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응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자살의 통계와 현황
2. 자살의 종류와 원인
3. 자살의 대책
4. 종교관련

-결론

본문내용

으로 '널리 사람을 이롭게 한다.' 는 홍익인간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자국의 모든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것으로, 곧 인간의 생명과 삶을 존중하고 그들의 삶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정치를 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하늘의 은혜를 모든 국민이 고르게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홍익인간의 이념은 그 자체로 인본 정신의 표현임과 동시에 생명에 대한 근원적인 존중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화랑도의 세속오계의 마지막 계율인 살생유택은 자연의 미물까지고 분별없이 잔인하고 무자비하게 살생하는 것을 금하고 공명정대해야 할 것을 가르치고 있다. 이것은 홍익인간의 정신에 유교와 불교의 사상이 배합된 것으로 당시의 예비 지도자인 화랑도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생명 존중 사상은 조선 말기에 이르러 새로운 종교인 동학으로 부각되었다. 동학은 조선말기에 국력이 쇠약해지고 나라가 어지러울 때 등장한 민족 종교로서, 그 핵심 사상은 '인내천'이다. 이것은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의미로, 인간 속성에 영원한 존귀성이 있음과 동시에 사람의 마음속에 하늘과 같은 고귀한 것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불교에는 ‘제법무아’라는 것과 ‘인과응보’라는 것이 있는데, 이를 합치해 생각해보면 생명존중 사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제법무아란 모든 것들은 하나하나의 구분이 없다는 것이고, 인과응보란 내가 남에게 해를 끼치거나 사람을 죽인다던지, 혹은 사람뿐만 아니라 이 세상 모든 만물에게 피해를 끼치면 그것이 나에게 돌아온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불교에서는 하나의 생명 자체를 존중하고 아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또한 성경에서는 낙태를 금하며 수태될 때부터 한 인간의 생명으로 본다. 고대 율법시대에는 피 흘리는 전쟁도 했지만 예수께서 지상에 오셔서 대속하심으로 율법이 폐하여 지고 그리스도의 법으로 대치된 것이다. 그리스도의 법은 사랑의 법으로 그 핵심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내 이웃을 내 몸처럼 사랑하라 이다. 성경에서는 생명의 신성함을 하나님의 율법에 의해 강조하고 있다. 피 흘리는 전쟁을 금하며, 원수까지 사랑하라는 아가페 적 사랑을 전하하고 형제가 죄를 지으면 일흔 일곱 번 까지 용서하라는 말도 있다. 이렇듯 성경에 나타나는 그리스도의 법은 생명을 존중하는 사상이라고 볼 수 있다.
♣결론
자살자와 자살기도자를 비난할 권리는 누구에게도 주어져 있지 않다. 오히려 자살자에게는 영혼의 안식을, 자살기도자에게는 심신의 평안을 빌어주면서, 그들의 고통을 알지 못한 우리의 무지와 그들의 아픔에 동참하지 못한 우리의 무관심을 반성해야 한다.
예수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라고 하셨는데, “네 이웃을 사랑하라”고 말하지 않고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라고 함으로써, 자기 자신은 사랑하지 않은 채 남을 사랑한다는 것이 얼마나 추상적이며 이율배반적인지를 꼬집고 있다. 자기 자신을 사랑 할 줄 모르는 사람은 남도 진정 사랑할 수 없다. 지나친 자기 사랑은 이기주의가 될 수 있지만, 건강한 자기 사랑은 타자 사랑 및 하나님 사랑의 밑거름이 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5.0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7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