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리 아산시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지리 아산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이순신이 살았던 곳]
[청·일전쟁의 격전장]
[아산시의 행정구역]
[첫 손에 꼽히는 과일과 채소 (아산시의 농업)]
[방조제로 가로막힌 수산업과 아산만 방조제]
[발전하는 아산만]
[신도시 건설계획중인 아산시]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비 5개와 도금기, 슬리터기가 각가 3개, 1개씩 가동되고 있다. 휴스틸은 이달말이나 5월초 공장 이전을 기념해, 생산 현장을 둘러보고 향후 계획을 밝히는 IR를 충남 부곡공단 현지에서 열 계획이다.
휴스틸 관계자는 “조관시설비는 기존보다 4호기 줄어들지만 신규 설비의 생산성 증대를 통해 생산 능력은 기존 40만t에서 50만t으로 늘어난다”면서 “업계 전문가들이 직접 공장을 볼 수 있는 설명회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INI스틸도 이달말 서울 여의도 증권거래소에서 IR를 가진 후 5월 당진공장 상업생산 개시에 맞춰 공장을 직접 둘러보는 ‘라인 투어’를 검토중이다. 그룹 계열사인 현대하이스코 공장 역시 당진공장 B지구내에 위치하고 있어 양사가 함께 서령회를 진행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한편 비철금속업체인 풍산은 아산만 일대는 아니지만 오는 5월중 1박2일에 걸쳐 온산공장과 안강공장 등을 함께 둘러보고 1·4분기 경영 실적과 전망 등을 밝힐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들어 유난히 공장 신규 가동과 증설, 이전 등이 맞물리면서 철강업체들이 기업 알리기에 적극 나서는 모습”이라며 “일부 업체들끼리는 일정이 겹쳐 이를 서로 조정하는 일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 hwani9@fnnews.com 서정환기자
[신도시 건설계획중인 아산시]
아산시는 지금 아산신도시계발중이다. 이는 아산만권 광역개발계획의 실현 및 수도권 인구및 기능분산 수용을 위한 거점도시로 선정되기 위한 목표를 가지고 이에 맞게 개발하기 위함이다. 사업의 범위는 천안시 불당동, 신방동 및 아산시 배방면 장재리, 세교리, 휴대리, 탕정면, 매곡리 일원으로 3,683,200㎡ 면적에 8,125세대 수용을 2008년 12월까지 목표로 하여 진행중이다.
토지이용의 계획을 살펴보면 그 구성비가 공원·녹지면적 28%, 공공시설 19%, 주거용지 7%, 상업용지 6%, 도로 28% 등이다. 이용비율을 살펴보면, 도로와 공원·녹지부분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토지이용의 큰 틀을 세가지로 나누어보면, 첫째로 역사 주변은 중심사업, 업무지구로 개발한다. 둘째, 산악 생태축 주변 저층,외곽 고층계획, 셋째 역사주변에 Non-Stop환승(철도, 육상교통)체제를 구축한다로 나눌수 있다.
이 신도시 건설의 목표중에 하나가 교통도시로서의 아산이다. 고속도로와 국철, 고속철도와 더불어 입체적인 교통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신속한 이동이 가능한 광역도로교통망 체계를 갖추어 서울 34분, 대전 20분의 시대를 열어간다는 것이다.
결론
지금까지 아산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개인적인 이야기나, 아버지가 현대자동차에 다니시기 때문에 초등학교 시절부터 아산에 대한 이야기를 종종 들었다. 아산만에 현대자동차 공장이 세워지면서 아산이로 이사를 갈 뻔한적도 있었다. 그래서일까? 왠지 멀리 떨어져 있는 아산이 그리 멀게 느껴지지만은 않았다.
지금 아산은 영웅 이순신의 혼이 담긴 역사적인 도시에서 출발하여, 현재 아산만을 통하여 서해의 무역중심으로 도약하고, 도시건설을 목표로 하여 몇 년후에는 수도권 기능이 분담된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중에있다. 그리고 과거 대전이 그러하였듯이 아산 역시 고속도로와 철도의 개발로 인해 교통의 결절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한층 더 발전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자족적인 도시로 발전하고 있는 아산시가 앞으로도 우리나라 신도시의 성공적인 모범사례가 되고, 무역의 중심항으로 거듭나기를 바란다.
참고 문헌
- 다시쓰는 택리지 1 (경기·충청편) 신정일 휴머니스트
- 한국의 발견 (충청남도) 한창길외 뿌리깊은나무
- 충남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베개
- 아산시청 http://www.asan.go.kr/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4.18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5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