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영화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한국 영화의 성장에 대한 놀라움

본론
․한국 영화 산업의 구조와 현황
(1) 70년대부터 90년대까지의 한국영화산업
(2) 한국영화산업의 새로운 도약
․한국 영화의 문제점
(1) 코미디와 조폭 영화라는 천편일률적인 소재의 영화들
(2) 한미투자협정에 따른 스크린 쿼터제의 축소 압력 문제
(3) 경쟁적 공급과잉으로 인한 과잉투자와 제작비 상승
․한국 영화의 발전 방향
(1) 다양한 장르영화의 육성과 예술영화 스크린 쿼터제
(2) 한국 영화의 중장기적인 발전을 고려한 영화산업의 개혁
(3) 아시아 영화산업의 네트워크 구축

결론
․한국 영화의 미래에 대한 나의 생각

※ 참고 자료

본문내용

를 갱신하며 한국영화계의 황금기를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90년대 이전까지의 우리 영화는 할리우드의 대작과 홍콩 영화로 인해 영화팬들의 외면을 받아왔다. 물론 소재의 부재와 기술과 자본의 열악함이라는 이유도 있겠지만 늘 한국 영화는 영화관에서 보기는 아깝다는 고정 관념을 쉽게 버릴 수 없었던 것 같다.
그러나 99년 ‘쉬리’가 외국 영화를 제치고 흥행 1위를 차지하고, 한국 영화 사상 초유의 관객 동원을 기록하면서 한국 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인식 변화가 시작되었던 것 같다. 그리고 더불어 한국 영화의 전성기가 시작되면서 더욱더 우리 영화계는 새로운 모습으로 관객들에게 다가왔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영화 장르의 다양성인 듯 하다. 흐지부지하던 멜로물이 대부분이었던 소재에서 액션, 드라마, 스릴러, 공포 등의 여러 장르가 등장하고 성공을 이루었다. 물론 최근에 코미디와 조폭 소재에만 치우치는 기형적인 발전 경향도 보이지만 여전히 실력 있고 창의적인 영화인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영화의 미래는 희망적으로 느껴진다.
하지만 그동안에 국내 시장에서조차 항상 외면 받았던 때와 비교하여 볼 때, 한국 영화는 급속한 성장을 이룩했던 만큼 그에 따른 부작용도 많았다. 한미 투자 협정에 따른 스크린 쿼터제의 축소 압력 문제는 여전히 논쟁적이며, 최근에는 일본 문화의 전면 개방에 따른 파급 문제도 시급해 보인다. 무엇보다 이제는 외국에서 한국 영화를 보는 관점이 달라지고 세계의 영화제에서 연달아 상을 수상하는 기사들도 눈에 띄기 시작하면서 한국 영화의 해외 수출 면에 있어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급변하는 세계 영상 산업 속에서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서 한국 영화의 재도약은 한낱 거품으로 사라져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솔직히 외국의 거대 영화에 맞서서 한국 영화가 커졌다고는 하지만 아직은 여려 면에서 밀리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한국 영화의 잠재력에 미래를 걸고 한국 영화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대비책을 단단히 세워야 할 것이다.
먼저 최근에 한쪽으로 치우친 소재에서 벗어나 독특한 소재와 기발한 아이디어를 통한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제작함으로써 일본 문화의 개방이나 스크린 쿼터제의 축소 등에 당당하게 맞설 수 있는 경제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영화의 중장기적인 발전을 고려한 구조 개혁이 시급하며 특히 스타급 개런티의 인하 문제에 대해서도 관심이 필요하다. 이미 영화 한편 출연에 스타급 여배우는 3 억 원을 넘고 있고 남자 배우는 거의 5억 원을 훌쩍 넘어버린 실정이다. 저 예산 영화 제작비보다 스타급 배우들을 출연시키는 비용이 더 드는 역설적인 현실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작품성 있는 저 예산 영화가 더 활성화되었으면 좋겠다. 더 이상 블록버스터만이 성공하는 것이 아님은 그동안의 한국영화의 흥행 성적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해외시장을 겨냥해서 동양적 분위기와 가치를 영화에 포함하여 한중일 블록을 형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세계 영화시장에 공통적인 흥행 결정인자를 충실하게 반영하고, 해외시장에서의 배급 망과 전략적 제휴를 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 영화의 현황과 문제점, 그에 따른 대안을 살펴보았는데 그동안의 한국 영화의 양적인, 질적인 면에서의 파죽지세의 성장으로 보아, 앞으로 한국 영화의 미래에 대해서도 큰 기대를 걸어볼 만 하다. 무엇보다 영화의 성장과 더불어 한국 영화에 대한 기대도 더 커져 가는데, 문제점에 대한 무조건적인 질책과 비판보다는 영화는 영화 배우나, 제작자의 것이 아닌 우리의 것임에 공감하며, 한국 영화에 대해 더 많은 관심과 사랑을 가져야 할 것이다.
※ 참고 자료
< 책 >
스크린쿼터와 문화주권 / 원용진.유지나.심광현 편저 / 문화과학사
아시아 공동제작 현황과 발전방안 / 영화진흥위원회
WTO 및 뉴라운드의 시장개방압력과 한국영화의 중장기 발전전략 /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의 미학 ― 창작과 비평의 만남을 위하여 / 이용관
한국영화 도전과 성공전략 / 심상민, 신현암, 이웅희 공저 / 삼성경제연구소
< 인터넷 >
씨네 21 http://www.cine21.co.kr/
한국영화의 역사 http://kwon0307.netian.com/kwon06-3.htm
디지털 타임스 http://www.dt.co.kr
서울경제 http://www.koreaweekly.co.kr
영화 진흥 위원회 http://www.kofic.or.kr/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2.15
  • 저작시기200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7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