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이 비슷한 한자와 그 용례 그리고 차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뜻이 비슷한 한자와 그 용례 그리고 차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뜻이 비슷한 한자와 그 용례 그리고 차이)

3. 결론(조사를 통해 느낀점)

본문내용

極度),극심(極甚)
문장 예시
그는 복통이 극도에 달하여 결국 탈진하고 말았다.
차이
모두 다 없어져 아무것도 없게 되었을 때 -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것을 있는 대로 다 들인다는 뜻일 때 쓰임
한자
기쁠 환(歡)
기쁠 희(喜)
한자어
환대(歡待),환영(歡迎),환호(歡呼)
한자어
희극(喜劇),희비(喜悲),희열(喜悅)
문장 예시
우리들이야 그들을 환영했지만 그녀만큼은 희비가 교차했을 것이다.
차이
기뻐서 마음이 들뜨다 - 슬픔이나 성냄의 상대개념으로 어떤 일에 대해 느끼는 마음이 즐거움. 넓은 의미
그 밖에 뜻이 비슷한 한자
클 거(巨)
큰 대(大)
셀 산(算)
헤아릴 계(計)
생각할 려(慮)
생각할 고(考)
길 도(道)
길 로(路)
피할 피(避)
달아날 도(逃)
이을 련(連)
이을 락(絡)
통할 철(徹)
통할 통(通)
글월 문(文)
글 장(章)
버금 부(副)
버금 차(次)
살필 찰(察)
조사할 사(査)
이을 승(承)
이을 계(繼)
베풀 시(施)
베풀 설(設)
슬퍼할 도(悼)
슬플 애(哀)
완전할 완(完)
온전할 전(全)
근심 수(愁)
근심 우(憂)
옷 의(衣)
옷 복(服)
재물 화(貨)
재물 재(財)
싸움 전(戰)
싸울 투(鬪)
머무를 류(留)
머무를 정(停)
임금 제(帝)
임금 왕(王)
있을 존(存)
있을 재(在)
더할 가(加)
더할 증(增)
나아갈 취(就)
나아갈 진(進)
곳 처(處)
곳 소(所)
맑을 청(淸)
깨끗할 결(潔)
들을 문(聞)
들을 청(廳)
땅 지(地)
땅 곤(坤)
찰 한(寒)
찰 랭(冷)
바랄 망(望)
바랄 희(希)
Ⅲ. 결론 - (조사를 통해 느낀 점)
지금까지 뜻이 비슷한 한자들이 각기 차별되어 쓰이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번 조사를 통해서 우리말이 얼마나 의미가 세분화되어있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있는지를 새삼 깨닫게 되었다. 나 역시도 위의 한자어들을 항상 사용하면서도 의식하지 못했던 사항들인데 이런 것들에 대해 여러 가지를 알게 되어 우리말과 한자의 관계가 참으로 흥미로운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나는 아직 한글을 전용으로 해야 한다거나 한자와 혼용해서 써야한다던가 하는 논란에 대해서는 감히 말할 위치가 아니지만, 우리말과 한자는 어찌 됐든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처럼 절대 따로 떨어질 수 없는 관계라는 것만큼은 확실하게 알 것 같다. 자식은 부모의 사랑을 늘 받고 자라므로 그 고마움이나 마음을 매번 느끼지 못하고 생활하듯이, 또는 우리가 공기의 소중함을 잊고 살듯이 한글과 한자의 사용도 역시 그렇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한자의 지식을 전제로 한글을 쓰고 있지만 한글이 품고 있는 많은 한자들을 잘 인식하지 못한다. 그것은 한글만으로도 충분히 의미를 파악하고 문맥상 모르는 단어도 유추하여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가끔은 이번 조사를 통해 알게 된 사실처럼 우리말의 의미 속에 숨어있는 한자의 세심한 배려를 생각하며 이를 토대로 우리말을 더욱 풍성하고 올바르게 사용하고 사랑할 수 있다면 그것이 야 말로 우리말 발전에 매우 가치 있는 일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6.1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51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