라라훌라,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2
교양교재편찬위원회, 불교학 개론, 동국대학교, 2004
케네스첸, 불교의 이해, 분도 출판사, 2004
남회근, 불교수행법 강의,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03
월리엄페이든, 성스러움의 해석, 청년사, 2005
최준식, 종교를 넘어선 종교, 사계절, 2005
참고문헌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세계종교사, 청년사, 2004
휴스톤스미스, 세계의 종교들, 연세대, 2004
정태혁, 명상의 세계, 정신세계사, 2004
박석, 박석 교수의 명상 길라잡이, 도솔, 1998
류성민, 종교와 인간, 한신 대학교, 2002
월폴라라훌라,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2
교양교재편찬위원회, 불교학 개론, 동국대학교, 2004
케네스첸, 불교의 이해, 분도 출판사, 2004
남회근, 불교수행법 강의,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03
월리엄페이든, 성스러움의 해석, 청년사, 2005
최준식, 종교를 넘어선 종교, 사계절,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