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Introduction
1) 초파리의 분류학적 위치
2) 초파리의 생활사
3) 초파리의 암수구별
4) 초파리의 외형관찰
5) 초파리의 돌연변이
6) 초파리의 폴리틴염색체(거대염색체)
2. Material
3.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Ⅲ. 결론
Ⅳ. 부록
Reference
Thanks
Ⅱ. 본론
1. Introduction
1) 초파리의 분류학적 위치
2) 초파리의 생활사
3) 초파리의 암수구별
4) 초파리의 외형관찰
5) 초파리의 돌연변이
6) 초파리의 폴리틴염색체(거대염색체)
2. Material
3.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Ⅲ. 결론
Ⅳ. 부록
Reference
Thanks
본문내용
에 분리 해 냈다.
11월09일
아침에 와서 Wild type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점심쯤에 분리해낸 미교배 암컷이 다시보니 수컷이었다.
11월10일
아침에 와서 Wild type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암컷 초파리를 3마리 이상 모아서 교배를 하려고 선생님께 암수 여부를 확인 부탁드렸는데, 복부가 알을 밴 것 같이 불룩 한 모양으로 심상치 않으시다고 하셔서 한 일주일 쯤 새끼가 나오는지 확인 해 보기로 하였다.
11월13일
혹시 여태까지 분리해 낸 초파리들이 미교배 암컷이 아닐 지도 몰라서 계속해서 아침에 와서 Wild type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11월14일
아침에 와서 Wild type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11월15일
아침에 와서 Wild type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점점 깨어나는 마리수가 줄어들었다.
11월16일
아침에 와서 Wild type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그동안 바이엘을 너무 많이 써서 실험실 사람들이 아껴서 써야한다고 하여서 우리조가 썼던 배지만 모아서 놓아두고 이제 그것 만 돌려 가면 쓰기로 하였다.
11월17일
Wild type 암컷 3마리와 CY type 수컷 2마리를 교배시켰다.
11월24일
F1 잡종 제1세대 애벌레가 기어 다녀서 성충 초파리를 모두 버렸다.
11월25일
애벌레가 번데기가 되었음
11월29일
처음으로 F1 잡종 제1세대의 성체가 깨어났지만 막 깨어난 상태라 암수 구별이 어려워서 4시간 후에 암수 구별하여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11월30일
아침에 와서 F1 잡종 제1세대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그러나 오후에 생각을 해 보니 암수 구별 없이 그냥 성체로 깨어난 F1 잡종제1세대들을 새 바이엘에 넣어 두고 알이나 유충, 번데기가 보일 때 버리면 F2세대만 나오므로 이제부터는 암수 구별 없이 깨어나는 데로 새 바이엘에 따로 분리시키기로 했다.
12월04일
F1 잡종 제1세대에서 깨어난 성충을 F2세대가 들어있는 바이엘로 옮겼다.
F1세대는 우성인 형질만 나와야 하는데, 우리조는 Wild type과 CY type이 모두 나왔다.
여러 가지 이유를 생각 해 보았는데, 선생님께서 암수 구별을 잘못해서 그러한 결과가 나왔던 것이라고 하셔서, 우성인 Wild tape만 골라서 F2바이엘에 넣어 두었다.
12월08일
성충만 있던 F1잡종 제1세대에 유충과 번데기가 보여서 성충을 모두 버렸다.
12월12일
F2 세대가 깨어나는 대로 날개가 Wild type(정상 날개)인지, CY type(휜 날개)인지 확인하고 버렸다.
선생님께서 우성이 Wild type이 아니라 CY type이라고 하셨다. 그래도 실험을 계속 진행 시키라고 하셨다.
정상날개가 2마리 깨어났다.
12월13일
F2 세대가 깨어나는 대로 날개가 Wild type(정상 날개)인지, CY type(휜 날개)인지 확인하고 버렸다.
정상날개가 20마리 깨어났다.
12월14일
F2 세대가 깨어나는 대로 날개가 Wild type(정상 날개)인지, CY type(휜 날개)인지 확인하고 버렸다.
정상날개가 20마리 깨어났다.
12월15일
F2 세대가 깨어나는 대로 날개가 Wild type(정상 날개)인지, CY type(휜 날개)인지 확인하고 버렸다.
정상날개가 22마리 깨어났다.
12월17일
F2 세대가 깨어나는 대로 날개가 Wild type(정상 날개)인지, CY type(휜 날개)인지 확인하고 버렸다.
정상날개가 19마리 깨어났다.
12월 19일
정상날개가 26마리 깨어났다.
6.초파리실험일지
결론
1.초파리에 대한 조원들의 discussion
2.reference
http://www.sciencecourseware.org/BLOL/
http://cafe.naver.com/fortheda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3
http://cont111.edunet4u.net/2002/pjil/default.htm
생명과학 단국대학교 출판부 p350~335
http://home.knue.ac.kr/~biology/data/experi/fly.htm
http://www.bionuri21.com/docu/biojalyo/cho/cho.htm
http://muhak.gnise.re.kr/pds/board.jsp?board_mode=101&pk=114503&item_sid=112818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203&eid=z0e9aSp10sGx4YiyQxZJ5PZ/Ztjh+ZLg&qb=xKvAzCC9usT5vu4gxde9usau
http://terms.naver.com/search.naver?query=%C4%AB%C0%CC%20%BD%BA%C4%F9%BE%EE%20%C5%D7%BD%BA%C6%AE
http://user.chollian.net/~dgran/bio2/bio4-1.htm
Essential Cell Biology 2nd / Bruce Alberts 외 7명 / 2004 / Garland Science
http://www.biozoa.co.kr/data_html/somatic_cell.asp
Principles of Genetics 7th / Robert H. Tamarin / 2002 / Mc Graw Hill
http://comsec.chongju-e.ac.kr/~inara/자연/땅위의/초파리의생활
http://flybase.net/
11월09일
아침에 와서 Wild type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점심쯤에 분리해낸 미교배 암컷이 다시보니 수컷이었다.
11월10일
아침에 와서 Wild type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암컷 초파리를 3마리 이상 모아서 교배를 하려고 선생님께 암수 여부를 확인 부탁드렸는데, 복부가 알을 밴 것 같이 불룩 한 모양으로 심상치 않으시다고 하셔서 한 일주일 쯤 새끼가 나오는지 확인 해 보기로 하였다.
11월13일
혹시 여태까지 분리해 낸 초파리들이 미교배 암컷이 아닐 지도 몰라서 계속해서 아침에 와서 Wild type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11월14일
아침에 와서 Wild type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11월15일
아침에 와서 Wild type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점점 깨어나는 마리수가 줄어들었다.
11월16일
아침에 와서 Wild type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그동안 바이엘을 너무 많이 써서 실험실 사람들이 아껴서 써야한다고 하여서 우리조가 썼던 배지만 모아서 놓아두고 이제 그것 만 돌려 가면 쓰기로 하였다.
11월17일
Wild type 암컷 3마리와 CY type 수컷 2마리를 교배시켰다.
11월24일
F1 잡종 제1세대 애벌레가 기어 다녀서 성충 초파리를 모두 버렸다.
11월25일
애벌레가 번데기가 되었음
11월29일
처음으로 F1 잡종 제1세대의 성체가 깨어났지만 막 깨어난 상태라 암수 구별이 어려워서 4시간 후에 암수 구별하여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11월30일
아침에 와서 F1 잡종 제1세대의 성체를 모두 버리고 번데기들만 남겨 둔 후 8시간 이전에 깨어난 미교배 암컷을 새 바이엘에 분리 해 냈다.
그러나 오후에 생각을 해 보니 암수 구별 없이 그냥 성체로 깨어난 F1 잡종제1세대들을 새 바이엘에 넣어 두고 알이나 유충, 번데기가 보일 때 버리면 F2세대만 나오므로 이제부터는 암수 구별 없이 깨어나는 데로 새 바이엘에 따로 분리시키기로 했다.
12월04일
F1 잡종 제1세대에서 깨어난 성충을 F2세대가 들어있는 바이엘로 옮겼다.
F1세대는 우성인 형질만 나와야 하는데, 우리조는 Wild type과 CY type이 모두 나왔다.
여러 가지 이유를 생각 해 보았는데, 선생님께서 암수 구별을 잘못해서 그러한 결과가 나왔던 것이라고 하셔서, 우성인 Wild tape만 골라서 F2바이엘에 넣어 두었다.
12월08일
성충만 있던 F1잡종 제1세대에 유충과 번데기가 보여서 성충을 모두 버렸다.
12월12일
F2 세대가 깨어나는 대로 날개가 Wild type(정상 날개)인지, CY type(휜 날개)인지 확인하고 버렸다.
선생님께서 우성이 Wild type이 아니라 CY type이라고 하셨다. 그래도 실험을 계속 진행 시키라고 하셨다.
정상날개가 2마리 깨어났다.
12월13일
F2 세대가 깨어나는 대로 날개가 Wild type(정상 날개)인지, CY type(휜 날개)인지 확인하고 버렸다.
정상날개가 20마리 깨어났다.
12월14일
F2 세대가 깨어나는 대로 날개가 Wild type(정상 날개)인지, CY type(휜 날개)인지 확인하고 버렸다.
정상날개가 20마리 깨어났다.
12월15일
F2 세대가 깨어나는 대로 날개가 Wild type(정상 날개)인지, CY type(휜 날개)인지 확인하고 버렸다.
정상날개가 22마리 깨어났다.
12월17일
F2 세대가 깨어나는 대로 날개가 Wild type(정상 날개)인지, CY type(휜 날개)인지 확인하고 버렸다.
정상날개가 19마리 깨어났다.
12월 19일
정상날개가 26마리 깨어났다.
6.초파리실험일지
결론
1.초파리에 대한 조원들의 discussion
2.reference
http://www.sciencecourseware.org/BLOL/
http://cafe.naver.com/fortheda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3
http://cont111.edunet4u.net/2002/pjil/default.htm
생명과학 단국대학교 출판부 p350~335
http://home.knue.ac.kr/~biology/data/experi/fly.htm
http://www.bionuri21.com/docu/biojalyo/cho/cho.htm
http://muhak.gnise.re.kr/pds/board.jsp?board_mode=101&pk=114503&item_sid=112818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203&eid=z0e9aSp10sGx4YiyQxZJ5PZ/Ztjh+ZLg&qb=xKvAzCC9usT5vu4gxde9usau
http://terms.naver.com/search.naver?query=%C4%AB%C0%CC%20%BD%BA%C4%F9%BE%EE%20%C5%D7%BD%BA%C6%AE
http://user.chollian.net/~dgran/bio2/bio4-1.htm
Essential Cell Biology 2nd / Bruce Alberts 외 7명 / 2004 / Garland Science
http://www.biozoa.co.kr/data_html/somatic_cell.asp
Principles of Genetics 7th / Robert H. Tamarin / 2002 / Mc Graw Hill
http://comsec.chongju-e.ac.kr/~inara/자연/땅위의/초파리의생활
http://flybase.net/
추천자료
생물학적측면에서 본 진화론 비판
대두발효식품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조사
유전자 변형 식품
영화속의 과학적 오류 - 고질라
[과외]중학 과학 중3-8 유전 01
[생명공학][생명공학산업][생명공학기술]생명공학의 정의, 생명공학의 잠재력, 생명공학의 윤...
[진화론][진화][진화론 시작][진화론 증거][라마르크 진화론][다윈 진화론][이마니시 진화론]...
감자 전분 함량(감자의 전분 함유량), 과즙 펙틴 함량(과즙의 펙틴 함유량), 차 금속 함량(차...
[DNA의 역사][DNA의 샤가프법칙][DNA의 구성][DNA의 구조][DNA의 염기조성][DNA의 전사][DNA...
현대 문학 특강 <1930년대 모더니즘 - 김기림, 김광균, 이상>
[노화][노화 이론][건강][피부][자외선][노화 치료방법][피부노화][운동][호르몬]노화의 이론...
차에 관한 조사 - 녹차에 관하여
[생명공학] 동물 및 식물 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한 산업적 응용 및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