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의 새로운 고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정의 새로운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 소개

2. 무정 소개

3. 무정의 배경

4. 등장인물의 성격

5. 주제

6. 무정의 근대성

7. 무정의 단점

8. 무정의 새로운 고찰

9. 무정에 대한 감상

본문내용

인 이 두 이념간의 갈등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이 두 가지 이념은 각각 과거의 '영채'(유교 교육을 받은 순종적인 여인)와 ‘이형식’(가장 형식적인 인물), '김욱'등의 인물들을 통해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두 이념이 신교육을 통해서 해결될 수 있을까? 그리고 개화기의 지식인이라고 볼 수 있는 주인공 '이형식'의 행동을 살펴보면 첫째, 그는 진실한 사랑을 하지 않았다. 그는 '이 선형'의 집안과 외모, 그리고 미국 유학에 눈이 멀어 그녀와 결혼을 택했고, 영채에 대한 사랑은 우선적으로 자신의 스승에 대한 죄책감과 책임감인 것이었다. 둘째, 그의 잘못된 사회 인식이다. 그 당시의 우리나라는 식민지였다(박진사가 애국지사로 체포됐다는 것으로 보아서 추측). 그러나 식민지시대에 우리민족을 계몽하려 했던들 무슨 필요가 있겠는가. 다시 말해 새장 안에서 새가 날고 싶은 욕망에 날개를 파닥거려도 아무런 소용이 없을 것이다. 셋째, 그의 잘못된 교육인식이다. 그는 우리 민족의 교육과 민족의 계몽을 위해서 단순히 다른 나라로
유학을 가야 한다는 잘못된 인식을 가시고 있다. 뿌리가 있어야 식물이 지탱하듯이 우리의 문화에는 신경 쓰지 않고 우리 민족을 어리석게 생각하는 그는 오히려 문화적 사대주의를 가진 사람이 아닐까? 이러한 그릇된 행동과 생각을 가진 인물을 주인공으로 세웠다면 신교육을 주장하려 했던 작가의 잘못된 주관이 아닌지 의심이 될 정도였다. 더욱이 주인공이 아닌 주변인물(영채, 선형, 우선, 병욱)을 보아도 그 사실을 더 잘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결코 바람직하지 못한 교육사상이라고 생각한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2.28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1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