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Ⅱ. (필수)공익사업의 의의 및 범위
Ⅲ. 공익사업에 있어서 노동쟁의의 특칙
Ⅳ. 필수공익사업에 있어서의 노동쟁의의 특칙(개정전)
Ⅴ. 필수유지업무
Ⅱ. (필수)공익사업의 의의 및 범위
Ⅲ. 공익사업에 있어서 노동쟁의의 특칙
Ⅳ. 필수공익사업에 있어서의 노동쟁의의 특칙(개정전)
Ⅴ. 필수유지업무
본문내용
2. 30. 신설, 시행일 : 2008. 1. 1.)
동법 제42조의4 제2항에 따라 노동위원회의 결정이 있는 경우 그 결정에 따라 쟁의행위를 한 때에는 필수유지업무를 정당하게 유지운영하면서 쟁의행위를 한 것으로 본다.
⑹ 필수유지업무 근무 근로자의 지명(동법 §42의6, 2006. 12. 30. 신설, 시행일 : 2008. 1. 1.)
노동조합은 필수유지업무협정이 체결되거나 동법 제42조의4 제2항에 따른 노동위원회의 결정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필수유지업무에 근무하는 조합원 중 쟁의행위기간동안 근무하여야 할 조합원을 통보하여야 하며, 사용자는 이에 따라 근로자를 지명하고 이를 노동조합과 그 근로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노동조합이 쟁의행위 개시 전까지 이를 통보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필수유지업무에 근무하여야 할 근로자를 지명하고 이를 노동조합과 그 근로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2. 공익사업에 대한 쟁의행위 제한의 필요성
공익사업에서 쟁의행위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국민경제 및 일상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일부 제한할 필요성이 있다 하겠으나 이러한 제한은 헌법상 쟁의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는 것이어서는 아니된다.
동법 제42조의4 제2항에 따라 노동위원회의 결정이 있는 경우 그 결정에 따라 쟁의행위를 한 때에는 필수유지업무를 정당하게 유지운영하면서 쟁의행위를 한 것으로 본다.
⑹ 필수유지업무 근무 근로자의 지명(동법 §42의6, 2006. 12. 30. 신설, 시행일 : 2008. 1. 1.)
노동조합은 필수유지업무협정이 체결되거나 동법 제42조의4 제2항에 따른 노동위원회의 결정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필수유지업무에 근무하는 조합원 중 쟁의행위기간동안 근무하여야 할 조합원을 통보하여야 하며, 사용자는 이에 따라 근로자를 지명하고 이를 노동조합과 그 근로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노동조합이 쟁의행위 개시 전까지 이를 통보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필수유지업무에 근무하여야 할 근로자를 지명하고 이를 노동조합과 그 근로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2. 공익사업에 대한 쟁의행위 제한의 필요성
공익사업에서 쟁의행위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국민경제 및 일상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일부 제한할 필요성이 있다 하겠으나 이러한 제한은 헌법상 쟁의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는 것이어서는 아니된다.
추천자료
장애인복지
사회복지법제론
지방공기업 운영 효율화 방안
고용보험제도의 개념과 발전방향
노동조합(노조)에 관한 이론적 기초, 노동조합(노조)의 기능, 노동조합(노조)의 역할, 노동조...
[여성복지][여성복지정책][여성복지법][여성복지서비스][양성평등][남녀평등]여성복지(여성복...
[디지털][디지털환경][미디어]디지털컨텐츠(디지털콘텐츠)의 특성과 유형, 디지털시대 방송의...
[쟁의행위][쟁의행위 종류][쟁의행위 제한, 금지][프랑스 쟁의행위 사례][쟁의행위 개선방안]...
[A+받은레포트]복수노조 허용 및 노조전임자 임금지급금지문제, 경희대 석사 레포트
[방송위원회][방송위원회의 독립성]방송위원회의 역할, 방송위원회의 역사, 방송위원회의 성...
ILO 노동입법 권고와 울나라 노사관계 연구
양식업(양식어업) 국내외여건, 양식업(양식어업) 자격과 교육훈련, 양식업(양식어업) 오염과 ...
보상절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