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한자, 철학 관련 한자어 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한자, 철학 관련 한자어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ㄱ~ㄴ입니다
1.가설(假說) [거짓 가 ,이를 격 / 말씀 설] ~ 13.논증(論證) [논할 논(론), 조리 륜(윤) / 증거 증]

@ ㄷ~ㄹ입니다
1.도 (道) [도리 도] ~ 13.대전제 (大前提) [큰 대 / 앞 전 / 끌 제]

@ ㅁ~ㅂ 입니다
1. 미학 [美學] = (아름다울 미, 배울 학) ~ 12. 발전 [發展] = (필 발, 펼 전)

@ ㅅ와 ㅇ입니다
1. 사고(思考) [생각할 사, 헤아릴 고] ~ 7. 영원성(永遠性) [오랠 영, 멀 원, 성풀 성]

@ ㅈ와 ㅊ입니다
1.자본주의 (資本主義) = (재물 자, 근본 본, 주인 주, 뜻 의) ~ 5.추상(抽象) = (뺄 추, 모양 상)

@ ㅋ와 ㅌ입니다.
1. 쾌락 [快樂] = (즐거울 쾌, 즐길 락) ~ 10. 통각(統覺) =(거느릴 통, 깨달을 각)

@ ㅍ과 ㅎ 입니다.
1. 후천적(後天的) [뒤 후 하늘 천 과녁 적] ~ 12. 회심 (回心, 돌 회 마음는 심)

@ 각종 사상(思想)들입니다
1. 객관주의(客觀主義) [손님 객, 볼 관, 주인 주 , 뜻 의] ~ 11. 자연주의(自然主義)

본문내용

면, 반드시 (그것을 기록할) 천지자연의 글자가 있느니라. 그러므로 옛 사람이 소리를 따라 글자를 지어 가지고 만물의 뜻을 통하게 하고, 삼재의 이치를 실었으니, 후세(後世)에도 능히 바꾸지 못하느니라. [훈민정음 정인지 서]
7. 화엄경(華嚴經, 꽃 화 엄할 엄 날 경)
: 석가모니가 성도한 깨달음의 내용을 그대로 설법한 경문. 법계 평등(法界平等)의 진리를 증오(證悟)한 부처의 만행(萬行)과 만덕(萬德)을 칭양하고 있다. 정식 이름은 대방광불화엄경이다.
8. 혜초(慧超, 슬기로울 혜 넘을 초)
: 통일 신라 경덕왕 때의 중(704~787). 일찍이 해로로 남양을 거쳐 인도의 성지를 순례하고 오천축을 답사한 후 육로로 서역을 돌아 중국 당나라에 들어가 불경 번역에 종사하였다. 그의 인도 기행문인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유명하다.
9. 행해(行解, 갈 행 풀 해)
1) 주관(主觀)인 심식(心識)이 대상에 작용하여 그 모양을 분별하고 완전히
이해하는 알음알이.
2) 수행(修行)과 학해(學解)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주지스님은 행해(行解)를 통해 세상만물의 이치를 깨달으셨다.
10. 화신(化身, 될 화 몸 신)
: 부처가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여러 모습으로 변화하는 일. 또는 그 불신(佛身). 좁은 의미에서는 부처의 상호(相好)를 갖추지 않고 범부, 범천, 제석, 마왕 따위의 모습을 취하는 것을 뜻한다.
- 미륵이 오실 때에는 화신(化身)하시어 여러 모양으로 오신다.
11. 홍통 (弘通, 넓을 홍통할 통)
1) 세상을 널리 교화함.
2) 불법을 세상에 널리 퍼뜨림.
- 부처님의 이 진리를 세상에 홍통(弘通)해야 부처님께서 다시 오신다.
12. 회심 (回心, 돌 회 마음는 심)
: 마음을 돌이켜 먹음.
- 철수는 회심(回心)하여 다시 교회에 나오기로 마음먹었다.
--------------------------------------------------------------------
@ 각종 사상(思想)들입니다
--------------------------------------------------------------------
1. 객관주의(客觀主義) [손님 객, 볼 관, 주인 주 , 뜻 의]
1) <법률> 형법적 가치 판단의 대상에 관한 형법 이론의 하나. 형벌은 교육이 아니라 범 죄인의 행위나 그 결과에 대한 대가로서의 응보형(應報刑)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2) <사회> 인식이나 판단의 기준이 객관에 있다고 보는 사상.
3) <철학> 실재나 진리는 주관적 인식 또는 인간적 실천의 매개에 의하지 않고 주관과는 독립하여 존재한다는 사상
2. 결과주의(結果主義) [맺을 결, 결과 과, 주인 주, 뜻 의]
: 어떤 행위에 대해서 그 결과의 가치를 기준으로 하여 옳고 그름, 선하고 악함 따위를
판정하는 입장.
3. 경험주의(經驗主義) [지날 경, 시험할 혐, 주인 주, 뜻 의]
: 인식의 바탕이 경험에 있다고 보아, 경험의 내용이 곧 인식의 내용이 된다는 이론.
초경험적이며 이성적인 계기에 의한 인식을 인정하지 않는다.
4. 공산주의(共産主義) [함께 공, 자산 산, 주인 주, 뜻 의]
1) 마르크스와 레닌에 의하여 체계화된 프롤레타리아 혁명 이론에 입각한 사상. 사적
소유에 근거를 둔 계급 지배를 철폐하고 생산 수단의 사회화와 무계급 사회를 지향한다.
2) 공산주의자들이 계급 지배의 도구라고 여기는 국가가 철폐되고 생산 수단의
사회화가 실현된 사회 체제.
5. 급진주의(急進主義) [급할 급, 나아갈 진, 주인 주, 뜻 의]
: 사회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현재의 사회 제도나 정치 체제 관행 따위를 급격하게 변혁하려는 주의. 18세기 말 영국에서 선거법과 사회 제도의 개혁을 주장한 정파(政派)에 대하여 붙인 이름이었는데, 나중에 프랑스 급진당의 주장이 되었다.
6. 무정부주의(無政府主義) [없을 무, 정사 정, 관청 부, 주인 주, 뜻 의]
: 일체의 정치권력이나 공공적 강제의 필요성을 부정하고 개인의 자유를 최상의 가치로 내세우려는 사상. 프루동, 바쿠닌, 크로포트킨 등이 대표적인 사상가이다. ≒아나키즘.
7. 민족주의(民族主義) [백성 민, 겨레 족, 주인 주, 뜻 의]
1) <정치>민족의 독립과 통일을 가장 중시하는 사상. 19세기 이래 근대 국가 형성의 기본 원리가 되었으며, 분열되어 있는 민족의 정치적 통일을 목표로 하는 형태와 외국의 지배로부터의 해방이나 독립을 목표로 하는 형태로 크게 나누어진다. ≒내셔널리즘·민족 지상주의.
2) <정치>중국의 쑨원(孫文)이 제창한 삼민주의 가운데 하나. 국내 여러 민족의 평등과 외국의 압박으로부터의 독립을 주장하였다.
8. 신비주의(神秘主義) [귀신 신, 숨길 비, 주인 주, 뜻 의]
: <철학> 우주를 움직이는 신비스러운 힘의 감지자인 신이나 존재의 궁극 원인과의 합일은 합리적 추론이나 정하여진 교리 및 의식의 실천을 통하여서는 이루어질 수 없고 초이성적 명상이나 비의(儀)를 통하여서만 가능하다고 보는 종교나 사상.
≒미스티시즘·신비론·신비설·신비학.
9. 실용주의(實用主義) [실제 실, 쓸 용, 주인 주, 뜻 의]
: <철학> 19세기 후반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실제 결과가 진리를 판단하는 기준이라고 주장하는 철학 사상. 행동을 중시하며, 사고나 관념의 진리성은 실험적인 검증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타당한 것이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제임스, 듀이 등이 대표적이다.
≒실제주의·프래그머티즘.
10. 역사주의(歷史主義) [겪을 역, 역사 사, 주인 주, 뜻 의]
1) 모든 사회 현상은 역사적 생성 과정에 있으며, 가치와 진리도 역사의 발전 과정 속에 나타난다고 하는 사상.
2) 사적 유물론에 바탕을 두어 역사 법칙을 절대시하는 태도.
11. 자연주의(自然主義) [스스로 자, 그러할 연, 주인 주, 뜻 의]
1) 정신 현상을 포함한 모든 현상을 자연의 산물로 생각하고, 자연 과학의 방법으로
이를 설명하려는 경향.
2) 도덕 현상을 인간의 본능·욕망·소질 따위의 자연적 요소에 근거하여 설명하려는 경향. 또는 도덕적 이상을 자연에 일치하는 생활에 있다고 주장하는 견해.
  • 가격7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2.27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