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약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투약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약물(medication)의 정의

(2) 약명

(3) 약물의 형태

(4) 투약.
1. 안전한 투약에 대한 고려
2. 투약경로
3. 약물의 특성

(5) 비 경구 투약
1) 비 경구 투약 종류
2) 주사형태에 따른 주사기와 주사 바늘의 크기 및 주사 용량
3) 주사약의 종류

* 피하주사 (S.C or S.Q)
1) 피하주사란
2) 주사부위
3)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주사
4) 헤파린 주사법

*근육주사 (I.M)
1) 근육주사부위
2) 근육주사 기법

* 피내주사 (I.D)
1) 피내주사란
2) 투베르쿨린 반응(Manteaux test)
3) 약물의 알러지 반응검사(AST)
4) 피내주사 부위
5) 피내주사 방법

(6) 의사 처방지

본문내용

약 2.5-3.5㎝(1-3/2 inch)정도 잡아당긴다. 피부를 계속해서 팽팽하게 유지시킨 채 근육 깊숙이 주사 바늘을 삽입한다. 흡인시 혈액역류가 없으면 약물과 공기를 서서히 주입 한다. 주사바늘은 약물이 균등하게 잘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10초간 그대로 삽입하고 있는다. 주사바늘을 뺀 후 당긴 피부를 느슨하게 한다. 이렇게 하면 조직 평면이 다 른 조직을 가로 질러 미끄러질 때 주사바늘이 들어갔던 길을 차단하는 Z자형 통로를 남기게 된다. 약물은 근육 조직 밖으로 새어 나올 수 없다.
① 배둔근 부위 - 복위를 취하되 발끝을 안으로 모은 자세, 혹은 측위
② 측둔근 부위 - 앙와위 혹은 무릎을 구부린 상태의 측위
③ 외측광근, 대퇴직근, 삼각근 부위 - 앙와위 혹은 좌위
(금기가 되지 않는 체위를 취한다.)
* 피내주사 (I.D)
1) 피내주사란
- 투베르쿨린 반응이나 알레르기 반응검사 등을 알아보기 위한 피부반응 검사(skin test)시 사용하는 것으로, 표피 바로 아래 진피 층 속으로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
피내는 혈관이 거의 없어 흡수속도가 느려서 약물의 반응검사에 이용
( 약물흡수 속도 : 정맥내 또는 동맥내 > 근육내 > 피하 > 피내> 경구투약)
2) 투베르쿨린 반응(Manteaux test) : 검사후 48 ~ 72시간후에 판독
- BCG 접종 대상자 선정이 목적일 때 팽진 직경이 5mm이상이면 양성, 이하면 음성
- 이미 BCG접종을 받은 대상자는 10mm이상이면 양성, 이하면 음성
3) 약물의 알러지 반응검사(AST) : 검사 후 15 ~ 30분후 판독
- 발적직경 15mm이상, 팽진직경 10mm이상 양성(+, positive)
- 약물에 대한 반응을 눈으로 쉽게 볼 수 있고 반응정도를 비교 가능하다.
4) 피내주사 부위
5)피내주사방법
(6)의사 처방지
· aldactone 25mg : edema 및 hypertension 제제.
· Lasix 20mg : edema 및 hypertension 제제.
· Ursa 1T :chronic liver disease 기능 개선, 간기능 손상시.
· Legalon 1T : liver cell 보호 및 LC 간기능 손상시.
· Propranolol 20mg : trachycardia 및 hypertension 제제.
· Curan 75mg : gastroduodenal , 위산, 속쓰림 제제.
비경구
PO
ID
IM
IV
SC
장점
약물에 대한 반응을 눈으로 쉽게 관찰가능
피하주사보다 흡수율이 높고 빠르게 작용
특별한 상해없이 근육조직으로 깊게 투여
즉각적이며 최대한의 효과
많은용량의 약물투여
혈중농도를 짧은시간내에 높일 수 있다.
주사를 여러 위에 놓을 수 있다.
1.가장 편리하다.
2.대체로 경제적이다.
3.피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4.약물투여가 스트레스를 유발시키지 않는다.
5.부작용이나 투약 과오 발생 시 흡수 전에 위세척을 통해 약물을 배출 시킬수 있다.
단점
비경구 투약중 가장 흡수가 느림
합병증 발생가능성(신경손상, 동통 등)
의료사고 시 손쓸 방법이 없다.
감염 가능성이있다.
약물에 대한 조직의 자극성이 크다.
1.오심이나 구토가 있는 대상자에게는 부적합
2.불쾌한 맛이나 냄새가 날 수 있다
3.위장관운동이 저하시는 부적합
4.연하곤란이나 무의식 환자는 부적합
5.특별한 진단적 검사나 수술전(금식처방 환자)에는 사용못함
6.치아변색 혹은 에나멜층손상을 줄 수 있다
7.중환자의 경우 약물을 기도내로 흡인할 수 있다
8.약물효과가 비교적 늦게 나타나고 효과가 지속되는지 정확성이 떨어진다.
총주입량m x ml방울수
주입속도 계산 공식 =
총시간 x 60분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5.14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2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