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와 그 한축인 지상파 DMB의 문제점, 경제적 효과 및 전망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정보요구의 변화와 방송의 디지털화
제2절 왜 갑자기 DMB인가

<제2장 본론>
첫 번째 DMB에 관해,
제1절 DMB 서비스의 개요
제2절 DMB 서비스 구분
제3절 DMB에 대한 시장반응
제4절 외국의 경우
두 번째 DMB의 한축 지상파 DMB에 관해,
제1절 지상파 DMB의 정의
1. 구현방식
2. 기술 표준
3. 지상파 DMB 연혁 및 향후 일정
4. 관련한 주요 방송법
5. 지상파 DMB의 비디오 서비스 송출 구조
6. 사업자와의 관계
제2절 문제점 및 과제
제3절 지상파 DMB의 경제적 효과
제4절 지상파 DMB 전망

<제3장 결론>
보고서의 한계점 및 결론

본문내용

것으로 보고 있다. 지상파 DMB 사업자들은 광고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DMB 서비스 이용 시간대를 치밀하게 분석해야 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지난 1월 조사한 바에 따르면, DMB 서비스 하루 예상 이용시간은 2.29시간으로 공중파 TV(2.33시간)와 거의 비슷했다.
지상파 DMB 사업자들은 중계기 구축이 당면 과제다. 지상파 DMB 전파는 건물이나 산 등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고층빌딩이 많은 곳과 지하에서는 전파가 잘 잡히지 않는다. 이에 따라 구석구석 중계기를 깔아야하는데, 전혀 투자가 안 돼 있기 때문에 서비스가 당장 시작되더라도 소비자들의 불만이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지상파 DMB 사업자들과 이동통신사들 사이에 중계기 설치비용을 놓고 논의만 진행되고 있을 뿐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중계기 투자 문제가 얼마나 빨리 타결되느냐가 지상파 DMB에는 시장 주도권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수도권 지역의 원활한 지상파 DMB 서비스를 위해서는 400억~500억원의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진다.
사실 공중파 TV 재전송은 DMB 서비스에서 인기 콘텐츠임이 틀림없다. 한국방송 DMB 추친팀쪽은 “방송법에도 이동 멀티미디어방송을 행하는 위성방송 사업자는 공중파 TV 재전송을 못하도록 되어있다”며 “위성 DMB사업자인 TU미디어가 재전송을 허용하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지상파 DMB 사업자의 가장 큰 무기인 공중파 TV 재전송을 저쪽에도 허용해준다면 공정한 경쟁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최근 보도된 기사에 따르면 방송4사가 위성 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에 지상파 프로그램을 재전송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KBSMBCSBSEBS 등 지상파 4사 사장과 노동조합 대표자 등 12명은 13일 여의도의 한 음식점에서 만나 방송 관련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조선일보 2005년 5월 16일) 이는 당분간 위성 DMB를 통해서는 지상파TV와 똑같은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상파DMB 특별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한 정연주 KBS 사장이 말한 것처럼, "지상파DMB가 성공하기 위한 핵심 요건인 전국 망과 방송망, 유통망 등 세가지 망이 갖춰질 때"야 비로소 위성 DMB로 지상파 방송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시기를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현재로선 내년 상반기 중 위성 DMB 단말기에서 지상파 방송을 보는 것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아이뉴스 2005년 5월 17일) 때문에 지상파 DMB사업은 더욱 탄력을 받게 될 것이다.
또한 지상파 DMB 수신기를 내장한 센스 Q30의 출시 등도 더욱 힘을 보태줄 것이다.
<제3장 결론>
보고서의 한계점 및 결론
DMB의 경우 자료를 구하기가 그다지 어렵지 않았고, 팀원들의 단합도 잘되었기 때문에 특별한 한계점은 없었다. 다만, 오히려 많은 자료들 때문에 보고서의 방향을 잡기가 쉽지는 않았다.
지상파 DMB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단말기만 갖추면 시청료를 내지 않고도 지상파 방송을 비롯한 양질의 방송을 볼 수 있어 위성 DMB의 유력한 경쟁매체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서비스 사업자들은 위성 DMB와는 달리 가입자를 따로 모집하지 않아도 된다. 또 5000억원 이상을 투자해야하는 위성 DMB에 비해 지상파 DMB 투자규모는 그 10분의 1 정도에 불과한 600억~800억원이라 초기투자 부담도 적은 편이다. 그리고 최근 위성DMB의 지상파 재전송 불허 방침으로 지상파 DMB는 더욱 힘을 얻고 있다. 그러나 지상파 DMB가 무료라는 점은 수익성 측면에서 갖는 약점이다. '광고'로만 수익모델을 가져가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이동통신 후발사들이 지상파 DMB에 중점을 둘 경우 위성 DMB의 초기 시장활성화는 더욱 난관에 봉착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위성 DMB의 경우 주요 타깃이 이동전화 가입자다. 그런데 후발사들이 지상파 DMB를 서비스하게 되면 이동전화 가입자들이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양분될 가능성이 높아 위성 DMB 시장자체가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자회사인 TU미디어를 통해 위성DMB 사업에 '올인'하고 있는 SK텔레콤도 휴대폰 겸용 지상파 DMB 단말기를 출시할 뜻을 밝히는 등 지상파 DMB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지상파 DMB가 넘어야할 산도 많다. 위성 DMB 서비스가 지상파 DMB보다 먼저 시작되고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휴대폰 겸용 단말기의 경우 위성DMB용은 출시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지상파 DMB의 경우 전용단말기는 개발이 완료됐지만, 휴대폰 겸용은 내년 중반 이후에나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향후 사업 추진 일정이 불투명해 제조업체들의 지상파 DMB 단말기 개발 노력도 미흡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방송법으로 지상파 방송사업에 대한 이동통신사업자의 지분투자가 금지돼 있다는 점도 대리점을 통한 단말기 보급은 물론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지상중계망 구축에 적극적인 역할이 기대되고 있는 이통사업자들의 투자 노력에 마이너스 요인이다.
'꿈의 방송'이라고 일컬어지는 DMB 서비스. 위성 DMB의 경우 가입자들을 끌어모을 수 있는 양질의 방송콘텐츠 확보가, 지상파 DMB는 휴대폰과 이동통신망이 결합된 양방향 서비스의 가능 여부가 사업 성공의 핵심 변수로 남아있다.
참고 문헌
박경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술 및 서비스> 2003, 커뮤니케이션 북스
이만제,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2003, 커뮤니케이션 북스
김동옥, <디지털 통신 이론> 2004
임은모, 2005, 진한엠엔비(진한도서)
최성진, 2005
한계레21 제554호
http://www.k-dmb.com
http://www.dmbplus.com
http://www.camos.tv/DMB.htm
http://dmb.sbs.co.kr/
http://www.kbs.co.kr/dmb/
http://www.kinds.or.kr
http://www.chosun.com
http://www.tu4u.com
http://www.dmbexpo.com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3.17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