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내용
3. 문제점 및 해결방안
2. 내용
3. 문제점 및 해결방안
본문내용
된 사회는 머피의 법칙(Mirphy′s Law)이 철저히 적용되는 것 같다. 머피의 법칙이란 어떤 일이 잘못되면 계속 꼬인다는 (If anything go wrong, it will)것으로, 이를 선택적 중력법칙(Law of Selsctive Gravity)이라 한다. 그 유래는 미 공군 머피대위가 고장으로 추락한 비행기의 사고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조사작업을 하다가 사고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고세 공교롭게도 그의 부하가 연장을 떨어뜨려 조사를 망쳐 버린데서 유래한 것이다. 머피의 법칙의 예는 DJ DOC의 노래가사를 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친구들과 미팅을 갔었지. 뚱뚱하고 못생긴 애 있길래 와 재만빼고 다른애는 다 괜찮아. 그래도 꼭 짝이 되지 내가맘에 들어하는 여자들은 내친구 여자 친구들이거나 우리 형 애인 아니면 꼭 동성동본 세상에 어떻게 이럴수가 나는 어떻게 이럴수가 나는 어떻게 되는일이 하나 없는지 언제쯤 내게도 기가막힌 그런 눈부신 여자 친구하나 생길까 세상 모든게 다 내뜻과 어긋나… 오랜만에 꼬질꼬질한 모습으로 우리동네 목욕탕을 찾은 어 오 꼬질꼬질한 내 모습 그녀에게 들키지 말아야지 하면 벌써 저쪽에서 그녀가 날 꼭 어이 없이 바라볼까〕
머피의 법칙과 상반되는 법칙으로 하는 일마다 잘되는 샐리의 법칙"(Sally′s Law)이라는 것이 있다. 시스템이 잘못된 사회는 소신껏 일하려는 대다수의 공무원들과 똑똑한 공무원도 어처구니 없는 시스템으로 인해 머피의 법칙에서 헤어나지 못하도록 만든다. 우리도 하루빨리 이런 잘못된 시스템을 뜯어고쳐 샐리의 법칙이 통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머피의 법칙과 상반되는 법칙으로 하는 일마다 잘되는 샐리의 법칙"(Sally′s Law)이라는 것이 있다. 시스템이 잘못된 사회는 소신껏 일하려는 대다수의 공무원들과 똑똑한 공무원도 어처구니 없는 시스템으로 인해 머피의 법칙에서 헤어나지 못하도록 만든다. 우리도 하루빨리 이런 잘못된 시스템을 뜯어고쳐 샐리의 법칙이 통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추천자료
관료제와 관료주의
한국의 관료제의 문제점 앞으로의 방향(관료주의,행정학)
관료제의 효과와 분석,비판
현대관료제의제모델과추구가치
[경영조직이론][기업조직][합리성추구이론][베버 관료제론][메이요와 뢰드리스버그][체계모형...
[비교행정론 D형]대통령중심제의 미국 관료제와 의원내각제의 영국 관료제 차이 비교분석
관료제 비교(한국, 미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국관료제에 대한 평가 및 발전방향.
관료제의 민주성과 능률성의 조화.
관료제의 역기능과 그 사례.
페미니즘과 관료제 - 성으로서의 관료
한국 관료제 관료주의 문제점, 단점 및 해결 방안
관료제의 감축
[행정학]전통적 관료제와 현대 정부 관료제에 관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