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의 개념
2. 교육의 내재적 목적
1) 지적 영역 - 지적 탁월성
(1) 합리성의 발달
(2) 비판적 사고의 발달
(3) 자율성의 발달
2) 정의적(도덕적) 영역 - 도덕적 탁월성들
3) 심미적 영역 - 미적 경험의 발달
3. 교육의 외재적 목적
1) 생계유지
2) 인적 자원의 양성
3) 사회개혁가 양성
4. 두 목적의 바람직한 관계
2. 교육의 내재적 목적
1) 지적 영역 - 지적 탁월성
(1) 합리성의 발달
(2) 비판적 사고의 발달
(3) 자율성의 발달
2) 정의적(도덕적) 영역 - 도덕적 탁월성들
3) 심미적 영역 - 미적 경험의 발달
3. 교육의 외재적 목적
1) 생계유지
2) 인적 자원의 양성
3) 사회개혁가 양성
4. 두 목적의 바람직한 관계
본문내용
로 우선 대상이 되어야 한다.
<<외재적 목적>>
- 현실적인 이익 때문에 대부분 교육의 목적을 외재적 목적에 우선하고 있다.
- 외재적 목적을 추구하는 교육은 학습자가 계속 학습하도록 자극하지 못하는데 문제가 있다. 목적이 성취되기 전까지는 지식과 이해에 대한 관심을 제공하지만, 목적이 성취되는 순간 그 관심이 사라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교육은 외재적 목적이 성취될 때까지만 이루어질 것이다.
- 현대사회는 교육의 내재적 목적보다는 외재적 목적 추구에 관심을 쏟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바꾸는 일이 쉽지 않다. 개혁을 위해서는 의식, 가치관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하고, 그 일은 교육이 담당하여야 한다.
- 교육의 내재적 목적을 끈기 있게 추구할 때 외재적 목적이 부수적으로 실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재적 목적>>
- 현실적인 이익 때문에 대부분 교육의 목적을 외재적 목적에 우선하고 있다.
- 외재적 목적을 추구하는 교육은 학습자가 계속 학습하도록 자극하지 못하는데 문제가 있다. 목적이 성취되기 전까지는 지식과 이해에 대한 관심을 제공하지만, 목적이 성취되는 순간 그 관심이 사라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교육은 외재적 목적이 성취될 때까지만 이루어질 것이다.
- 현대사회는 교육의 내재적 목적보다는 외재적 목적 추구에 관심을 쏟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바꾸는 일이 쉽지 않다. 개혁을 위해서는 의식, 가치관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하고, 그 일은 교육이 담당하여야 한다.
- 교육의 내재적 목적을 끈기 있게 추구할 때 외재적 목적이 부수적으로 실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천자료
대학원 교육학개론 요약
[교육학개론]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
[교육학개론]입시의 기능에 대해 논하시오.
[교육학개론] 고교평준화논쟁
[교육학개론] 철학의 연구영역의 이해 (존재론(ontology), 인식론(epistemology), 가치론(axi...
[교육학개론] 사회의 기능과 교육 (사회의 기능과 교육의 관계가 어떤 것인가?)
[교육학개론] 블룸(B. S. Bloom)의 완전학습을 위한 교수전략
[교육학개론] 잠재적 교육과정(manifest curriculum)의 이해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 실존주의 교육 - 실존주의의 철학적 배경, 실존주의의 인간관, ...
[교육학개론] 캐롤의 학교학습모형의 이해(학습자의 적성, 학습자의 수업 이해력, 학습자의 ...
[교육학개론] 교육의 사회적 기능(학교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
[교육학개론] 중세(中世)시대 서양교육의 이해 - 기독교 교육, 가사교육, 대학교육과 시민교육
[교육학개론] 민주적 교육행정의 원리 - 법제면에서 본 기본원리 및 운영면에서 본 기본원리,...
[교육학개론] 좋은 평가도구를 판단하는 기준인 신뢰도(reliability), 타당도, 객관도, 신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