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혈액의 특징 및 혈액형
1. 혈액의 기능
(1) 모세혈관의 동맥부 말단
(2) 중심부
(3) 모세혈관의 정맥부 말단
2. 혈장의 성분
<혈장>
3. 혈액의 응고
4. ABO식 혈액형과 Rh 혈액형의 구분
(1) ABO식 혈액형
(2) RH식 혈액형
1. 혈액의 기능
(1) 모세혈관의 동맥부 말단
(2) 중심부
(3) 모세혈관의 정맥부 말단
2. 혈장의 성분
<혈장>
3. 혈액의 응고
4. ABO식 혈액형과 Rh 혈액형의 구분
(1) ABO식 혈액형
(2) RH식 혈액형
본문내용
붉은털 원숭이(Rhesus monkey)의 이름에서 딴 것이다. 붉은 털 원숭이의 혈구로 면역된 토끼 혈청을 사람의 적혈구에 작용시키면 응집하는 경우와 응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 응집하는 혈구는 Rh 인자(Rh 항원)가 있는 것이다. Rh 인자가 있는 것을 Rh 양성(RH+), 없는 것을 Rh 음성(Rh-)이라 하며, 유전학적으로는 Rh 양성이 Rh 음성에 대하여 우성이다. Rh- 형의 여자가 Rh+ 형의 아기를 임신하면, 임신 중에 태아의 혈액이 태반을 통해 모체로 들어가서 모체의 혈액 속에 Rh 항체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Rh 항체가 태반을 통해 태아에 이행되어 태아의 혈구를 용해시키게 된다. 특히, 둘째 이후에 Rh+ 아기를 임신했을 경우에, 태아는 태아적아세포증(erythroblastosis fetalis)이 되어 출생 즉시, 중증 황달로 죽거나 자라서 뇌성소아마비를 일으킨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출생하자마자 태아의 혈액을 Rh 항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Rh- 형 혈액으로 교환하는 수혈을 해야 한다. 또, 외과 수술 등으로 수혈이 필요할 경우에도 Rh- 형인 사람은 ABO식 혈액형이 일치하는 동시에 Rh- 형의 혈액을 구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