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태평천하의 등장 인물
2. 삼대의 등장인물
3. \'삼대\'와 \'태평천하\'의 차이점
4. 염상섭과 채만식의 문체상 특징
2. 삼대의 등장인물
3. \'삼대\'와 \'태평천하\'의 차이점
4. 염상섭과 채만식의 문체상 특징
본문내용
습다고 비웃지만 독자들은 그 비웃음이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한 장치의 하나일 뿐임을 깨달을 수 있다. 이렇게 자기가 하고자 하는 말을 반어법을 사용하여 나타냄으로써 일제사회를 꼬집고 비판한 채만식 특유의 풍자로 볼수 있다.
염상섭은 민족주의자로서 보수주의적 입장을, 채만식은 사회주의자로서 진보적 입장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세계관의 차이는 소설 속의 등장 인물인 덕기와 종학을 통해 구현된다는 것이 바로 필자의 주장의 핵심이다. 즉, 사회주의 운동에 적극 투신하는 종학과 그것에 대해 유보적 입장을 취하는 덕기는 두 작가의 이념적 태도를 충실하게 대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이 평론은 작품의 실증적 분석에 의해 작가의 세계관과 등장 인물의 성격을 일 대 일 대응 관계로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염상섭은 민족주의자로서 보수주의적 입장을, 채만식은 사회주의자로서 진보적 입장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세계관의 차이는 소설 속의 등장 인물인 덕기와 종학을 통해 구현된다는 것이 바로 필자의 주장의 핵심이다. 즉, 사회주의 운동에 적극 투신하는 종학과 그것에 대해 유보적 입장을 취하는 덕기는 두 작가의 이념적 태도를 충실하게 대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이 평론은 작품의 실증적 분석에 의해 작가의 세계관과 등장 인물의 성격을 일 대 일 대응 관계로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