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문교수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문교수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발문의 목적과 유형

2. 발문의 전략

3. 발문의 효율화와 관련된 연구

본문내용

가지 유형으로 발문
고차적 인지질문은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
2) ‘왜’라는 형의 발문
‘why?’라는 질문
→ 응답자: 현상의 이해, 분석, 종합, 평가 등의 고차적인 인지처리
문제점(M.R. Shedd, 1971): 압력, 긴장 초래, 방어적 태도, 학습자의 내면적 사 적 생활경험 노출강요
3) 질문 그 자체의 문법성
질문의 어휘, 수준, 어휘의 배열순서 고려
질문은 대체로 응답의 방향을 암시하는 단서를 동반
ex) "그 밖에는?" "~하지요?" "그렇지 않아요?"
지나친 단서를 주는 것 X
질문은 가능한 짧고 명료하게(한 번의 발문에 너무 많은 질문X)
무엇을 묻는지 분명하게
질문의 모호성 X
단서가 되는 의문사들의 위치선정에 주의
의문사들의 문법적 격의 설정에도 주의
4) 발문 후 교수자의 기다리는 시간
미국 영국의 초 중등학교 연구(Wait time)
질문 후 평균 1~3초 이내
응답하지 않을 경우- 다른 학생 지목 or 질문을 으레 반복
⇒ 답을 기다리는 시간이 짧음 → 발문법 본래의 목적 달성 실패
if 학습자의 응답시간 3~5초 증가?
① 학습자 응답의 길이가 증대
② 자발적 응답 수 증가
③ 자신감 증대
④ 대안적 응답의 증가
⑤ 학습자 상호간 토의 증대
교수자의 반응
① 질문의 수 감소
② 질문의 유형 다양화
③ 일방적 강의에 대한 융통성 증가
5) 암송의 효과
암송: 교수자가 묻고 학습자는 외워 큰소리로 대답
장점
단점
그 내용에 대한 생각의 기회 제공
학습자는 의미 발견, 학습 단서 포착
양상효과(modality effect):
일정한 틀이나 양식에 친숙
새로운 분위기 조성
근육을 이완
새로운 동기 형성
단순한 지식이나 정보를 재생
6) 질문의 양과 배분
고려사항
부차적 기능인 학습자의 주의환기나 통제, 징계나 위협의 수단으로 남발 or 오용
어떻게 학습자들에게 배분(출석순서, 자원, 미리선정)
7) 경청과 분위기 조성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발문과 응답에 경청
의사소통이 전제되어야만 가능한 효과
교수자나 다른 학습자들이 모두 제대로 알아듣지 못하였다면, 교수자는 질문한 학습자와 다시금 자상하게 대화를 하여 분명히 한 다음, 그것을 학급 전체 학습자에게 다시 알려 줌
인격적으로 존중 및 칭찬
비난, 무시, 질책 → 칭찬, 고무, 격려, 관심 의 수업분위기 조성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교수방법론, 이성호, 학지사, 1999.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6.10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5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