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각 기억
주의와 감각 정보 처리
형태 재인
체제화에서의 게슈탈트 원리
주의와 형태 재인
맥락과 형태 재인
결론
주의와 감각 정보 처리
형태 재인
체제화에서의 게슈탈트 원리
주의와 형태 재인
맥락과 형태 재인
결론
본문내용
이 과정을 ‘하향적’ 과정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고차적 일반 지식이 저차적 지각 단위들의 해석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문장 맥락 효과
단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확률은 맥락의 양과 노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이것은 피험자들이 단어를 보다 잘 파악하기 위해 문장 맥락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맥락과 말
말의 지각에도 역시 맥락(context)의 역할이 존재한다.
실험에 의하면 피험자들은 정상적(문법적)인 문장을 비정상적인(문법은 맞으나 의미가 통하지 않는) 문장보다, 그리고 비정상적인 문장을 비문법적(단어들의 무선적 나열)인 문장보다 더 정확히 지각하였다. 이 결과들은 피험자들이 의미적 제약(정상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것의 차이)과 문법적 제약(비정상적인 것과 비문법적인 것의 차이)을 써서 말의 지각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맥락과 얼굴 및 장면 재인
보다 복잡한 시 자극은 어떻게 지각되는가? 언어 재료를 취급할 때, 사람들은 과잉 학습된 형태를 처리한다. 과잉 학습된 다른 형태, 즉 얼굴과 같은 형태를 처리할 때에도 언어 자극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세부 특징과 맥락 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결론
매순간 방대한 양의 감각 정보가 지각 체계로 들어옴으로, 지각 체계는 제한된 자원만을 갖고서 이 많은 정보를 처리해야 하는 문제에 당면한다. 지각 체계는 형태 재인기와 몇몇 기본적인 형태주의 체제화의 원리를 감각 입력을 구성하는데 활용한다. 형태 재인기는 낯익은 전체 형태를 파악할 때 감각적 세부 특징과 맥락 정보를 조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각은 환경으로부터 오는 빛이나 소리같은 에너지에서 시작된다. 망막에 있는 것과 같은 수용기들은 이러한 에너지를 신경 정보로 바꿔 준다. 초기의 감각 정보 처리는 정보를 대략 의미있게 만드는데 관심이 있다. 감각 체계의 출력은 자극의 세부 특징에 대한 기술과 이 자극들을 단위 혹은 묶음들로의 분절이다. 초기의 분절화가 진행될 때 이미 게슈탈트 원리들이 작용한다. 세부 특징의 묶음으로 표상된 자극이 영사 및 반향 기억과 같은 감각 기억에 저장되어 있다. 형태 재인기는 세부 특징의 묶음들을 파악하려 한다. 형태 재인 과정은 주의를 요구하는데, 특히 낯선 형태의 경우에는 주의를 더 요구한다.
<출처>
이영애 역(1993). 인지심리학(J.R.Anderson,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 서울:을유문화사.
문장 맥락 효과
단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확률은 맥락의 양과 노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이것은 피험자들이 단어를 보다 잘 파악하기 위해 문장 맥락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맥락과 말
말의 지각에도 역시 맥락(context)의 역할이 존재한다.
실험에 의하면 피험자들은 정상적(문법적)인 문장을 비정상적인(문법은 맞으나 의미가 통하지 않는) 문장보다, 그리고 비정상적인 문장을 비문법적(단어들의 무선적 나열)인 문장보다 더 정확히 지각하였다. 이 결과들은 피험자들이 의미적 제약(정상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것의 차이)과 문법적 제약(비정상적인 것과 비문법적인 것의 차이)을 써서 말의 지각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맥락과 얼굴 및 장면 재인
보다 복잡한 시 자극은 어떻게 지각되는가? 언어 재료를 취급할 때, 사람들은 과잉 학습된 형태를 처리한다. 과잉 학습된 다른 형태, 즉 얼굴과 같은 형태를 처리할 때에도 언어 자극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세부 특징과 맥락 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결론
매순간 방대한 양의 감각 정보가 지각 체계로 들어옴으로, 지각 체계는 제한된 자원만을 갖고서 이 많은 정보를 처리해야 하는 문제에 당면한다. 지각 체계는 형태 재인기와 몇몇 기본적인 형태주의 체제화의 원리를 감각 입력을 구성하는데 활용한다. 형태 재인기는 낯익은 전체 형태를 파악할 때 감각적 세부 특징과 맥락 정보를 조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각은 환경으로부터 오는 빛이나 소리같은 에너지에서 시작된다. 망막에 있는 것과 같은 수용기들은 이러한 에너지를 신경 정보로 바꿔 준다. 초기의 감각 정보 처리는 정보를 대략 의미있게 만드는데 관심이 있다. 감각 체계의 출력은 자극의 세부 특징에 대한 기술과 이 자극들을 단위 혹은 묶음들로의 분절이다. 초기의 분절화가 진행될 때 이미 게슈탈트 원리들이 작용한다. 세부 특징의 묶음으로 표상된 자극이 영사 및 반향 기억과 같은 감각 기억에 저장되어 있다. 형태 재인기는 세부 특징의 묶음들을 파악하려 한다. 형태 재인 과정은 주의를 요구하는데, 특히 낯선 형태의 경우에는 주의를 더 요구한다.
<출처>
이영애 역(1993). 인지심리학(J.R.Anderson,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 서울:을유문화사.
추천자료
신체상 변화 지각의 민감도 차이와 주요인 탐구
각 영역별 검사도구 요약표 (지능, 언어, 학습, 정서 및 행동, 지각 및 운동, 적응행동, 영유...
[지각][지각의 인지적 접근][지각의 메커니즘][지각의 사례][지각의 훈련]지각의 개념, 지각...
지각
아동의 인지발달과 지각의 이해
[A+] 소비자 지각에 대한 조사보고서 소비자행동 지각의 개념 지각과 마케팅전략 지각도 ...
감각과 지각
대인 지각과 귀인 (지각, 대인지각 인상형성, 대인지각 정보처리, 귀인).PPT자료
지각(Perception),지각이관광자행동에미치는영향,지각마케팅,지각마케팅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