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담론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구담론의 내용

2. 구담론의 한계

3. 구담론의 허구(by필자)

4. 여성 노동의 실제(by필자)

5. 정치경제학자들의 담론

6. 고용주들의 담론

7. 남성 노조원들의 담론

8. 개혁가들의 담론

9. 사회주의 정당의 담론

본문내용

8. 개혁가들의 담론
19c 미국과 서유럽국가들은 제조업자들의 고용 관행을 규제하기 위해 개입을 늘렸는데 특히 그들이 약하고 의존적이라고 판단한 여성들에게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래서 노동자들의 근로 조건 일반을 개선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여성 노동자 문제에 대한 특수한 해결책으로 보호입법-여성의 야간 노동금지, 출산 휴가, 남녀작업장 분리-을 시행했다. 하지만 보호입법은 남성들이 압도적으로 많은 직종에 주로 적용되었다. 오히려 여성들의 주된 고용처인 노동분야가 상당수 제외되어서 프랑스의 경우 근로 여성의 75%정도가 이러한 입법의 혜택을 받지 못했다. 그리고 입법의 영향으로 여성들이 비규제 부문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속화되었고 남녀 노동자들의 분리가 강화되어 성적 분업이 확고해졌다. 개혁가들이 여성들의 ‘허약함’ ‘위험에의 노출‘ 등을 이유로 즉 여성을 시혜의 대상으로 여기고 개혁을 했다는 점에서 보호입법은 한계를 지닌다.
9. 사회주의 정당의 담론
사회주의 정당은 ‘유급출산휴가정책’ 등 여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면서 ‘가족 생활에 대한 자본주의의 약탈적 파괴를 교정해야 한다’ ‘자본주의는 여성과 아동을 가정 영역에서 끌어내어 생산 도구로 변모시키고 있다’ 등의 논리를 펼치는데 이는 진보적 프로그램마저 여성의 생산 활동을 오직 이차적인 것만으로 보는 관념에 호소함으로서 한계를 나타낸다.‘가정’ ‘모성’ ‘여성의 신체’ 등의 가치를 전제 또는 이용한 점에서 이들은 구담론을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여성 노동 자체는 유해하지 않다고 결론지은 사람들도 암묵적으로는 가사가 전업이 되어야 한다고 가정했던 것이다.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7.23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2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