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황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지막 황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마지막 황제의 줄거리
2. 마지막 황제에 대한 배경지식
(1) 청조 말엽의 사회상
(2) 청일전쟁
(3) 중국의 근대화 과정
3. 마지막 황제와 실제역사와의 연관
4. 마지막 황제롤 본 후 감상 및 자신의 견해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서는 1930년대에 이 방면의 작품이 나왔는데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이기영(李箕永)의 《인간수업》이다. 주인공은 서재에서 인간수업을 하겠다는 어리석은 시도를 하며 자기가 철학서적에서 얻은 것을 사람들에게 설교한다. 그러나 이론보다 실제의 농촌생활에서 인간을 배운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 이 소설은 인텔리의 비현실적인 사고를 풍자하였다. 이 밖에도 채만식(蔡萬植)은 《사라지는 그림자》 《레디 메이드 인생》 《인텔리와 빈대떡》 등의 우수한 풍자소설을 썼으며 김유정(金裕貞)의 《금따는 콩밭》, 계용묵(桂鎔默)의 《백치 아다다》 등도 이 부류에 넣을 수 있는 작품이다. 풍자는 문학 ·회화 ·영화를 불문하고 퇴폐한 시기나 언론이 억압당하기 쉬운 시기에 걸작이 나오는 경향이 많으며 이로 인하여 정치나 세상 돌아가는 방향을 불건전에서 건전한 쪽으로 돌리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를 통해 민초(民草)들의 가슴을 후련하게 해준다거나, 질박(質朴) 질박―하다(質樸―·質朴―)[―바카―][형용사][여 불규칙 활용] 꾸밈이 없이 수수하다. 실박(實樸)하다. ¶질박한 모양의 조선 백자.
한 문체(文體)로 독자(讀者)의 가슴을 따뜻하게 해줄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고 본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마지막 황제는 매우 뛰어난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문자로 된 문학 작품이 아니지만, 그 매체만 다를 뿐 작자는 우리에게 당시의 사회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줌으로써, 또 다른 내일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 것이다.
4. 영화(映畵)롤 본 후 감상(感想)및 자신의 견해(見解)
이 영화를 본 후, 나에게 가장 크게 다가온 감정(感情)은 푸이에 대한 연민(憐愍)이었다. 그는 한 나라의, 그것도 역사상 동아시아의 맹주자리를 놓쳐본 적이 없는 중국이라는 자존심(自尊心)강한 나라의 원수가 서양 세력에 의해 무참히 무너져 내리며 번민(煩悶)에 빠지는 모습이 너무나 안쓰러웠다. 그는 전범(戰犯)으로 체포(逮捕)되어 징역(懲役)을 살았으며, 그 이후에 간신히 자유(自由)라는 대가를 얻어 질박하게 살다가 죽어갔다. 자금성 안에서 호의호식(好衣好食)의 극치(極値)를 보여주며 떵떵거리며 살 때와는 너무 다른 모습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중국이라는 나라의 근대화(近代化)니, 왕정의 붕괴(崩壞)니 하는 사실들이 학문(學文)을 하는 입장에서는 물론 중요하겠지만, 이 영화를 보는 관객(觀客)의 입장에서 볼 땐 그런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 나에게 푸이는 중국의 황제도 아니고 전범도 아니었다. 그는 단순히 어린 나이에 아무것도 모르고 황제에 앉혀졌다가 청나라의 몰락과 함께 무너지는 한 인간(人間)으로밖에 보이지 않았다.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場面)은 출소 후 다시 자금성을 찾은 푸이가 대사를 하는 장면이었다. 그의 대사는 바로 “표 한 장이요.”였다. 한때 자기가 살던 자신의 집이었던 자금성에 들어가기 위해 표를 구입해야 하는 그의 모습에서 영화 초반 푸이의 호화스러운 생활과 지금의 모습이 대비되면서 말로 표현하기 힘든 안타까움을 느꼈다.
나는 이 영화를 통해서, 역사물(歷史物)이니 정치물이니 하는 선입견(先入見)을 모두 버리고 정말 인간적(人間的)인 영화를 통해서도 정치, 역사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물론 감독이 중국을 폄하(貶下)하려는 의도를 다분히 가지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일이다. 영화 속의 중국은 무능하고, 부패했으며, 지나치게 보수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현재(現在)의 중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을 통해, 이미 근대화(近代化)의 경계(境界)를 뛰어넘었고, 21세기를 맞아 더욱 비약(飛躍)하는 모습을 통해 다시 한 번 세계를 놀라게 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의 중국은 분명 천하(天下)를 호령(號令)하며 동아시아의 군주(君主)역할을 하던 전성기의 중국과 분명히 다르다. 사회주의의 몰락으로 인해 경제수준이 낮고, 정치적으로 혼란한 그런 나라로 인식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중국의 오천년 역사는 아직 찬란하게 빛나고 있으며 다시 한 번 힘껏 뛰어오르기 위해 잠시 웅크리고 있을 뿐이다. 그것은 바로 그들의 역사가 깊고 그것을 본보기로 하여 앞으로 나아갈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서 밝혔듯, 중국의 근대화가 늦어졌다고 해서 그들이 완전 주저앉은 것은 아니다.
이 영화가 중국의 부흥(復興)을 위해 제작되어지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비록 푸이의 허무하고도 평화(平和)로운 죽음으로 영화가 끝이 난다고는 해도,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는 끊이지 않는다는 점일 것이다.
이 영화에 드러나는 청조(淸朝)의 몰락(沒落)은 비단 중국만의 문제가 아닐 것이다. 우리나라도 20세기 초까지 조선(朝鮮)의 왕정(王政)이 지속됐고, 2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함께 진정한 근대화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청조의 몰락과 조선의 몰락은 그 시기를 같이 하며, 그 과정 또한 굉장히 비슷하다. 나는 이 영화를 통해서 중국과 한국, 더 나아가서는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늦어진 근대화 문제에 대해 좀 깊이 생각해 보고 그것은 질적인 차이가 아닌, 출발시기가 달라서 오는 양적인 차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즉, 그것은 서양의 선진화된 문물과 그들의 문화(文化)가 무조건 좋다는 문화사대주의에 빠지기 보다는 각자의 개성에 맞는 문화와 그것들을 이어가는 전통을 소중히 하며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의 정신으로 앞으로 전진해가는 모습이 앞으로 우리가 취해야 할 방향이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건, 「철학과 문학비평, 그 비판적 대화」, 책세상, 2005
신재기, 「비평의 자의식」, 국학자료원, 2004
이상섭, 「문학비평용어사전(개정보증판)」, 민음사, 2006
이영선,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삼지원, 2006
정현숙, <문학교육과 문학비평>, 어문연구 (통권 제76호), 542~553쪽(총12쪽), 1992
제라르 델포 외, 「비평의 역사와 역사적 비평 (현대의문학이론 20)」, 문학과지성사, 1993
제레미 스미스, 안토니 루이스 지음, 김수진 옮김, 「마지막 황제 푸이」, 꼬마이실, 2004
피에르 바르베리 외, 민혜숙 옮김, 「문학비평방법론」, 동문선, 2007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6.29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7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