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섹슈얼리티란?
2.광고
1) 성적 소구 이용 광고의 정의 및 특징
2) 성적 소구 이용 광고의 효과
3) 성적 소구 이용광고의 분류
4) 성적 소구 이용 광고의 장점과 단점
3.드라마
4.미스코리아
5.매스컴에서 보여지는 여성의 모습
1)성의 상품화
2)예쁜 여자만이 대우받는 외모 지상주의
3)성녀, 혹은 악녀로 비춰지는 여성
4)자제력, 책임감 없는 여성
6.부정적인 결과
7.매스컴의 문제점
8.매스컴이 나아가야할 길
2.광고
1) 성적 소구 이용 광고의 정의 및 특징
2) 성적 소구 이용 광고의 효과
3) 성적 소구 이용광고의 분류
4) 성적 소구 이용 광고의 장점과 단점
3.드라마
4.미스코리아
5.매스컴에서 보여지는 여성의 모습
1)성의 상품화
2)예쁜 여자만이 대우받는 외모 지상주의
3)성녀, 혹은 악녀로 비춰지는 여성
4)자제력, 책임감 없는 여성
6.부정적인 결과
7.매스컴의 문제점
8.매스컴이 나아가야할 길
본문내용
는 것이 그것이다.
4)청소년들에게 성에 대한 잘못된 시각을 갖게 한다.
<2003 광고 심의 세미나>에서 한국의 TV광고,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윤리에 대한 토론 중, 대전 시내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광고 중에 부모님과 함RP 보기 민망한 것들, 야한 광고들이 많다는 항목에 그렇다가 48%, (25.28%,22.30%)그렇지 않다가 19%에 그쳤다.
이 외에도 광고에는 마치 여자가 예뻐지는 것이 인생 최고의 목표 인 것처럼 보여준다.(찬50%반23%)광고에서 본 모습과 실제 우리가 사는 생활 간에는 차이가 있다.(찬 49%반16%)
이런 것을 보면 TV등의 언론 매체 등이 아동들에게 도덕성, 기본 생활 습관, 가치관과 자아 개념 등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성역할 등에 대한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기를 수 없다. 언론 매체 등에서 여성의 모습이 이렇게 그려진다면 아이들의 사고, 사회의 사고는 이렇게 흘러가게 될 수도 있다.
6)남녀평등, 양성평등이 불가능 하게 된다.
이렇게 여성을 인격체로 인식하지 않고 사물로 대한다면 남녀평등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7.매스컴의 문제점
방송매체는 시간이 흐를수록 사회에 끼치는 영향과 잠재적 사고의 판단 등에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 모범을 보여야 하는 매스컴이 왜곡된 성역할을 보이는 것은 큰 문제이다. 방송사의 시청률을 올려 돈을 버는 것, 그이상의 해가 사회에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상업성과 결합되어 성은 대량판매기법으로 이용되는 것도 문제가 있다. 매스컴도 종종 문란해진 성문제에 대해 다루기도 하고 문제를 지적하지만 실제로는 성을 자본주의적 상품가치로 가장 이용하고 있는 주체이다. 여성단체 등에서 아무리 성해방을 부르짖으며 운동을 해도 매스컴에서의 협력과 도움이 없다면 사회구성원들에게 올바른 사회적 가치관을 성립하게 하는 것은 힘든 일이 될 것이다.
8.매스컴이 나아가야할 길
1)성을 지나치게 상품화하지 말자
경제적인 부분들을 무시할 수 없지만, 이런 성적 소구를 지나치게 사용할 경우 많은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렇게 여성을 상품화하면 성추행, 성폭력 등 성범죄 등을 야기할 수 있다.
2)여성을 외모가 아닌 능력으로 평가하자
여성을 하나의 인격체로 인정하고 한 사람을 평가 할 때에는 능력위주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외모는 그 사람의 부분적인 요소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3)여성이 자기애를 갖게 하자
마돈나는 그녀 자신의 신체를 인정하고 타인에게도 인정하게 하면서 신체에 대한 자기애를 가짐으로써 사회적 주체성을 내보였다
그리고 전형적인 여성상을 패러디하고 가부장적 사고에 저항했다. 이러한 그녀의 생각들이 그녀의 팬들, 워나비 들의 생각과 실제적 사회위치도 변화 시켰다.
이런 점은 매스컴이나 연예인들이 배워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4)올바른 성교육을 하자.
매스컴은 잘못된 성문제와 성범죄만을 비판하지 말고 올바른 성교육을 통해서 바로잡아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5)다양한 성역할을 보여주자
사회는 여성을 주체성을 가진 인격체로 인정하고 기존의 고정관념들에서 벗어나 여성도 많은 것을 할 수 있고, 여성들이 다양한 분야에 진출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6)여자의 성을 내보이자
우리사회는 유교적 사상 등으로 여자의 성을 숨겨서 많은 폐해를 낳았던 것 같다. 여자의 성은 부끄러워 할 것도 아니며, 이용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숭고하고 아름다운 성으로써 사회가 인식하고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변화에 매스컴은 그 역할과 사명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4)청소년들에게 성에 대한 잘못된 시각을 갖게 한다.
<2003 광고 심의 세미나>에서 한국의 TV광고,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윤리에 대한 토론 중, 대전 시내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광고 중에 부모님과 함RP 보기 민망한 것들, 야한 광고들이 많다는 항목에 그렇다가 48%, (25.28%,22.30%)그렇지 않다가 19%에 그쳤다.
이 외에도 광고에는 마치 여자가 예뻐지는 것이 인생 최고의 목표 인 것처럼 보여준다.(찬50%반23%)광고에서 본 모습과 실제 우리가 사는 생활 간에는 차이가 있다.(찬 49%반16%)
이런 것을 보면 TV등의 언론 매체 등이 아동들에게 도덕성, 기본 생활 습관, 가치관과 자아 개념 등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성역할 등에 대한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기를 수 없다. 언론 매체 등에서 여성의 모습이 이렇게 그려진다면 아이들의 사고, 사회의 사고는 이렇게 흘러가게 될 수도 있다.
6)남녀평등, 양성평등이 불가능 하게 된다.
이렇게 여성을 인격체로 인식하지 않고 사물로 대한다면 남녀평등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7.매스컴의 문제점
방송매체는 시간이 흐를수록 사회에 끼치는 영향과 잠재적 사고의 판단 등에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 모범을 보여야 하는 매스컴이 왜곡된 성역할을 보이는 것은 큰 문제이다. 방송사의 시청률을 올려 돈을 버는 것, 그이상의 해가 사회에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상업성과 결합되어 성은 대량판매기법으로 이용되는 것도 문제가 있다. 매스컴도 종종 문란해진 성문제에 대해 다루기도 하고 문제를 지적하지만 실제로는 성을 자본주의적 상품가치로 가장 이용하고 있는 주체이다. 여성단체 등에서 아무리 성해방을 부르짖으며 운동을 해도 매스컴에서의 협력과 도움이 없다면 사회구성원들에게 올바른 사회적 가치관을 성립하게 하는 것은 힘든 일이 될 것이다.
8.매스컴이 나아가야할 길
1)성을 지나치게 상품화하지 말자
경제적인 부분들을 무시할 수 없지만, 이런 성적 소구를 지나치게 사용할 경우 많은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렇게 여성을 상품화하면 성추행, 성폭력 등 성범죄 등을 야기할 수 있다.
2)여성을 외모가 아닌 능력으로 평가하자
여성을 하나의 인격체로 인정하고 한 사람을 평가 할 때에는 능력위주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외모는 그 사람의 부분적인 요소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3)여성이 자기애를 갖게 하자
마돈나는 그녀 자신의 신체를 인정하고 타인에게도 인정하게 하면서 신체에 대한 자기애를 가짐으로써 사회적 주체성을 내보였다
그리고 전형적인 여성상을 패러디하고 가부장적 사고에 저항했다. 이러한 그녀의 생각들이 그녀의 팬들, 워나비 들의 생각과 실제적 사회위치도 변화 시켰다.
이런 점은 매스컴이나 연예인들이 배워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4)올바른 성교육을 하자.
매스컴은 잘못된 성문제와 성범죄만을 비판하지 말고 올바른 성교육을 통해서 바로잡아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5)다양한 성역할을 보여주자
사회는 여성을 주체성을 가진 인격체로 인정하고 기존의 고정관념들에서 벗어나 여성도 많은 것을 할 수 있고, 여성들이 다양한 분야에 진출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6)여자의 성을 내보이자
우리사회는 유교적 사상 등으로 여자의 성을 숨겨서 많은 폐해를 낳았던 것 같다. 여자의 성은 부끄러워 할 것도 아니며, 이용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숭고하고 아름다운 성으로써 사회가 인식하고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변화에 매스컴은 그 역할과 사명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매스컴의 역사와 과제에 대하여
(매스컴과 사회) 드라마 속 현실이 실제 현실에 미치는 영향- 그대를 알고부터
대중매체의 기능과 효과
신문과 저널리즘
인터렉티브(INTERACTIVE) TV에 대한 논의
한국 사회에서의 언론개혁
신문과 신문기사의 영향력과 문제점 및 대안(A+)
신문에 대한 고찰
[매스컴과 현대사회] 뉴미디어란 무엇인가? (What Is New Media ?)
캠페인의 성공요인 분석 ; 세이브 더 칠드런의 모자뜨기 캠페인과 타 캠페인의 비교분석을 통...
자원봉사의 활동영역
★정보관리의 중요성★.
팝업광고의 영향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