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人間과 言語의 關係
1. 言語는 人間만의 것
2. 言語는 人間이 가지고 있는 能力 중 가장 重要한 것의 하나
3. 人間이 業績 중 아주 重要한 것들이 言語에 의해서 이루어짐
참고문헌
1. 言語는 人間만의 것
2. 言語는 人間이 가지고 있는 能力 중 가장 重要한 것의 하나
3. 人間이 業績 중 아주 重要한 것들이 言語에 의해서 이루어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달이다. 문학의 도구는 언어이다. 따라서 언어가 없었던들 문학도 있을 수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은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다. 그 동안 우리 인간들은 文學을 통하여 藝術的 創造力을 마음껏 발휘해 왔다. 그리하여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아름다운 詩나 소설이나 희곡 등을 인류의 文化的 재산으로 갖게 되었다. 또한 우리 인간들은 文學을 통하여 많은 즐거움을 얻어 왔다. 그리고 그것을 통하여 우리 인간들은 보다 고귀한 가치와 理想도 추구할 수 있었다.
인간의 언어는 學問과 敎育을 통해서도 인류문화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앞에서도 이미 언급이 되었듯이 만약에 學問과 敎育이 없었던들 우리는 지금과 같이 화려한 文明과 文化를 즐기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중요한 학문과 교육을 그 정도의 水準으로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던 것은 언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우선 모든 知識은 언어에 의해서 남에게 쉽게 전달이 될 수 있었다. 특히 책이 나온 다음부터는 지식을 전달하는 일이 時空의 제한까지 넘어설 수 있었다. 즉 수천 년 전에 얻은 지식도 지금 그대로 전달될 수가 있게 되었고, 또한 모르는 나라에서 찾아낸 지식도 금방 모두에게 전달될 수가 있게 된 것이다.
그 다음으로, 학문의 기초가 되는 모든 지식은 언어에 쉽게 축적될 수가 있게 되었다. 물론 여기에서의 언어라 함은 口語가 아니라 文語를 말하고 있는 것으로서 바로 그것이 있었기 때문에 한 번 획득된 지식은 빠짐없이 쉽게 기록되고 보존될 수가 있었고, 또한 일단 기록되고 보존된 것은 곧바로 다음 世代에게 넘겨져 무언가 새로운 것을 보탤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오랜 세월에 걸쳐 이런 과정이 여러 차례 반복되다 보니까 인류에게는 지금과 같이 엄청난 양의 지식이 축적되게 되었고, 결국 그것이 힘이 되어 우리는 오늘날과 같이 엄청난 양의 지식이 축적되게 되었고, 결국 그것이 힘이 되어 우리는 오늘날과 같이 찬란한 文化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세 번째로 우리의 모든 지식은 언어에 의해서 토의가 되고 비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어느 분야가 되었든 간에 참된 지식을 얻는 데는 오랜 시간과 많은 우여곡절과 여러 사람의 참여가 필요한 것인데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말이나 글인 것이다. 예컨대 말로써 서로 토의를 해 보면 한 사람이 얻어낸 지식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조만간 밝힐 수 있다. 만약에 그것이 모두가 거짓은 아니어서 부분적으로는 맞는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만은 다른 사람들에게 수용되어서 그 다음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 그리고 만약에 그것 전체가 거짓으로 판명이 된다면 그 자리에서 그것은 가치와 生命을 잃어버린다. 물론 이와는 정반대의 경우도 이따금 있을 수 있다. 즉 한 사람이 찾아낸 지식이 모두 맞는 것이어서 별로 특별한 수정을 받을 필요 없이 그대로 다음 세대로 인계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 동안 수천 년에 걸쳐서 이렇게 중요한 여과와 누적의 절차를 결국 언어가 담당해 온 것이다.
하긴 이런 식으로 따져 간다면 인류의 文化 중 직접 간접으로 언어의 영향을 받지 않은 부분은 거의 없을지 모른다. 그 동안 언어에 의해서 지식이 빠르게 전파되고 누적되지 않았던들 지금 우리 눈앞에 전개되어 있는 바와 같은 有形 無形의 문명과 문화가 존재 할 수가 없었을 것이다. 물론 언어 자체도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귀중한 文化財이다. 그렇지만 다른 부야의 발전에 끼친 간접적인 영향도 또한 그 무엇과 비교할 수 없으리 만큼 대단히 큰 것이다.
참고문헌
『人間과 言語』, 집문당, 김진우, 1992
한글 제153호, 604~614쪽, 한글학회, 이정, 2005
한글 제 2호, 249~251쪽, 한글학회, 유근석, 2005
인간의 언어는 學問과 敎育을 통해서도 인류문화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앞에서도 이미 언급이 되었듯이 만약에 學問과 敎育이 없었던들 우리는 지금과 같이 화려한 文明과 文化를 즐기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중요한 학문과 교육을 그 정도의 水準으로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던 것은 언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우선 모든 知識은 언어에 의해서 남에게 쉽게 전달이 될 수 있었다. 특히 책이 나온 다음부터는 지식을 전달하는 일이 時空의 제한까지 넘어설 수 있었다. 즉 수천 년 전에 얻은 지식도 지금 그대로 전달될 수가 있게 되었고, 또한 모르는 나라에서 찾아낸 지식도 금방 모두에게 전달될 수가 있게 된 것이다.
그 다음으로, 학문의 기초가 되는 모든 지식은 언어에 쉽게 축적될 수가 있게 되었다. 물론 여기에서의 언어라 함은 口語가 아니라 文語를 말하고 있는 것으로서 바로 그것이 있었기 때문에 한 번 획득된 지식은 빠짐없이 쉽게 기록되고 보존될 수가 있었고, 또한 일단 기록되고 보존된 것은 곧바로 다음 世代에게 넘겨져 무언가 새로운 것을 보탤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오랜 세월에 걸쳐 이런 과정이 여러 차례 반복되다 보니까 인류에게는 지금과 같이 엄청난 양의 지식이 축적되게 되었고, 결국 그것이 힘이 되어 우리는 오늘날과 같이 엄청난 양의 지식이 축적되게 되었고, 결국 그것이 힘이 되어 우리는 오늘날과 같이 찬란한 文化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세 번째로 우리의 모든 지식은 언어에 의해서 토의가 되고 비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어느 분야가 되었든 간에 참된 지식을 얻는 데는 오랜 시간과 많은 우여곡절과 여러 사람의 참여가 필요한 것인데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말이나 글인 것이다. 예컨대 말로써 서로 토의를 해 보면 한 사람이 얻어낸 지식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조만간 밝힐 수 있다. 만약에 그것이 모두가 거짓은 아니어서 부분적으로는 맞는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만은 다른 사람들에게 수용되어서 그 다음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 그리고 만약에 그것 전체가 거짓으로 판명이 된다면 그 자리에서 그것은 가치와 生命을 잃어버린다. 물론 이와는 정반대의 경우도 이따금 있을 수 있다. 즉 한 사람이 찾아낸 지식이 모두 맞는 것이어서 별로 특별한 수정을 받을 필요 없이 그대로 다음 세대로 인계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 동안 수천 년에 걸쳐서 이렇게 중요한 여과와 누적의 절차를 결국 언어가 담당해 온 것이다.
하긴 이런 식으로 따져 간다면 인류의 文化 중 직접 간접으로 언어의 영향을 받지 않은 부분은 거의 없을지 모른다. 그 동안 언어에 의해서 지식이 빠르게 전파되고 누적되지 않았던들 지금 우리 눈앞에 전개되어 있는 바와 같은 有形 無形의 문명과 문화가 존재 할 수가 없었을 것이다. 물론 언어 자체도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귀중한 文化財이다. 그렇지만 다른 부야의 발전에 끼친 간접적인 영향도 또한 그 무엇과 비교할 수 없으리 만큼 대단히 큰 것이다.
참고문헌
『人間과 言語』, 집문당, 김진우, 1992
한글 제153호, 604~614쪽, 한글학회, 이정, 2005
한글 제 2호, 249~251쪽, 한글학회, 유근석, 2005
추천자료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특징그리고 비교
언어와 문화의 관계
언어의 생득설과 학습설
언어의 생득설과 학습설
정상언어발달 순서
언어본능 (수다쟁이) 요약본
언어와 사회를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시사점,...
[A+ 레포트] (언어의 이해) 언어기호의 특성을 설명
[상호작용][사회적 상호작용][언어적 상호작용][상징적 상호작용][인지]사회적 상호작용, 언...
[노암 촘스키]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와 언어이론, 언어처리,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와 광고...
언어의 7가지 기능에 대해 정리한 뒤, 각 기능의 사례를 찾아 들어보세요
[유아발달 A형] 유아기 사회인지발달과 언어발달의 특징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사회인지발달...
언어기호의 특성을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