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에서의 잘못된 언어사용과 개선방안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에서의 잘못된 언어사용과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방송언어의 특성과 조건, 개념

2. 방송언어의 내용, 조건
2.1. 객관성, 정확성, 사실성
2.2. 지식성, 교양성
2.3. 건전성 등

3. 방송언어의 형식 조건
3.1. 표준어를 써야 한다
3.2. 교양어법을 써야 한다.
보충자료 - 방송과 국어 생활
날씨, 교통정보 방송, 부적절한 언어사용 많아

본문내용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자막,sbs,그것이 알고 싶 다,7.19.)
#굉장히 궁금해하시는 점이 있으실 거예요 > 매우 궁금하실 거예요 (심은진,sbs,세븐데 이즈,7.27.)
#홍보 영상물의 마지막 그 글이 굉장히 아이러니하네요 > 홍보 영상물의 마지막 그 글 이 상당히 아이러니하네요 (배유정,sbs,세븐데이즈,7.27.)
(2) 부문별 최악의 방송 언어
①어휘 잘못
#99년 중앙일보 홍석현 사장의 탈세 사건과 조선, 동아 사주들의 탈세 사건은 어떤 차별 이 있는 것일까요? > 99년 중앙일보 홍석현 사장의 탈세 사건과 조선, 동아 사주들의 탈 세 사건은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이우환,mbc,PD수첩,7.8.)
②비논리적 표현
#에이즈 감염 사실을 밝혀 낼 수 없는 기간이 2주간이 된다는 사실이 매우 놀라운데 말이 죠> 에이즈 감염 여부를 2주 후에나 알 수 있다는 사실이 매우 놀라운데요 (이영돈,kbs, 추적60분,7.19)
③표현 잘못
#날씨 예보를 위해 기상 자료를 일렬종대하고 30년 통계 자료까지 총출동했다 > 날씨를 예보하기 위해 기상 자료를 죽 늘어놓고 30년 전의 통계 자료까지 다 내놓았다 (이규 원,kbs,VJ특공대,7.25.)
④외국어, 외래어 남용
#오 마이 갓 > 어머나 (성우,sbs,세븐데이즈,7.27.)
⑤발음 잘못
#정말 살기 힘들었든 거 같애요 > 정말 살기 힘들었던 거 같아요 (김갑수,sbs,세븐데이 즈,7.13.)
3. 7월의 국어 벗쟁이
정진영 (sbs,'그것이 알고 싶다' 진행자)
정진영 님은 14건의 잘못으로 11건의 배유정 님(sbs, '세븐데이즈' 출연자)을 제치고 7월 의 국어 벗쟁이로 선정되었습니다.
♧ 정진영 님의 주요 어록
#아이를 살려야 한다는 부모의 마음이 경찰 수사에 비협조적으로 부모를 만들기 때문입 니다> 아이를 살려야 한다는 생각이 부모를 경찰 수사에 비협조적으로 만들기 때문입니 다 (정진영,sbs,그것이 알고 싶다,7.5.)
#그 뒤에 범인으로부터는 아무런 지시 상황이 없었습니다 > 그 뒤에 범인한테서는 아무 런 지시가 없었습니다 (정진영,sbs,그것이 알고 싶다,7.5.)
#그 시간 경희는 다섯 명의 청년들 사이에서 언쟁을 듣고 떨고 있어야 했습니다 > 그 시 간 경희는 다섯 명의 청년들 사이에서 그들의 언쟁을 들으며 떨고 있어야 했습니다 (정진 영,sbs,그것이 알고 싶다,7.5.)
#보아의 소속 기획사에선 탄탄한 유통망을 가진 현지의 전문 음반 기획사와 제휴를 맺습 니다 > 보아가 소속된 기획사는 유통망이 탄탄한 현지 전문 음반 기획사와 제휴를 맺습 니다(정진영,sbs,그것이 알고 싶다,7.19.)
4. 방송국별 문제점
방송 3사의 교양, 정보 프로그램에서는 비속어나 외국어, 외래어 남용이 별로 나타나지 않 았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사람들이 연예 오락 프로그램 진행자들과 차이가 있음 을 한눈에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그러나 어휘 선택, 부정확한 표현법, 자막의 어문 규정 안 지키기는 세 방송국이 다 여전했습니다. 그 가운데에서도 아래 두 현상이 뚜렷했습니 다.
(1)한국방송은 엉터리 자막의 산실
자막을 검토해 보니 한국 방송은 총 191건의 잘못을 저질러 다른 방송을 압도했습니다. 서울방송이 117건, 문화방송이 96건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특히 한국방송의 'VJ특공대'는 엉터리 자막의 대표 프로그램이라고 할 만합니다.
(2)문화방송이 매우 좋아졌습니다
자막의 띄어쓰기를 가장 엉망으로 하던 문화방송이 눈에 띄게 좋아졌습니다. 어휘나 표현 법은 문화방송이, 맞춤법은 서울방송이 정확했습니다. 한국방송은 입말과 글말 모두에서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어휘 표현법 외래어 발음 띄어쓰기 총계
한국방송 16 106 8 7 95 232 건
문화방송 12 72 6 8 53 151 건
서울방송 15 97 5 8 48 173 건
보충자료
☆★"날씨교통정보 방송, 부적절한 언어사용 많아"
http://blog.naver.com/viper109/3636291
(서울=연합뉴스) 홍제성 기자
날씨와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비논리적이고 부적절한 언어 사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위원회 산하 방송언어특별위원회(위원장 고흥숙)가 지난달 31일부터 6일까지 지상파방송 3사의 TV와 라디오(AM) 중 날씨와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언어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부적절한 어휘를 사용하고 어법을 파괴하는 등 우리 말 사용에 적잖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우선 조사를 생략하는 등 전통적인 어법의 파괴 현상이 지나친 것으로 지적됐다.
‘일교차 아주 큰 날씨', '감기 걸리기 좋은 날씨, '월요일 비가 내리면서' 등 조사를 생략한 채 명사끼리 연결해 말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법에 어긋나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사례도 눈에 띄었다. '오늘을 지나면(오늘이 지나면)', '30도가 웃도는 날씨(30도를)', '남쪽으로는(남쪽에는)', ' 곳곳으로(곳곳이)'처럼 조사를 잘못 쓰거나 불필요한 조사를 덧붙이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밀려가다', '줄여가다', 좁혀지다', '치워지다 등 영어 식 표현에 익숙한 나머지 어색한 피동형을 만들어 사용한 사례도 발견됐다.
'답답한 흐름', '넉넉한 흐름', '별다른 구름 없이', '아침 기온은~출발했는데요', '아침기온 어제보다 약간 떨어지게', '교통량이~모아지고 있습니다'와 같이 문장이 비논리적이거나 어색한 경우도 많았다.
그밖에도 진행자들이 장단음을 구분 못하거나 정확한 발음을 전달하지 못한 경우도 많았으며 장황한 수식어로 정보 전달이 제대로 안되는 사례도 문제점으로 부각 됐다.
방송언어특위는 "신속성과 정확성을 생명으로 하는 정보 프로그램에서 올바른 우리말 사용에 유의해 줄 것을 방송사에 요청했다"면서 "지나친 수사로 정보 전달에 어려움이 생기지 않도록 방송에서는 간명하고 구체적인 표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TV 프로그램으로는 방송 3사의 저녁종합뉴스를 포함한 아침과 저녁 뉴스를 대상으로 삼았으며, 라디오는 방송3사의 날씨와 교통정보 프로그램에 TBS 교통방송의 프로그램을 포함시켰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2.28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