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본론
1.도덕과 도덕성의 개념
1) 사전적 의미
2) 도덕과 도덕성의 정의
3) J.Piaget와 L.Kohlberg의 정의
2.도덕성 발달이론
1) 사회학습 이론2) 정신분석학적 관점
3) 인지발달 이론
3. J.Piaget의 도덕성 발달 이론
1) 도덕성에 대한 J.Piaget의 주장
2) J.Piaget의 도덕성 발달 단계
4. L.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
1) L.Kohlberg의 도덕성 발달 단계
2) L.Kohlberg 이론의 특징
3) L.Kohlberg 이론의 비평
4) L.Kohlberg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Ⅲ. 결론
◎참고 문헌 및 자료
Ⅰ.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본론
1.도덕과 도덕성의 개념
1) 사전적 의미
2) 도덕과 도덕성의 정의
3) J.Piaget와 L.Kohlberg의 정의
2.도덕성 발달이론
1) 사회학습 이론2) 정신분석학적 관점
3) 인지발달 이론
3. J.Piaget의 도덕성 발달 이론
1) 도덕성에 대한 J.Piaget의 주장
2) J.Piaget의 도덕성 발달 단계
4. L.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
1) L.Kohlberg의 도덕성 발달 단계
2) L.Kohlberg 이론의 특징
3) L.Kohlberg 이론의 비평
4) L.Kohlberg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Ⅲ. 결론
◎참고 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 도덕적 견해를 버리고 상대주의적 의문의 시기로 돌아간다.
③ 단계에서 단계로의 이행이 문제이다. 대다수의 심리학자들은 도덕적 태도가 사회화의 산물로 보는데, 그는 이에 동의하지 않고 도덕 발달은 문화교육의 결과가 아니고 아동의 자발적 행동의 결과라고 한다.
④ 그의 이론은 문화적 보편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특정 문화의 차이가 분명한데, 그의 이론이 보편적 적용성을 지닐 수 있겠는가?
⑤ 그의 이론은 아동의 도덕적 사고에 관한 것이지 도덕적 행동에 관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행동 간의 일치성이 나타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있다.
⑥ 도덕적 원천으로서 이타심 혹은 사랑과 같은 정의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결여되어 있다. 말기에 '아가페'를 상정하긴 하지만, 상위 단계가 하위 단계를 논리적으로 포함한다는 도덕성 발달 단계의 일반 원리에 비추어보면 이런 상정도 일관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⑦ 도덕성은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발달하며, 남성은 여성보다 한 단계 더 높은 발달단계에 이른다고 하여 도덕 수준의 성차를 주장하는데, 성차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단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남녀의 처리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차이일 뿐이지, 도덕적으로 남성이 더 우월하기 때문은 아니다.
4) L.Kohlberg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① 도덕적 딜레마를 사용하여 아동의 도덕발달 수준을 진단 한다.
② 도덕적 사고의 발달을 위해 아동 스스로 판단하게 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게 하고 도덕 원리를 생성하게 한다.
③ 단계별 연계토의를 통해 도덕발달단계를 높인다.
④ 교사는 아동의 도덕성 발달을 위한 촉진자의 역할을 한다.
Ⅲ.결론
지금까지 도덕성 발달에 관한 Piaget와 Kohlberg의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덕성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도덕성을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인가 아니면 성장과정을 통해 후천적으로 발달시키는 것인가, 도덕성이란 고정적인 특성인가 아니면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변화하는 것인가, 그리고 도덕교육은 이와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등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었다. 우리는 미래의 교육자로서 우리가 가르치는 학생들은 성별도 다르며, 인지수준도 다르고 교육수준 등도 다를 것인데, 이 모두를 학생이라는 이름 하나로 묶어서 똑같이 교육시킨다는 것은, ‘생각한다’는 인간의 특성을 무시한 태도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인간의 여러 가지 발달 과정을 잘 이해하는 것, 특히 도덕성 발달을 잘 이해하는 것은 우리의 학생들을 교육시키는 일에 중요한 것이다.
◎참고 문헌 및 자료
- 「인간의 마음과 행동(23판)」 한덕웅 외 . 박영사
- 「교사를 위한 교육 심리학」 김정섭 외7명 . 서현사
- 「교육심리학」 이해경, 이양, 용홍출 . 양서원
- http://krdic.naver.com/ - 네이버 국어사전
- 다음 카페 유칼리나무 2001
- 다음 카페 http://cafe.daum.net/Uiwangpeople
- http://blog.naver.com/gihun83
- 네이버 백과사전
③ 단계에서 단계로의 이행이 문제이다. 대다수의 심리학자들은 도덕적 태도가 사회화의 산물로 보는데, 그는 이에 동의하지 않고 도덕 발달은 문화교육의 결과가 아니고 아동의 자발적 행동의 결과라고 한다.
④ 그의 이론은 문화적 보편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특정 문화의 차이가 분명한데, 그의 이론이 보편적 적용성을 지닐 수 있겠는가?
⑤ 그의 이론은 아동의 도덕적 사고에 관한 것이지 도덕적 행동에 관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행동 간의 일치성이 나타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있다.
⑥ 도덕적 원천으로서 이타심 혹은 사랑과 같은 정의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결여되어 있다. 말기에 '아가페'를 상정하긴 하지만, 상위 단계가 하위 단계를 논리적으로 포함한다는 도덕성 발달 단계의 일반 원리에 비추어보면 이런 상정도 일관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⑦ 도덕성은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발달하며, 남성은 여성보다 한 단계 더 높은 발달단계에 이른다고 하여 도덕 수준의 성차를 주장하는데, 성차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단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남녀의 처리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차이일 뿐이지, 도덕적으로 남성이 더 우월하기 때문은 아니다.
4) L.Kohlberg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① 도덕적 딜레마를 사용하여 아동의 도덕발달 수준을 진단 한다.
② 도덕적 사고의 발달을 위해 아동 스스로 판단하게 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게 하고 도덕 원리를 생성하게 한다.
③ 단계별 연계토의를 통해 도덕발달단계를 높인다.
④ 교사는 아동의 도덕성 발달을 위한 촉진자의 역할을 한다.
Ⅲ.결론
지금까지 도덕성 발달에 관한 Piaget와 Kohlberg의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덕성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도덕성을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인가 아니면 성장과정을 통해 후천적으로 발달시키는 것인가, 도덕성이란 고정적인 특성인가 아니면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변화하는 것인가, 그리고 도덕교육은 이와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등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었다. 우리는 미래의 교육자로서 우리가 가르치는 학생들은 성별도 다르며, 인지수준도 다르고 교육수준 등도 다를 것인데, 이 모두를 학생이라는 이름 하나로 묶어서 똑같이 교육시킨다는 것은, ‘생각한다’는 인간의 특성을 무시한 태도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인간의 여러 가지 발달 과정을 잘 이해하는 것, 특히 도덕성 발달을 잘 이해하는 것은 우리의 학생들을 교육시키는 일에 중요한 것이다.
◎참고 문헌 및 자료
- 「인간의 마음과 행동(23판)」 한덕웅 외 . 박영사
- 「교사를 위한 교육 심리학」 김정섭 외7명 . 서현사
- 「교육심리학」 이해경, 이양, 용홍출 . 양서원
- http://krdic.naver.com/ - 네이버 국어사전
- 다음 카페 유칼리나무 2001
- 다음 카페 http://cafe.daum.net/Uiwangpeople
- http://blog.naver.com/gihun83
- 네이버 백과사전
추천자료
[교육철학]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계속적...
(교육심리학)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계속적 ...
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
[교육심리학]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만점받음-교육심리학-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그 교육적 시사점.계속적 강화와...
인간과교육:)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 관점 인간관의 특징 / 과학적 인간관 비판 / 콜버그...
[교육심리학 과제]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外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