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예의 사회 모습과 호신 숭배 신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동예의 사회 모습

동예의 호신숭배

본문내용

대한 제사는 읍락의 공동제전이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호신제에는 많은 읍락 구성원들이 참여했을 것이고 그래서 이때 읍락의 문제 전반이 논의되고 결정되었을 것이다. 공동의 제전에서 집단의 문제가 논의되는 사례는 많다. 동예의 호신제는 종교적 의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의미를 지닌 의례였다.
호신제에서는 읍락 전체의 풍요와 다산. 재액소멸이 기원되었을 것이고, 같은 신에 대해 같은 목적을 가지고 같은 읍락이 의례를 거행하여 읍락 구성원들로 하여금 공동의 가치관과 유대감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읍락 내부의 응집력을 강화하는 한편, 독자성과 배타성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기능하기도 하였다.
- 결론: 산신숭배- 읍락 단위의 사회질서 유지
동예에서 호랑이 산신의 기능은 읍락 내부적으로는 사회규범과 질서를 수호하고 구성원의 응집력을 뒷받침했으며, 읍락 외부적으로는 읍락의 생활권을 지켜주는 데 있었다. 그러므로 동예사회에서 읍락단위의 사회질서가 유지되는 데에는 산신숭배가 기여한 바가 컸다.
4. 호신숭배의 역사적 의미
삼국지 동이전이 전하는 동예의 모습은 씨족공동체적 유습이 잔존하고 있으면서도, 강력한 권력이 출현하여 제천의례를 지내는 등 국가로의 발전도 보인다. 이를 드러내주는 것이 종교이다. 동이전에 기록된 종교적 습속들 중에는 공동체적 사회관계의 유지를 옹호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 있는가 하면, 사회통합과 고대국가로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 있다고 볼 수 있다.
常用十月節祭天 晝夜飮酒歌舞 名之爲舞天 又祭虎以爲神
위의 기록은 동예의 제천행사와 관련된 구절이다. 동예에서는 매년 10월 하늘에 제사를 지내면서 밤낮으로 먹고 마시고 노래하고 춤을 추었는데 이를 ‘무천’이라고 한다. 동예에서 제천의식인 무천을 거행한 것은 동예가 수장사회(首長社會)에 도달해있었다는 뜻이다. 그러나 그 뒤를 이어 등장하는 호랑이를 신으로 삼아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은 수장사회 전 단계인 부족사회의 유습을 보여준다. 이런 해석이 가능한 이유는 동예의 읍락 공동체적 특성 때문이다. 책화에 관한 동이전 기록은 다음과 같다.
其邑落相侵犯 輒相罰責生口牛馬 名之爲責禍
읍락을 서로 침범하면 생구와 우마로서 죄를 묻는데 이것을 책화라 한다. 호랑이를 산신으로 생각하고, 각 읍락을 보호하는 개념으로 생각해본다면 다른 읍락의 영역을 침범하였을 때 그 지역 호산신(虎山神)에게 속죄의례를 지내는 것을 책화라고 할 수 있겠다.
금속문화가 유입되고 농업생산으로 전환이 이루어져 생산력이 증대되고 사회통합이 진전된 동예사회에서도 산신숭배는 여전히 사회질서를 뒷받침했다. 그러나 한국고대사회에서 호랑이를 산신으로 여겨 제사지낸 동예의 경우, 수장사회에서 초기국가 단계로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호산신(虎山神)으로 대표되는 전통적 읍락 공동체적 종교와 신앙은 발전을 막았다. 이러한 현상이 삼국지동이전에서 유독 예(濊)에 관한 기록에만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동예사회에 국가 이전단계의 사회적, 문화적 제약이 강했음을 반영한다.
5. 마무리
동예사회에서 호신숭배는 각 읍락의 동제(洞祭)에서 존경의 대상이자 두려움의 대상인 호랑이를 산신으로 여겨 제사지냈던 것으로 보인다. 산신은 마을의 경계를 지키는 동시에 농경과 수렵을 관장하는 신으로 모셔졌을 것이다. 또한 호신숭배를 고대국가의 발전단계와 연관시켜 생각해볼 때, 동이전에 등장하는 무천을 통해서는 동예사회가 국가로의 발전에 한걸음 나아간 수장사회 단계일 것이라 추측케 하지만, 호신(虎神)개념을 통해 씨족 공동체적, 읍락 공동체적 유습이 종교에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수장사회에서 초기국가로 발전해야할 동예사회에서 호신숭배는 발전을 저해했다는 것이다.
  • 가격2,9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6.25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