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김치의 시대별 특색
① 삼국시대
② 고려시대
③ 조선시대
2. 김치의 지방별 특색
① 강원도
② 경상도
③ 경기도
④ 서울
⑤ 전라도
⑥ 제주도
⑦ 충청도
⑧ 평안도
⑨ 함경도
⑩ 황해도
① 삼국시대
② 고려시대
③ 조선시대
2. 김치의 지방별 특색
① 강원도
② 경상도
③ 경기도
④ 서울
⑤ 전라도
⑥ 제주도
⑦ 충청도
⑧ 평안도
⑨ 함경도
⑩ 황해도
본문내용
기교나 장식이 적고 큼직큼직하다. 주로 소금으로 간을 하며 새우젓과 멸치젓을 조금씩 사용한다. 젓갈보다는 생태나 생가자미를 썰어 고춧가루로 버무려 사용하고, 김칫국물을 넉넉하게 붓는데 익으면 시고 상큼한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김치로는 가자미식혜, 명태식혜, 대구깍두기, 콩나물김치 등이 있다.
⑩ 황해도
간은 중간정도이며 독특한 맛을 내는 고수(미나리과에 속하는 1년생 풀)와 분디(운향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의 열매. 원형으로 유지의 원료와 식용, 약재로 쓰이며,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 자생하고 있다)를 쓰는 것이 특징이다. 이 재료들은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배추김치에는 고수가 좋고 호박김치에는 분디가 제일이다”는 말이 있다. 대표적인 김치로는 동치미, 감김치, 고수김치, 호박김치 등이 있다.
⑩ 황해도
간은 중간정도이며 독특한 맛을 내는 고수(미나리과에 속하는 1년생 풀)와 분디(운향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의 열매. 원형으로 유지의 원료와 식용, 약재로 쓰이며,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 자생하고 있다)를 쓰는 것이 특징이다. 이 재료들은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배추김치에는 고수가 좋고 호박김치에는 분디가 제일이다”는 말이 있다. 대표적인 김치로는 동치미, 감김치, 고수김치, 호박김치 등이 있다.
추천자료
삼국시대회화
한국미술사 시험문제 및 답안 -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까지의 불상
삼국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신라인의 중국여행)
삼국시대의 문화발달과정
삼국시대의 교육(고구려,백제,신라,통일신라)
삼국+시대
한국 경호의 역사 - 경호의 역사, 고조선, 삼국시대, 고려, 조선
우리나라 고대문명의 초기에 해당하는 삼국시대 건국 이전까지의 문화와 유적에 대한 자료조...
6.25전쟁 교훈과 과제과 삼국시대 수, 당과의 전쟁과 교훈을 약술하라
[한국사의 재조명] 삼국시대의 왕릉 - 무열왕릉(신라) & 무령왕릉(백제) & 악3호분(...
삼국시대 왕과 사건
삼국시대 정치 행정 체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