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Signal transduction
2) 신호전달 체계를 통한 발달
3) T 세포의 신호전달(Signal transduction in T cells activation)
4) 신호전달 체계의 이상
5) TGF-β1과 관련된 신호전달체계
6) TNF와 Fas 신호전달과 세포사멸
7) 크기 조절에 중요한 신호 전달 체계
8) 신경계에서의 신호전달과정
9) 식물체 내에서의 신호 전달
3. 결 론
4. 참고문헌
2. 본 론
1) Signal transduction
2) 신호전달 체계를 통한 발달
3) T 세포의 신호전달(Signal transduction in T cells activation)
4) 신호전달 체계의 이상
5) TGF-β1과 관련된 신호전달체계
6) TNF와 Fas 신호전달과 세포사멸
7) 크기 조절에 중요한 신호 전달 체계
8) 신경계에서의 신호전달과정
9) 식물체 내에서의 신호 전달
3. 결 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G단백질이 활성화되어 K+채널은 직접 조정하게 된다. 이와는 별도로 G 단백질의 조정을 받은 cAMP 2차 전령계는 채널에 보조적인 영행을 미친다. 그림에서 M2수용체로 표시한 다른 종류의 mAChR은 IP3 2차 전령계와 연관을 맺고 있다. 이들 M1,M2 수용체는 특이한 시냅스에서는 다른 2차 전령게와 연관을 맺기도 한다.
⑤ Ach는 아세틸콜린에스테르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 된다.
(1)-2 생리활성 아민류 (모노아민)
아민기를 가지고 있는 분자들 중에서 혈소판에서 신경까지 다양한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을 생리활성 아민류 혹은 모노아민 이라 한다. 이들은 다시 몇 가지로 나뉘는데 카테콜아민(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또는 5-히드록시트립타민(5-HT) 히스타민 등이 있다. 이들 중 신경계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종류들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다.
① 아드레날린 작동성 시냅스
노르에피네프린(NE) 또는 에피네프린(E)을 전달물질로 이용하는 시냅스를 아드레날린 작동성 시냅스라고 부른다. 신경계에서는 NE가 가장 보편적 전달 물질이기 때문에 교감신경계의 신경절 세포의 주류를 이루며 척추동물 뇌에 있는 청색반점 신경세포의 신경전달 물질이기도 하다.
카테콜아민의 합성은 신경세포가 혈액으로부터 받아들인 아미노산 티로신(Tyr)으로부터 시작되며, NE의 합성은 신경세포체나 시냅스 말단에서 이루어진다. 합성된 NE는 주머니에 포장되어 저장 풀로 수송되며, 그 후 탈분극과 Ca2+의 유입에 따라 엑소시스트에 의해 방출된다. 방출됨과 동시에 α1-아드레날린 작동성 수용체라고 부르는 시냅스 후 수용체에 작용을 미치게 된다. NE의 가장 중요한 작용으로는 2차 전령을 매개로 하여 Ca 채널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며 이밖에 방출된 NE는 주로 시냅스 전 말단에 분포되어 있는 α2 수용체에도 작용한다. NE의 작용을 받은 α2 수용체는 2차 전령과 단백질 인산화를 통해 K+ 채널의 여닫이의 변화를 위시해서 시냅스의 상태를 다양하게 조절한다. 이 작용은 G 단백질의 직접 작용에 의해 일어나기도 하며 시냅스 전 말단 내의 NE의 수준은 효소에 의한 분해 또는 불활성화에 의해 조절되고 이러한 작용은 NE가 시냅스전 말단으로 재흡수 됨으로써 종결된다.
아드레날린 작동성 수용체의 다른 한 가지는 β수용체이다. α수용체와 다른 점은 β수용체는 주로 시냅스 후 작용을 나타내며 cAMP 2차 전령계와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며 이 계의 작용은 시냅스 후 세포의 막전도도를 감소시켜 활동전위가 발생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일이다. 이러한 β수용체의 작용은 세포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심장세포에서는 NE와 E는 주로 β수용체와 cAMP를 통해서 작용하지만, 배측근 신경절 뉴런에서는 α수용체와 DAG를 통해서 작용한다.
② 도파민 시냅스
도파민 작동성 시냅스가 흥미의 대상이 되고 있는 까닭은 1960년대 항정신병약들은 공통적으로 뇌의 도파민 작동성 시냅스에서의 전달을 방해하는 효소가 있다는 증거 때문이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항정신병약의 일차적 작용은 D2 수용체와 결합하여 이를 봉쇄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봉쇄작용과는 대조적으로 DA의 작용을 증가시키거나 이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암페타민 따위 DA 효연제들은 정신분열병 같은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정신분열증은 뇌에서 DA 뉴런의 지나친 활동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 견해는 타당성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DA의 저장과 방출 기작은 앞에서 설명한 NE의 기작과 유사하다. DA는 두 가지 종류의 수용체에 작용하는데 두 가지 모두 아델린 고리화효소-cAMP 2차 전령계와 연관되어 있다. D1-수용체가 자극을 받으면 시냅스 후 뉴런의 cAMP 수준이 증가하고, D2-수용체가 자극을 받으면 cAMP 수준이 감소한다. 이러한 DA의 작용은 대개 재흡수에 의해서 종결되며 분해와 불활성화의 기작은 NE의 경우와 유사하다.
③ 세로토닌 시냅스
세로토닌(5HT)은 카테콜 고리 이외에 끝에 아민기가 있는 알킬기를 가지고 있는 인돌 고리를 하나 더 가지고 있는 점이 카테콜아민과 다르다. 5HT의 전구체는 트립토판이며 이는 혈류로부터 받아들여진다. 합성된 5HT는 주머니에 저장되고 다른 생리활성 아민류와 같은 기작으로 방출된다. 세로토닌 수용체는 5HT와 중추신경 촉진제인 스피페린중의 어느 것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지에 따라서 5HT1 수용체와 5HT2 수용체로 구분한다. 5HT1 수용체는 G 단백질과 K+과 Ca2+ 채널을 조절하는 cAMP 2차 전령계와 연계되어 있다. 5HT의 자기수용체는 그 근거가 희박하고 재흡수는 5HT의 작용을 종식시키는 중요한 기작으로 믿어지고 있으며 분해는 시냅스 전 말단에서 일어난다.
④ 그 밖의 생리활성 아민류
노르에피네프린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에피네프린은 노르에피네프린의 말단의 아민기의 수소가 메틸화된 구조이다. 에피네프린은 주로 부신 수질에서 생성되며 \'분노 또는 공포\'와 같은 스트레스 반응 동안에 방출되는 호르몬으로서 혈액을 타고 순환하는 중요한 호르몬이다. 모노아민에 속하는 히스타민은 혈류에서 받아들인 히스티딘으로부터 합성된다.
히스타민은 일차적으로 비만세포에서 발견되는데 비만세포는 알레르기의 원인물질이 되는 이른바 알레르겐에 대한 반응의 일부로 히스타민을 방출한다. 히스타민 수용체는 거의가 시상하부에서 발견되며 수용체의 종류는 여러 가지 발견되고 있는데 그 중의 한 가지는 신피질과 해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자극을 받으면 신경의 물질대사가 변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cAMP에 의해 조정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1)-3 아미노산류
글루탐산; 뇌 전체로 볼 때 글루탐산(Glu)이 고 농도로 들어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척추동물 뇌의 어떤 특정 뉴런에서, 무척추동물의 뉴런계에서 글루탐산이 발견되고 있다.
글루탐산(Glu)는 글루타민으로부터 합성되어 저장되고 Ca2+에 의존해서 방출된다. 글루탐산은 시냅스 후 수용체에 작용하여 막을 탈분극 시키는 전도도 채널과 직접 관련을 맺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글루탐산 수용체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고 있다. 하나는
⑤ Ach는 아세틸콜린에스테르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 된다.
(1)-2 생리활성 아민류 (모노아민)
아민기를 가지고 있는 분자들 중에서 혈소판에서 신경까지 다양한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을 생리활성 아민류 혹은 모노아민 이라 한다. 이들은 다시 몇 가지로 나뉘는데 카테콜아민(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또는 5-히드록시트립타민(5-HT) 히스타민 등이 있다. 이들 중 신경계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종류들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다.
① 아드레날린 작동성 시냅스
노르에피네프린(NE) 또는 에피네프린(E)을 전달물질로 이용하는 시냅스를 아드레날린 작동성 시냅스라고 부른다. 신경계에서는 NE가 가장 보편적 전달 물질이기 때문에 교감신경계의 신경절 세포의 주류를 이루며 척추동물 뇌에 있는 청색반점 신경세포의 신경전달 물질이기도 하다.
카테콜아민의 합성은 신경세포가 혈액으로부터 받아들인 아미노산 티로신(Tyr)으로부터 시작되며, NE의 합성은 신경세포체나 시냅스 말단에서 이루어진다. 합성된 NE는 주머니에 포장되어 저장 풀로 수송되며, 그 후 탈분극과 Ca2+의 유입에 따라 엑소시스트에 의해 방출된다. 방출됨과 동시에 α1-아드레날린 작동성 수용체라고 부르는 시냅스 후 수용체에 작용을 미치게 된다. NE의 가장 중요한 작용으로는 2차 전령을 매개로 하여 Ca 채널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며 이밖에 방출된 NE는 주로 시냅스 전 말단에 분포되어 있는 α2 수용체에도 작용한다. NE의 작용을 받은 α2 수용체는 2차 전령과 단백질 인산화를 통해 K+ 채널의 여닫이의 변화를 위시해서 시냅스의 상태를 다양하게 조절한다. 이 작용은 G 단백질의 직접 작용에 의해 일어나기도 하며 시냅스 전 말단 내의 NE의 수준은 효소에 의한 분해 또는 불활성화에 의해 조절되고 이러한 작용은 NE가 시냅스전 말단으로 재흡수 됨으로써 종결된다.
아드레날린 작동성 수용체의 다른 한 가지는 β수용체이다. α수용체와 다른 점은 β수용체는 주로 시냅스 후 작용을 나타내며 cAMP 2차 전령계와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며 이 계의 작용은 시냅스 후 세포의 막전도도를 감소시켜 활동전위가 발생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일이다. 이러한 β수용체의 작용은 세포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심장세포에서는 NE와 E는 주로 β수용체와 cAMP를 통해서 작용하지만, 배측근 신경절 뉴런에서는 α수용체와 DAG를 통해서 작용한다.
② 도파민 시냅스
도파민 작동성 시냅스가 흥미의 대상이 되고 있는 까닭은 1960년대 항정신병약들은 공통적으로 뇌의 도파민 작동성 시냅스에서의 전달을 방해하는 효소가 있다는 증거 때문이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항정신병약의 일차적 작용은 D2 수용체와 결합하여 이를 봉쇄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봉쇄작용과는 대조적으로 DA의 작용을 증가시키거나 이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암페타민 따위 DA 효연제들은 정신분열병 같은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정신분열증은 뇌에서 DA 뉴런의 지나친 활동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 견해는 타당성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DA의 저장과 방출 기작은 앞에서 설명한 NE의 기작과 유사하다. DA는 두 가지 종류의 수용체에 작용하는데 두 가지 모두 아델린 고리화효소-cAMP 2차 전령계와 연관되어 있다. D1-수용체가 자극을 받으면 시냅스 후 뉴런의 cAMP 수준이 증가하고, D2-수용체가 자극을 받으면 cAMP 수준이 감소한다. 이러한 DA의 작용은 대개 재흡수에 의해서 종결되며 분해와 불활성화의 기작은 NE의 경우와 유사하다.
③ 세로토닌 시냅스
세로토닌(5HT)은 카테콜 고리 이외에 끝에 아민기가 있는 알킬기를 가지고 있는 인돌 고리를 하나 더 가지고 있는 점이 카테콜아민과 다르다. 5HT의 전구체는 트립토판이며 이는 혈류로부터 받아들여진다. 합성된 5HT는 주머니에 저장되고 다른 생리활성 아민류와 같은 기작으로 방출된다. 세로토닌 수용체는 5HT와 중추신경 촉진제인 스피페린중의 어느 것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지에 따라서 5HT1 수용체와 5HT2 수용체로 구분한다. 5HT1 수용체는 G 단백질과 K+과 Ca2+ 채널을 조절하는 cAMP 2차 전령계와 연계되어 있다. 5HT의 자기수용체는 그 근거가 희박하고 재흡수는 5HT의 작용을 종식시키는 중요한 기작으로 믿어지고 있으며 분해는 시냅스 전 말단에서 일어난다.
④ 그 밖의 생리활성 아민류
노르에피네프린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에피네프린은 노르에피네프린의 말단의 아민기의 수소가 메틸화된 구조이다. 에피네프린은 주로 부신 수질에서 생성되며 \'분노 또는 공포\'와 같은 스트레스 반응 동안에 방출되는 호르몬으로서 혈액을 타고 순환하는 중요한 호르몬이다. 모노아민에 속하는 히스타민은 혈류에서 받아들인 히스티딘으로부터 합성된다.
히스타민은 일차적으로 비만세포에서 발견되는데 비만세포는 알레르기의 원인물질이 되는 이른바 알레르겐에 대한 반응의 일부로 히스타민을 방출한다. 히스타민 수용체는 거의가 시상하부에서 발견되며 수용체의 종류는 여러 가지 발견되고 있는데 그 중의 한 가지는 신피질과 해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자극을 받으면 신경의 물질대사가 변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cAMP에 의해 조정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1)-3 아미노산류
글루탐산; 뇌 전체로 볼 때 글루탐산(Glu)이 고 농도로 들어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척추동물 뇌의 어떤 특정 뉴런에서, 무척추동물의 뉴런계에서 글루탐산이 발견되고 있다.
글루탐산(Glu)는 글루타민으로부터 합성되어 저장되고 Ca2+에 의존해서 방출된다. 글루탐산은 시냅스 후 수용체에 작용하여 막을 탈분극 시키는 전도도 채널과 직접 관련을 맺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글루탐산 수용체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고 있다. 하나는
추천자료
당뇨병(diabetes mellitus)의 원인과 병태생리 및 당뇨환자 교육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
전신홍반성 낭창 간호
급성림프구성 백혈병
[간호학특론B]중산층과 빈곤층 각 1인씩 총 2인을 선정하여 과제유형에 따라 사례분석하시오 ...
식도암 진단중재 (esophageal cancer) Case Study
(병리학)면역
스트레스의 원인과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대해 설명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임파선염 (lymphadenopathy)
근골격 - 통증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
[질환별 물리치료] 무릎 류마티스관절염[Knee RA]
성인간호학 암병동 CASE, 림프종
전신성홍반성낭창(SLE)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