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란무엇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의 정의

2. 시의 특성

3. 시의 요소

4. 시의 갈래

5. 주체적 독자를 위하여

6. 일탈의 시학

7. 수수께끼의 시학

8. 그늘의 시학

9. 인지의 충격

10. 숨어있는 부호

11. 맹아적 힘

12. 시와 은유

13. 관습과 모티프



* 참고 도서

본문내용

워 보인다.
10. 숨어 있는 부호
1) 숨어있는 인용부호
모든 낱말에는 무수한 선인들이 발음하고 발언했다는 뜻에서 보이지 않는 인용부호가 숨어 있다. 사장된 보이지 않는 인용부호를 특정 문맥에서 되살려 시인은 자기 언어에 풍부한 암시성과 두겹 세겹의 울림을 더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때묻고 닳아빠진 말이 아무도 써보지 않은 슬프고 진한 어휘로 변용된다. 낯익은 것이 낯선 것으로 변하는 것이다.
11. 맹아적 힘
군소리가 배제된 간결한 이미지나 비유는 시에 고유한 맹아적 힘을 부여한다. 그리하여 고도의 암시성과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갖게 한다. 지난날의 장시가 너무나 많은 것을 얘기함으로써 스스로를 소모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면 서구 현대의 단시는 과묵의 맹아적 힘을 지향함으로써 지속적인 자기 충전을 실현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도 가능하다.
12. 시와 은유
문학언어 특히 시언어의 중요 특징의 하나는 은유를 비롯한 비유의 다채로운 등장이다. 언어와 문체를 의상이나 장식으로 간주하는 관점에서 본다면 비유언어는 특정 효과를 위한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일정한 성취를 이룬 작품에서 비유는 단순한 장식이 아님은 물론이다. 성공적인 경우 비유의 활용도 그것이 아니면 이루어낼 수 없는 유일성과 공유성을 획득하고 있다.
1) 의미론적 연관
(1) 구상화와 은유 : 추상적인 것에 구체성을 부여하며 신체적 특성을 부여하는 경우이다.
(2) 애니미즘 성향 은유 : 무생물에 대해서 생명 있는 것의 특징을 부여하는 은유
(3) 인간화 은유 : 인간 아닌 것에 인간의 특징을 부여하는 은유이다.
(4) 공감각적 은유 : 청각적 의미를 시각적인 의미로 옮겨 쓰는 것처럼 감각영역의 의미전이를 꾀하는 은유이다.
13. 관습과 모티프
1) 시조의 윤리
시조 근대화에 훨씬 과감하고 열의 있었던 시조시인의 경우에도 시조의 관습이 부과한 압력은 여전히 막중하였다.
옛 시조가 사랑의 표현에 옹색한 것도 옛 체제의 미풍양속에 순종한다는 시조 장르의 관습이 빚어낸 결과일 것이다.
2) 모티프
시인의 창조란 말이 어디까지나 과장된 은유임을 인지하게 되었다면 거기에 다시 되풀이 노래되고 처리되는 모티프를 고려할 때 시인 사이의 교호성과 의존성의 두께는 더 두꺼워짐을 깨닫게 된다.
* 참고 도서
ㆍ시란 무엇인가 - 경험의 시학. 유종호. 민음사(1997)
ㆍ동아대백과 사전. 동아출판(2002)
ㆍ시란 무엇인가. 강남주. 태학사(1999)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6.30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