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한일합방 \"식민지인가 합방인가?\" 합방이라면 대등한 관계였나? 종속이었나?
쟁점을 쓰는것입니다. (근거를 들어주셔야 합니다.)
2. 한일합방은 합법적으로 이루어졌는가?라는 쟁점에 대해 조사서술입니다.
3. 일본의 한일합방에 대한 의도와 목적에 대해 조사서술입니다.
4.일진회의 성격 언제 만들어졌으며 활동내용 중심인물(이완용) 해체계기 등에 대해 서술입니다.
5. 일본은 우리나라를 합방해서 근대화 시켜주었다고 하는데 과연 그게 진짜 근대화였는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을 언급하셔야 됩니다.
쟁점을 쓰는것입니다. (근거를 들어주셔야 합니다.)
2. 한일합방은 합법적으로 이루어졌는가?라는 쟁점에 대해 조사서술입니다.
3. 일본의 한일합방에 대한 의도와 목적에 대해 조사서술입니다.
4.일진회의 성격 언제 만들어졌으며 활동내용 중심인물(이완용) 해체계기 등에 대해 서술입니다.
5. 일본은 우리나라를 합방해서 근대화 시켜주었다고 하는데 과연 그게 진짜 근대화였는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을 언급하셔야 됩니다.
본문내용
심한 식량난을 겪어야 했던 것이 과연 근대화라 할 수 있습니까?
일제가 자본주의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잉여자본을 한국에 투입시켜 공업화시킨 것이 결국 군수산업발전을 위한 것이었다면 그것이 우리산업을 보호 육성하는 정책이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철도를 놓고 도로를 정비한 것이 그들이 우리의 자원을 좀더 용이하게 자신들의 나라고 수탈하려는 의도였던 것이 어떻게 근대화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그들이 내세우는 논리는 도둑질 하기 편하게 만들어 놓고 도둑질해가고는 그정도 해줬는데 뭐가 문제냐는 식입니다. 자신들의 수탈이 없었다면 우리는 마냥 근대화되지 못했을 것이라는 식의 논리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의 자생적 자본주의의 가능성을 간과한 것입니다. 그들이 그렇게 하지 않았어도 우리는 우리 스스로 근대화를 이룩할 능력이 충분히 있었습니다. 실학에서 그 가능성을 찾지요. 그들이 그런 논리로 착취해간 것이 오히려 우리의 근대화에 치명타를 입혔다는 생각은 조금도 하지 않는 발상입니다. 우린 기회조차 박탈당한 셈이죠.
그들의 논리는 한마디로 식민지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논리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국주의국가들이 공통적으로 내세우는 강대국의 논리일 뿐입니다.
일제가 자본주의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잉여자본을 한국에 투입시켜 공업화시킨 것이 결국 군수산업발전을 위한 것이었다면 그것이 우리산업을 보호 육성하는 정책이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철도를 놓고 도로를 정비한 것이 그들이 우리의 자원을 좀더 용이하게 자신들의 나라고 수탈하려는 의도였던 것이 어떻게 근대화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그들이 내세우는 논리는 도둑질 하기 편하게 만들어 놓고 도둑질해가고는 그정도 해줬는데 뭐가 문제냐는 식입니다. 자신들의 수탈이 없었다면 우리는 마냥 근대화되지 못했을 것이라는 식의 논리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의 자생적 자본주의의 가능성을 간과한 것입니다. 그들이 그렇게 하지 않았어도 우리는 우리 스스로 근대화를 이룩할 능력이 충분히 있었습니다. 실학에서 그 가능성을 찾지요. 그들이 그런 논리로 착취해간 것이 오히려 우리의 근대화에 치명타를 입혔다는 생각은 조금도 하지 않는 발상입니다. 우린 기회조차 박탈당한 셈이죠.
그들의 논리는 한마디로 식민지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논리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국주의국가들이 공통적으로 내세우는 강대국의 논리일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