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합작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좌우 합작운동의 배경
1. 좌우합작운동의 대내적 요인
2. 좌우합작운동의대외적 요인

Ⅱ. 좌우합작운동의 전개과정
1. 좌우합작운동의 출발
2. 한미공동회답개최와 남한 과도입법의원 성립
3.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의 속개 및 실패와 좌우합작위원회의 해체

Ⅲ. 좌우합작운동의 노선 및 실패원인 분석
1. 토지개혁안
2. 통일정부 수립안

Ⅳ. 좌우합작운동의 실패원인 분석

Ⅴ. 맺음말

본문내용

할 수 없는 토양을 만들었다. 또 다른 대내적 요인으로는 운동주도세력의 한계성을 들 수 있다. 합작위원회 위원들이 대부분 중간세력만을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했기 때문에 극좌·극우노선 세력을 포용하지 못하고 그들의 노선을 받아들일 여지를 남기지 않았다는 점이다.
Ⅴ. 맺음말
먼저 좌우 합작 운동이 대두하게 된 대외적 배경으로써는 신탁통치 안의 발표 및 미소공동위원회의 개최·결렬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의 대한 정책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신탁통치의 발표는 국내정국이 양 진영으로 양분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고, 이러한 분열은 좌우합작운동의 필요성을 만들어낸 가장 직접적이 배경이 되었는데, 이것은 곧 통일정부수립의 필요성과 미소공동위원회 재개촉구운동이 좌우합작운동으로 연결됨을 뜻한다. 대내적 요인은 신탁통치를 둘러싼 좌우대립의 심화와 이승만의 남한 단독 정부 수립 주장을 들 수 있다. 신탁통치 발표 후 찬탁·반탁노선의 양분·양극화는 통일 정부수립에 장애 요소가 되었으므로 이것을 극복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좌우 합작 운동이 대두되었다. 또한 이승만의 남한단독정부 수립 주장은 당시 통일 정부 수립을 갈망하던 국민뿐 아니라 대다수 정치세력에게 용납될 수 없는 것이었고, 이것은 좌우 합작을 통한 통일 정부 수립의 필요성을 부추겨 주었다.
이상과 같은 요인에 의한 좌우합작 운동은 결국에는 실패로 끝났지만 한국현대 정치사 및 민족운동사에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좌우 대립을 해소하고 통일 민족국가를 수립하려는 움직임으로써 분단을 막고 민족자주 통일정부 수립을 목적으로 한 최초의 "분단시대의 민족주의운동"이었다. 둘째, 한반도 문제의 국제적 연관성을 인식, 미소공동위원회 재개를 요청하는 현실적인 방안을 채택하여 이를 추구함으로써 한반도 문제 해결에 대한 현실적 시각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내정치세력의 양극화에도 불구하고 제 3세력, 즉 중간세력이 결집되어 첨예화된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완화시켰다. 넷째, 이 운동은 미소공위 실패와 더불어 그 정치적 의미를 상실하였으나, 이 운동의 주역들에 의해서 남북대화가 열리고, 그것이 오늘까지도 남북통일을 주체적으로 논의 하여가는 과정에서의 중요한 입지점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김인걸 외, 『한국현대사 강의』, 돌베게, 1998.
안정애, 「좌우합작운동의 재평가」,『한국현대정치사1』, 실천문학사, 1989.
안정애, 「좌우합작운동의 전개과정」,『한국현대사1』, 열음사, 1983.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4.13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1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