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향가의 구분----->민요격과 사뇌격--->4구체 향가를 민요격 향가로, 8구체와 10구체(특히 10구체)향가를 사뇌격 향가로 볼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2. 시조의 기원----->시조발생의 근원은 고려가요인가 사뇌가 장르인가?
⇒ 두 가지 견해
(1) 시조가 고려가요의 발전된 형태라고 보는 견해
(2) 시조가 사뇌가적 전통의 계승이라고 보는 견해
⇒ (1)번 견해 비판
⇒ (2)번 견해 부연----->시조의 구조적 특성
⇒ 시조의 발전과정
3. 고려시대의 가요장르----->시조라는 형식이 주요 장르로 자리잡기까지 존재했던 고려시대의 가요장르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 이들 사이의 주도권 싸움으로 시기마다 주요 장르가 결정되었다고 표현할 수 있겠다.
---------------------------------*
논문에 대한 평가
2. 시조의 기원----->시조발생의 근원은 고려가요인가 사뇌가 장르인가?
⇒ 두 가지 견해
(1) 시조가 고려가요의 발전된 형태라고 보는 견해
(2) 시조가 사뇌가적 전통의 계승이라고 보는 견해
⇒ (1)번 견해 비판
⇒ (2)번 견해 부연----->시조의 구조적 특성
⇒ 시조의 발전과정
3. 고려시대의 가요장르----->시조라는 형식이 주요 장르로 자리잡기까지 존재했던 고려시대의 가요장르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 이들 사이의 주도권 싸움으로 시기마다 주요 장르가 결정되었다고 표현할 수 있겠다.
---------------------------------*
논문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문화적 관록에 의해 얼마나 고양되고 있는가에 따라 높은 장르(high genre)와 낮은 장르(low genre)의 등급을 매길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인간의 이상과 소망의 반영 정도에 따라 장르를 이분한 것이라는 점에서 높은 장르라는 명칭 대신에 ‘높은 모방 장르’, 낮은 장르라는 명칭 대신에 ‘낮은 모방 장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 아닐까 한다. 왜냐하면 높은 장르와 낮은 장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문학을 높고 낮음으로 표현한 것은 자칫 이상적인 것은 고상한 문학이고 현실적인 것은 천박한 문학이라는―작자가 의도하지 않은 빗나간― 인상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김병국, 「시조 발생의 문학사적 의의」, 『한국 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출처] 김병국, 「시조 발생의 문학사적 의의」, 『한국 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키워드
추천자료
동학발생의 사회적배경
동학발생의 사회적배경
[개화기문학론] 개화기 시조 및 한시 소개 및 특징
노인문제의발생원인과해결및정책방안
[현대문학사]「동백꽃」의 문학사적 의의
조명희 - 작가의 평가, 문학사적 의의
[A+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발생원인과 대처방안 및 아동학대의 발생 감소시키기 위한 개인, ...
한국 중세문학 조선시대문학의 배경, 한국 중세문학 조선전기문학과 조선후기문학, 한국 중세...
고산 윤선도 연구 - 생애, 시대적 배경, 문학관, 작가 및 작품론적 연구, 작품연구, 시조작품론
최서해의 탈출기와 홍염을 중심으로 한 신경향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재고관리][재고관리 모형][재고관리 시스템][재고관리 품목구성][재고관리 발생비용]재고관...
발생주의 예산회계제도에 대한 각국의 사례 및 현황
[한국문학사] 조선 전기문학의 특징 - 『조선 전기의 특징』, 『조선 전기의 시조』, 『조선 ...
청구영언을 통해 살펴본 사대부와 여항인의 시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