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생활 지도안(갑안) 1-1-4. 즐거운 우리집(효과음 만들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즐거운생활 지도안(갑안) 1-1-4. 즐거운 우리집(효과음 만들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단원
1. 단원의 개관
2. 발전계통
3. 과제 분석
4. 단원 목표

Ⅲ. 교재 연구
1.본 단원 지도를 위한 교재 연구
2.본 차시 지도를 위한 교재 연구

Ⅳ. 단원의 전개 계획

Ⅴ. 평가 계획

Ⅵ. 본시 학습 지도안

본문내용

, 이 점에 있어서 현실적인 주거 및 가계(家計)의 공동을 조건으로 하는 ‘가구(家口)’의 개념과 구별된다. 가족의 유어(類語)로서의 ‘집(집안)’이 계보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 집합체인 데 대하여 ‘가족’은 현실적인 집단개념이다. ‘집’이라는 개념에는 가족구성원, 가족원이 생활하는 거주지·건물, 생활공동체로서의 가족, 그 이외에 가족의 범위를 초월하여 동족·친척까지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라. 다양한 가족 형태와 특성
형 태
특 성
독신자 가족
여성 또는 남성이 혼자 가구를 이루는 가족이다. 산업화 이후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처음부터 자기 개발을 목표로 독신을 선택하는 경우와 결혼 후 사별 및 이혼으로 독신자가 되는 경우가 있다.
무자녀 가족
자녀 없이 부부만으로 이루어진 가족이다. 결혼하기 전에 부모의 역할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경우가 있고, 자녀를 늦게 갖거나 못 갖는 경우가 있다.
편부모 가족
양친 중 한쪽의 사망, 이혼, 별거, 유기 등에 의해서 부모 중의 한쪽과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 유형이다. 현재 이혼율의 증가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이 편모 가족이지만, 편부 가족도 증가하고 있다.
재혼 가족
이혼과 재혼의 자유에 따라 발생한 부수적인 가족의 유형으로 두 명의 성인과 그들 중 한쪽 혹은 양쪽의 자녀들로 이루어진 가족 형태이다.
수정 핵가족
부모, 자녀 가족이 외형상으로는 한 울타리 안에 거주하지만 위층, 아래층 등으로 따로 거주하면서 서로의 독립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며 동거하는 가족 형태이다.
수정 확대 가족
부모와 결혼한 자녀가 근거리에 살면서 잦은 왕래와 협조를 하며 살아가는 가족 형태이다.
공동체 가족
복잡한 현대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여러 가지 문제들을 개인이나 가족이 하나의 조직체로서 협동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시도되고 있는 가족 생활 유형이다.
소년 소녀 가장
가족
부모의 사망, 가출, 유기 등으로 소년, 소녀가 가장이자 세대주의 역할을 하는 가족이다. 오늘날에는 부모의 가출이나 이혼, 재혼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노인 가족
노인 단독 혹은 노인 부부가 가구주로 가족을 허용하게 된 유형이다. 3세대 이상의 가구 비율 감소와 핵가족 비율의 증가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마. 찰흙놀이의 교육적 의의
흙장난이 어린이들의 본능적 만족감을 채워 주듯이 찰흙은 촉각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심리적인 만족을 주는 재료이다.
그림이나 판화는 어린이들의 이미지를 평면적으로 인식 시키는데 비해 찰흙은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인식 시킬 수 있다.
표현 활동에서의 어린이들이 이미지를 모두 입체로 표현하려는 표현 형식은 가장 소박한 형태이다. 이 찰흙놀이는 입체 표현을 발전시키기 위한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바. 재미있는 찰흙놀이
찰흙놀이 내용의 가소성(可塑性)이란 찰흙의 특징을 활용한 것이다. 어린이들은 찰흙을 손에 쥐었을 때 둥글게 만다, 쥔다, 때린다, 민다, 비튼다, 찢는다, 움켜쥔다, 늘린다, 굽힌다, 자른다 등과 찰흙에 그린다, 찰흙을 판다, 깎는다, 붙인다, 연결한다 등의 수많은 기법을 스스로 생각할 수 있다.
1) 평면적인 형태 나타내기
찰흙으로 긴 줄을 만들어 그것을 늘어놓거나 연결하기, 나무판, 찰흙판, 종이 위 등에서 평면적인 형태를 만들기도 하는데, 이는 부조 작품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2) 입체적인 형태 붙여서 나타내기
찰흙으로 긴 줄을 만들어 나뭇가지를 만들고 나뭇잎이나 열매 등을 붙여 가며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3) 입체적인 형태 쌓아서 나타내기
손끝으로 떼어 낸 덩어리를 구슬(경단)처럼 만든다. 이것을 유리컵이나 플라스틱 컵에 꼭꼭 담은 후 쏟아 놓고, 컵 모양에서 형태를 변화시켜 나타낸다.
다. 찰흙의 반죽과 보관
4) 반죽
여러 번 쳐서 반죽을 하거나 두드려서 반죽을 하거나, 주물러 반죽을 하여 손가락에 찰흙이 묻지 않고 갈라지지 않을 때가 좋은 반죽 상태이다.
5) 보관
찰흙은 공기에 노출되면 단단해지고 마르며 갈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비닐 주머니 속에 보관하거나 물수건에 싸서 보관한다.
사. 리듬악기 주법
1) 큰북의 주법
ㆍ노래에 맞추어 강박에 칩니다.
ㆍ악보를 보며 정확하게 칩니다.
2) 트라이앵글의 주법
ㆍ트라이앵글이 돌아가지 않게 고무줄을 당겨 왼손의 식지에 끼웁니다.
ㆍ연주할 때는 세 변을 모두 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밑변 가운데 부분을 가볍게 연주합니다.
ㆍ트라이앵글이 자기 몸과 평행이 되도록 합니다.
ㆍ너무 세게 한 쪽을 쳐서 빙빙 돌아가지 않게 합니다.
3) 탬버린의 주법
ㆍ왼손으로 가볍게 잡습니다.
ㆍ탬버린의 북소리와 울림쇠 소리가 잘 나도록 탬버린을 비스듬히 쥐고 가슴높이로 듭니다.
ㆍ오른손 손가락을 가볍게 구부려 가죽면 중심부를 가볍게 치며, 때로는 주먹이나 손바닥으로 치기도 합니다.
ㆍ트레몰로(잔결소리내기)의 주법은 탬버린을 가볍게 쥐고 울림쇠가 잘 울리게 손목을 좌우로 가볍게 흔듭니다.
4) 캐스터네츠 주법
ㆍ왼손 바닥 위에 올려 놓고 고무줄은 식지 또는 장지에 끼워 안정시킵니다.
ㆍ왼손은 연주하기 쉽게 가슴 높이로 고정시킵니다.
ㆍ칠 때는 오른손의 장지와 식지를 합하여 가볍게 칩니다.
ㆍ강박일때는 손뼉치듯이 치고 약박은 왼손 주먹을 살며시 쥐고 연주합니다.
바. 리듬합주하기
1) 소고, 윷가락, 트라이앵글, 캐스터네츠 등의 다양한 악기로 나누어 연주를 합니다.
2) 노래를 부르며 리듬 악기를 연주합니다.
3) 소집단별로 악기를 바꾸어 연주합니다.
4) 노래에 맞추어 리듬 합주를 합니다.
2.v본 차시 지도를 위한 교재 연구
가. 기악활동의 목적
1) 리듬감을 기른다.
학생들의 리듬에 대한 감각은 예민하고 또한 이 시기의 감각적 성장은 놀랍다. 타악기, 선율악기로 여러 가지 리듬을 경험시키고, 움직임과 노래와 악기의 세 가지를 함께 하는 공부도 대단히 효과적이다.
2) 창조성을 싹트게 한다.
짧은 동기를 연주하고 아동들에게 즉흥적인 답을 요구하면, 재미있는 리듬으로 답한다. 우연한 일이기는 하나, 대단히 음악적인 답을 만드는 때가 있다. 모방성이 많고 경험 범위가 좁기 때문에, 창작이라고 이름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6.08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