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관행 및 전통적인 태교와 유아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결혼관행

2. 전통사회에서 아동 발달 및 보육의 이해

3. 한국의 전통 태교

4. 한국의 전통적인 유아교육

본문내용

한다. 만약 옛날 우리 선조들이 인공유를 인공젖꼭지로 빨며, 곧이어 동생이 생겨서 엄마를 충분히 향유할 수도 없었고, 또 요즘처럼 핵가족제도로서 할머니와 함께 살 수 없는 환경에서 자랐었다면 김삿갓이 방랑의 멋을 즐기며, 떠돌며 시를 읊고 아무 집에서나 잠자리를 얻지도 못하였을 것이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주막집에서 생면부지의 사람들과 함께 등을 맞대고 하룻밤을 잘 수도 없었을 것이다.
할머니는 어머니보다 너그럽다. 경험이 적고 피가 뜨거워 실수와 혈기로 아기를 기르기 쉬운 어머니보다는 육아의 경험이 많고 그 경험으로부터 지혜를 터득한 할머니는, 조급하지 않고 아기의 이마만 짚어보아도 아기의 건강상태를 점칠 수 있을 만큼 반의사이다. 따라서 할머니는 배변훈련에서도 결코 서두르지 않고 여유 있는 태도, 관용 있는 태도를 취한다.
“애 하나 기르자면 똥가루 서 말을 먹어야 한다.”는 전래 속담이 곧 배변훈련에 대한 관용 있는 태도를 말해준다.
옛날의 대가족제가 육아에는 몇 가지 장점이 될 수 있는데, 그것은 집안의 어린이들이 어울려 놀 수 있었다는 점이다. 아이들은 저희들끼리 더 잘 배운다. 또 아이는 아이를 좋아한다. 보다 나이 먹은 조카가 어린 삼촌을 업어 키우며, 동생들을 거느리고 놀이를 즐기며, 이런 놀이에서 어린이는 어울리며, 고자질하며, 벌도 받으며, 비위 맞추고, 참고 억제하는 인생 공부를 하며 사회화 되어 간다. 즉, 어머니, 할머니라는 작은 세계에서 보다 큰 세계로 인간관계를 확대해 나간다.
또한 대가족제의 가정에서는 부모가 외출하거나 부재시라도 따스한 손길을 뻗쳐 줄 혈육으로서의 성인들이 있어서 어린이가 성취적인 행동을 보일 경우 이를 칭찬해주고, 실패할 경우 고쳐주고 격려해 줄 성인가족이 있기 때문에 이런 인적환경, 즉 심리환경 때문에 창의성이 더 발달하게 될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그리고 여러 성인들의 행동을 보고, 여러 가족들이 살아가는 모습에서 어린이 나름의 지혜가 발달하기도 한다.
〈 참고 문헌 〉
유안진 (1985). 『한국전통아동심리요법』. 서울: 일지사
유안진 (1981). 『가정유치원: 이상적인 엄마의 지혜로운 유아교육』. 서울: 보육사
유안진 (1989). 『인생대학. 아동교육론: 작은 나무가 고목될 때까지』. 서울: 금호서관
유안진 (1990). 『한국의 전통 육아 방식』. 서울대학교 출판부
유안진 외 2인 (1998). 『육아』. 방송 통신대학 출판부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6.26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7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