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만1세 적응 관찰기록일지 1주차
1.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A)
2.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B)
3.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C)
4.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D)
5.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E)
6.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F)
7.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G)
1.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A)
2.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B)
3.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C)
4.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D)
5.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E)
6.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F)
7.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G)
본문내용
환경 속에서 자발적으로 이불에 눕고 45분 수면. 분리불안 감소, 언어 표현력과 자율성 향상.
5일차
1월 6일
아침 인사와 동시에 교사에게 손을 뻗으며 반갑게 다가옴. 자유놀이 중 옆 친구에게 “같이 놀자” 말하며 놀이 주도. 역할 놀이에도 적극 참여하며 “아기 재워요” 말하며 인형 침대 정리. 점심 완식 후 스스로 물컵 정리. 낮잠도 빠르게 잠들며 50분 이상 숙면. 한 주 동안 빠르게 정서적 안정을 찾은 모습. 자율성, 언어, 또래 관계 모두 고르게 향상됨.
총평
활동적이고 에너지 넘치는 성향이나 낯선 환경에서는 감정 표현이 매우 강하게 드러나는 아동이었습니다. 일과 초반에는 강한 거부와 울음이 있었으나, 후반으로 갈수록 신체 놀이, 언어 표현, 역할놀이에 활발히 참여하며 급속한 적응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자기조절력과 충동 조절 연습이 중요한 시기이며, 감정 표현을 언어로 유도하는 접근이 효과적입니다. 강점을 살린 주도적 활동이 아동의 자신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G)
기간
시간
날짜
적응활동 및 관찰 내용
1주
1일차
1월 2일
○○○은 등원 시 엄마 손을 꼭 잡고 입장하며 표정이 굳어 있음. 입실 직후 낯선 환경에 당황한 듯 울음을 참는 모습. 교사가 다가가 말을 걸자 고개를 끄덕이며 반응했지만 교구에는 접근하지 않음. 활동 시간 내내 교사 옆에 앉아 조용히 주변을 관찰. 점심은 1/4 섭취, 낮잠 시간에는 교사 품에서 약 20분간 수면. 첫날은 수동적이고 경계심 많은 모습이었음.
2일차
1월 3일
등원 시 엄마와 작게 인사를 나누고 입장. 울음은 없었으나 불안한 눈빛. 자유놀이 시간에 교사가 블록을 건네자 받아서 잠시 만지며 조용히 놀이에 참여. 또래가 다가오면 손에 든 장난감을 놓고 물러서는 경향. 점심 2/3 섭취. 낮잠 시간에는 이불 위에 누워 교사의 손을 잡고 약 30분 수면. 관찰 중심 행동이 여전히 강하나 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 중.
3일차
1월 4일
교실 입장 시 교사에게 고개를 숙이며 작은 목소리로 “안녕하세요” 인사. 놀이 시간 중 조용히 책장 앞에 앉아 그림책을 펼치고 혼자 넘김. 교사가 함께 앉자 책을 교사 쪽으로 옮기며 보여줌. 또래와의 거리는 유지하지만, 친구 옆에 앉아 놀이 관찰하는 시간이 늘어남. 점심은 완식 가까이 섭취. 낮잠 40분 수면. 언어 반응과 감정 안정이 조금씩 나타남.
4일차
1월 5일
입실 시 주저함 없이 교사에게 다가와 손을 잡음. 블록, 인형 등 다양한 교구에 자발적으로 손을 대며 놀이 시작. 또래가 말을 걸자 작게 미소 짓고 고개를 끄덕이는 반응. 교사가 “이건 뭐야?” 묻자 “강아지” 짧게 대답. 점심 완식. 낮잠 45분 수면.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깊어지고 있고 또래 관심도 증가.
5일차
1월 6일
아침 등원 시 밝은 표정으로 “선생님~” 외치며 입실. 자유놀이 시간에 또래 2명과 함께 블록을 나눠 가지며 놀이 진행. 친구가 장난감을 넘겨주자 “고마워” 작게 말함. 교사와의 역할놀이에도 활발히 참여. 점심 완식, 낮잠 50분 수면. 일주일 동안 조용하지만 깊이 있는 적응을 보여줌. 정서적 안정과 언어·사회성 발달이 동시적으로 관찰됨.
총평
내성적이고 조용한 성향의 아동으로, 첫날은 대부분 관찰과 정적인 행동 위주였으나 교사와의 안정된 관계 형성을 기반으로 점차 놀이 참여도가 증가하였습니다. 감정 표현은 크지 않지만 반응의 깊이가 있고,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안정적으로 일과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또래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어 사회성 발달이 기대됩니다. 개별적 소그룹 활동을 통해 자율성과 자신감을 키워주는 방향이 적합합니다.
5일차
1월 6일
아침 인사와 동시에 교사에게 손을 뻗으며 반갑게 다가옴. 자유놀이 중 옆 친구에게 “같이 놀자” 말하며 놀이 주도. 역할 놀이에도 적극 참여하며 “아기 재워요” 말하며 인형 침대 정리. 점심 완식 후 스스로 물컵 정리. 낮잠도 빠르게 잠들며 50분 이상 숙면. 한 주 동안 빠르게 정서적 안정을 찾은 모습. 자율성, 언어, 또래 관계 모두 고르게 향상됨.
총평
활동적이고 에너지 넘치는 성향이나 낯선 환경에서는 감정 표현이 매우 강하게 드러나는 아동이었습니다. 일과 초반에는 강한 거부와 울음이 있었으나, 후반으로 갈수록 신체 놀이, 언어 표현, 역할놀이에 활발히 참여하며 급속한 적응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자기조절력과 충동 조절 연습이 중요한 시기이며, 감정 표현을 언어로 유도하는 접근이 효과적입니다. 강점을 살린 주도적 활동이 아동의 자신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신입원아 적응 관찰기록 (만1세) - 1주차 (아동 G)
기간
시간
날짜
적응활동 및 관찰 내용
1주
1일차
1월 2일
○○○은 등원 시 엄마 손을 꼭 잡고 입장하며 표정이 굳어 있음. 입실 직후 낯선 환경에 당황한 듯 울음을 참는 모습. 교사가 다가가 말을 걸자 고개를 끄덕이며 반응했지만 교구에는 접근하지 않음. 활동 시간 내내 교사 옆에 앉아 조용히 주변을 관찰. 점심은 1/4 섭취, 낮잠 시간에는 교사 품에서 약 20분간 수면. 첫날은 수동적이고 경계심 많은 모습이었음.
2일차
1월 3일
등원 시 엄마와 작게 인사를 나누고 입장. 울음은 없었으나 불안한 눈빛. 자유놀이 시간에 교사가 블록을 건네자 받아서 잠시 만지며 조용히 놀이에 참여. 또래가 다가오면 손에 든 장난감을 놓고 물러서는 경향. 점심 2/3 섭취. 낮잠 시간에는 이불 위에 누워 교사의 손을 잡고 약 30분 수면. 관찰 중심 행동이 여전히 강하나 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 중.
3일차
1월 4일
교실 입장 시 교사에게 고개를 숙이며 작은 목소리로 “안녕하세요” 인사. 놀이 시간 중 조용히 책장 앞에 앉아 그림책을 펼치고 혼자 넘김. 교사가 함께 앉자 책을 교사 쪽으로 옮기며 보여줌. 또래와의 거리는 유지하지만, 친구 옆에 앉아 놀이 관찰하는 시간이 늘어남. 점심은 완식 가까이 섭취. 낮잠 40분 수면. 언어 반응과 감정 안정이 조금씩 나타남.
4일차
1월 5일
입실 시 주저함 없이 교사에게 다가와 손을 잡음. 블록, 인형 등 다양한 교구에 자발적으로 손을 대며 놀이 시작. 또래가 말을 걸자 작게 미소 짓고 고개를 끄덕이는 반응. 교사가 “이건 뭐야?” 묻자 “강아지” 짧게 대답. 점심 완식. 낮잠 45분 수면.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깊어지고 있고 또래 관심도 증가.
5일차
1월 6일
아침 등원 시 밝은 표정으로 “선생님~” 외치며 입실. 자유놀이 시간에 또래 2명과 함께 블록을 나눠 가지며 놀이 진행. 친구가 장난감을 넘겨주자 “고마워” 작게 말함. 교사와의 역할놀이에도 활발히 참여. 점심 완식, 낮잠 50분 수면. 일주일 동안 조용하지만 깊이 있는 적응을 보여줌. 정서적 안정과 언어·사회성 발달이 동시적으로 관찰됨.
총평
내성적이고 조용한 성향의 아동으로, 첫날은 대부분 관찰과 정적인 행동 위주였으나 교사와의 안정된 관계 형성을 기반으로 점차 놀이 참여도가 증가하였습니다. 감정 표현은 크지 않지만 반응의 깊이가 있고,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안정적으로 일과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또래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어 사회성 발달이 기대됩니다. 개별적 소그룹 활동을 통해 자율성과 자신감을 키워주는 방향이 적합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