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녀들의 수다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프로그램 소개

2. 멤버 소개

3. 성공비결

4. 문제점

5. 극복방안

본문내용

과거와 같은 일방적 소통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매체의 발달로 사람들은 각기 다른 공간 속에서도 한자리에서 말을 하는 것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신문의 독자투고란도 예전과 같은 지면 할당이 아닌, 온라인을 통한 동시적 관계를 갖게 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빠르게 전달하며, 다시금 빠르게 피드백 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되었다.
그것은 브라운관 프로그램도 마찬가지여서, 드라마의 경우를 보아서도 쉽게 알 수 있다. 한창 인기 절정인 드라마에 관해서는 인터넷 어디를 가더라도, 그것에 수없이 꼬리표를 내리고 있는 리플을 볼 수 있다. ‘누구를 죽이지 말아요’ 라는 식의 시청자들의 끊임없는 애정공세에 무너져 내리는 드라마의 결말부 이야기는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요즘의 시대상은 상호성을 쫓는 입장이기에 단지 교육방송과 같이 교육을 목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내리는 흐름은 외면받기 십상이다. 더욱이 점차 사람들의 개성이 강해지고 개인의 권리를 요구하기 때문에, 그들은 자신이 세상의 어떤 일이든지 한마디를 내뱉고 참여하고 싶어 한다.
때문에 앞선 드라마의 스토리라인 변경과 같은 시청자의 역할이 중대해지게 되었다. 이는 양날의 검이기는 하지만, 탈구조주의의 물결을 받은 현대인이라면 누구나가 체득하고 있을 상호성의 관계학이다.
작가는 죽었고, 외부의 목소리를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시대라면 오히려 그들을 이용하여 더욱 멋들어지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현명한 판단일 것이다. 때문에 요즘 텔레비전채널을 돌리다보면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것이 ‘시청자 코너’이다. 한례로 <개그 콘서트>의 마빡이는 UCC로 시청자의 참여로 끌어들여 많은 인기를 얻었다.
이처럼 시청자가 능동적으로 참여 할 수 있고, 시청자의 의견이 반영 된다는 것은 요즘 시대에서 놓쳐서는 안 될 부분이다. 더욱이 <미녀들의 수다>와 같이 외국인이 보는 한국인의 모습을 말하는 자리에서라면, 시청자의, 국민의 의견을 무시하고서는 얘기가 될 수 없다. 즉, 앙케이트를 이용한 시청자들의 참여라는 것은 <미녀들의 수다>라는 프로그램 자체와 맞물릴 수밖에 없는 한 세트와 같은 것으로, 이는 프로그램의 성공요인의 중요한 열쇠가 된다.
4. 문제점
1) 대중적 인기몰이
2) 시청자층이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포맷
3) 시청자들의 악의의 리플
4) 수준 낮은 패널
5. 극복방안
1) 프로그램 형식 변경
2) 패널의 교육과 교체
3) 한국인 중심주의 일탈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7.06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