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 스키부츠 탈착과 폴 잡는 법
② 보행과 등행
③ 넘어지기와 일어서기
④ 방향전환
⑤ 직활강
⑥ 프르그 활강
⑦ 프르그 보겐(부분동작)
⑧ 프르그 보겐(연속동작)
⑨ 사활강
② 보행과 등행
③ 넘어지기와 일어서기
④ 방향전환
⑤ 직활강
⑥ 프르그 활강
⑦ 프르그 보겐(부분동작)
⑧ 프르그 보겐(연속동작)
⑨ 사활강
본문내용
스키의 산 쪽 엣지로 경사면을 가로질러 타는 방법으로 산돌기와 옆으로 타기의 기본이 되는 기술이다. 사활강에서는 스피드나 미끄러지는 스키를 컨트롤하고 폴라인에 대한 방향을 체크할 수 있다. 사활강에서 턴을 반복하면 좋은 스피드로 내려갈 수 있다. 사활강의 가도가 급할수록 스피드는 난다. 강하게 엣징을 하면 사면을 비스듬히 내려가는 동안 바라던 라인을 유지할 수 있고 스키는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아 산 쪽으로 넘어질 염려도 없다. 사활강에서 균형을 유지하는데 충분한 비율인 하중 90%를 계곡스키에 두고 스키의 앞부분에 하중을 싣는다. 나머지 하중의 10% 정도가 산쪽 스키에 걸리게 된다. 턴에 들어갔을 때 언제라도 산 쪽 스키에 전 체중을 옮길 수 있도록 준비해 둔다. 균형을 잡기 위해 팔을 벌리고 구부리며 몸보다 앞으로 내밀며 스톡의 링은 눈을 찍지 않는다. 사활강의 자세가 조금 불안하게 보이는 것은 아닌지. 하중을 계곡스키에 건다는 것이 아직도 옆으로 미끄러져 넘어지는 것이라고 느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실제로는 계곡 쪽으로 기울일수록 안전하다. 산 쪽 스키에 하중을 너무 두면 계곡 스키의 엣지가 빠져 기울면서 넘어진다.
- 양 스키의 벌리기를 균형 잡기 쉬운 스탠스로 한다.
- 경사면에 대하여 옆으로 서고, 산 스키의 계곡스키보다 약간 앞으로 내밀고 전 후차를 붙인다.
- 양 무릎을 산 쪽으로 밀어 붙이고 엣징을 세운다.
- 신체를 계곡 족으로 향하고, 기울이고, 산 스키보다도 계곡스키에 대한 하중을 많이 주어 균형을 잡는다.
- 스피드, 지형, 눈 상태 등의 변화에 유연하게 몸을 사용한다.
- 양 스키의 벌리기를 균형 잡기 쉬운 스탠스로 한다.
- 경사면에 대하여 옆으로 서고, 산 스키의 계곡스키보다 약간 앞으로 내밀고 전 후차를 붙인다.
- 양 무릎을 산 쪽으로 밀어 붙이고 엣징을 세운다.
- 신체를 계곡 족으로 향하고, 기울이고, 산 스키보다도 계곡스키에 대한 하중을 많이 주어 균형을 잡는다.
- 스피드, 지형, 눈 상태 등의 변화에 유연하게 몸을 사용한다.
추천자료
[스포츠와 생할] 스키의 모든 것
뇌성마비아의 올바른 자세와 일상생활동작
낙농산업의 현황과 경쟁력을 위한 낙농가의 대응자세
승마의 자세, 밸런스, 보법시의 자세
공직사회 바람직한 공무원의 역할과 자세
인사의 개념 및 자세와 요령
스노우보드 완벽정리 (역사, 보드종류, 장비, 기술, 원리, 자세)
[정신자세(마음가짐), 공인]공인, 외식업경영자의 정신자세(마음가짐), 보상서비스맨, 벤처기...
[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올바른 몸가짐)과 표정예절, 인사예절, 바른 몸가짐(올바른 몸가짐...
[바른 자세교육]초등학생, 교실에서의 바른 자세교육(올바른 자세교육), 걸을 때의 바른 자세...
사회봉사활동(자원봉사활동)의 접근자세와 실천기술
언어적 대화기법 & 비언어적 대화기법 & 비언어적 의사소통 & 상담의 7대 원리 &...
사회복지권으로서의 사회복지수급권을 이해하고 시혜적 서비스 제공 자세에 대하여 비판적 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