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특수교육의 최근 동향
2. 정신지체아교육의 최근 동향
2. 정신지체아교육의 최근 동향
본문내용
ance와 Bashinski,2002)고 하고 있습니다.
가. 교육 과정의 계획 단계
교육 과정이 보다 더 보편적 양식이 되어 지식이나 기술의 표현 방법이 제한되지 않고, 내용을 접하며 질문하고 교재를 활용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지식을 상호 교환하는데 보다 초점을 둡니다.
나. 개별화 교육 단계
교육 과정의 수정을 위해 보조기기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단계로, 기존 교육 과정에 학생을 적응시키고, 자기 조정적 방략 교수를 통해 교육 과정을 보완하고, 기능적 기술과 같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첨가하며, 일반 교육 과정의 내용을 생략하고, 대체 교육 과정을 도입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습니다.
다. 교육 과정의 보편적 구성과 개별화된 교수 방략의 제안
교육 과정 내용의 이해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을 허용하고, 과제 수를 줄이는 방법, 시험 회수를 줄이는 방법, 예,아니오의 진위형에서 탈피하여 주관적 평가에 이르는 다양한 질문의 단계적 사용이 고안될 수 있습니다.
교수 과정에 있어서는 모델링, 역할 극, 시각적 단서 사용 같은 방법도 모든 학생들에게 차별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교수 과정에 해당됩니다. 협력 학습, 또래 교수와 같은 소집단 교수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 교육 과정의 접근은 환경적 수정을 통한 교수 과정의 차별화를 통해 더욱 용이해 질 수 있습니다. 조명, 소음 수준, 이동성은 생태학적 수정의 예가 될 수 있습니다. 또, 문제 행동에 대한 정적 지원 즉, 장애학생에 대한 공격, 자해와 같은 문제 행동에 대한 방략으로 적절한 행동의 획득과 유지를 위해 문제 행동이 유발하기 전에 대체 행동을 가르치고, 문제 행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조절해 주는 것도 포함됩니다.
라. 4, 5단계는 소집단 및 개별화된 중재의 단계
대체 교육 과정이 필요하지만 가능한 일반 교육 과정에서 유추된 활동과 중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통합 교육에서 교육 과정은 비장애인 학교 교육 과정과 유사한 교재 및 활동이 되게 하고, 장애 학생의 실수를 허용하며, 능력과 흥미도 고려되어야 하며 단계적 학습 안내를 통해 정보 처리의 양적, 질적 수준이 장애 학습자가 학습에서 성공을 확신할 수 있도록 일반 학교에서 도와주어야 할 것입니다.
'올바른 성, 누려야 할 성'-장애우 '성재활 교실' 운영[뉴시스 2007-06-12 17:41]
울산 동구보건소는 선천적인 장애청소년들에 대한 성장기 성교육은 물론 후천적 장애우들의 건전한 성문화 형성을 위해 '장애우 성재활교실'을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교육 프로그램은 장애아동 부모 및 관련시설 종사자 교육, 정신지체 장애인 성교육, 뇌병변 장애인 성재활 등이다.
홍정련 울산 장애인 성폭력 상담센터 소장이 교육자로 나서 14일 오전 10시 동구 일산동 은빛문화원 4층 대강당에서 청소년기 장애아동의 건전한 성문화 정착을 위한 상담교육을 다양한 사례를 곁들여 강의한다.
오는 28일에는 부모와 관련 종사자들을 상대로 상담한다.
이와 함께 정신지체 장애인 성교육이 다음달 3일부터 26일까지 복지단체인 '희망울타리' 내 사무실에서 총 10회에 걸쳐 열린다.
동구보건소 관계자는 "장애 특수성에 맞는 맞춤형 성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우들이 심리적 자신감을 되찾아 건강한 사회인으로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초등 특수학급 교육여건 개선 - 교육부, 108억 지원키로 … 소프트웨어 등 구입
[내일신문 2007-06-07 17:27]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108억원이 지원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올해 3892개 초등학교 특수학급을 대상으로 교육용 소프트웨어와 보조공학기기를 보급해 정보격차를 해소하고, 장애학생의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해 108억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특수교육 여건 개선사업은 2005년 시작돼 중·고교 과정을 설치한 122개교에 직업교육용 교재·교구 구입비와 일반유치원 중 특수교육 대상유아가 배치된 953개 유치원에 특수교육용 교재·교구 구입비로 총 69억1900만원을 지원했다.
2006년에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13개교, 청각장애 특수학교 19개교, 지체부자유·정신지체·정서장애 특수학교 105개교, 유치원·중등 특수학급 1304개 학급에 교재교구 및 보조공학기기 구입비로 총 144억6900만원을 지원했다.
교육부는 나아가 올해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를 지원하기로 하고, 설치·운영 중인 특수학급 수를 기준으로 1학급당 276만5000원을 시·도교육청별로 지원한다.
이번에 지원되는 예산은 특수학급에 필요한 교과학습용 소프트웨어, 개별화교육을 위한 학습용 소프트웨어, 교무업무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을 구입하는데 사용된다. 또 특수학급에 중증 장애학생이 들올 경우, 언어학습 및 훈련을 위한 보조공학기기와 기타 장애인용 보조공학기기 등도 구비할 예정이어서 교육성과와 정보격차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장애특성상 특수학급에서의 개별화교육을 위해서는 적정 수량의 교육용 소프트웨어와 보조공학기기 구비가 필요하다”며 “ 특수학급 예산이 부족해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었으나 올해 예산지원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수-학습 여건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교육 여건 개선과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시·도교육청에서도 장애특성에 적합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보급을 위해 적극적으로 예산을 확보해 지원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출처>
http://edu.kbgsed.go.kr
http://blog.naver.com/susugirls?Redirect=Log&logNo=40036179584
http://blog.naver.com/onlyonepixie/20004571365
http://blog.daum.net/365-1105/10281067
http://blog.naver.com/16january?Redirect=Log&logNo=13224651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3&article_id=0000450907§ion_id=102&menu_id=102
가. 교육 과정의 계획 단계
교육 과정이 보다 더 보편적 양식이 되어 지식이나 기술의 표현 방법이 제한되지 않고, 내용을 접하며 질문하고 교재를 활용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지식을 상호 교환하는데 보다 초점을 둡니다.
나. 개별화 교육 단계
교육 과정의 수정을 위해 보조기기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단계로, 기존 교육 과정에 학생을 적응시키고, 자기 조정적 방략 교수를 통해 교육 과정을 보완하고, 기능적 기술과 같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첨가하며, 일반 교육 과정의 내용을 생략하고, 대체 교육 과정을 도입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습니다.
다. 교육 과정의 보편적 구성과 개별화된 교수 방략의 제안
교육 과정 내용의 이해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을 허용하고, 과제 수를 줄이는 방법, 시험 회수를 줄이는 방법, 예,아니오의 진위형에서 탈피하여 주관적 평가에 이르는 다양한 질문의 단계적 사용이 고안될 수 있습니다.
교수 과정에 있어서는 모델링, 역할 극, 시각적 단서 사용 같은 방법도 모든 학생들에게 차별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교수 과정에 해당됩니다. 협력 학습, 또래 교수와 같은 소집단 교수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 교육 과정의 접근은 환경적 수정을 통한 교수 과정의 차별화를 통해 더욱 용이해 질 수 있습니다. 조명, 소음 수준, 이동성은 생태학적 수정의 예가 될 수 있습니다. 또, 문제 행동에 대한 정적 지원 즉, 장애학생에 대한 공격, 자해와 같은 문제 행동에 대한 방략으로 적절한 행동의 획득과 유지를 위해 문제 행동이 유발하기 전에 대체 행동을 가르치고, 문제 행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조절해 주는 것도 포함됩니다.
라. 4, 5단계는 소집단 및 개별화된 중재의 단계
대체 교육 과정이 필요하지만 가능한 일반 교육 과정에서 유추된 활동과 중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통합 교육에서 교육 과정은 비장애인 학교 교육 과정과 유사한 교재 및 활동이 되게 하고, 장애 학생의 실수를 허용하며, 능력과 흥미도 고려되어야 하며 단계적 학습 안내를 통해 정보 처리의 양적, 질적 수준이 장애 학습자가 학습에서 성공을 확신할 수 있도록 일반 학교에서 도와주어야 할 것입니다.
'올바른 성, 누려야 할 성'-장애우 '성재활 교실' 운영[뉴시스 2007-06-12 17:41]
울산 동구보건소는 선천적인 장애청소년들에 대한 성장기 성교육은 물론 후천적 장애우들의 건전한 성문화 형성을 위해 '장애우 성재활교실'을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교육 프로그램은 장애아동 부모 및 관련시설 종사자 교육, 정신지체 장애인 성교육, 뇌병변 장애인 성재활 등이다.
홍정련 울산 장애인 성폭력 상담센터 소장이 교육자로 나서 14일 오전 10시 동구 일산동 은빛문화원 4층 대강당에서 청소년기 장애아동의 건전한 성문화 정착을 위한 상담교육을 다양한 사례를 곁들여 강의한다.
오는 28일에는 부모와 관련 종사자들을 상대로 상담한다.
이와 함께 정신지체 장애인 성교육이 다음달 3일부터 26일까지 복지단체인 '희망울타리' 내 사무실에서 총 10회에 걸쳐 열린다.
동구보건소 관계자는 "장애 특수성에 맞는 맞춤형 성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우들이 심리적 자신감을 되찾아 건강한 사회인으로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초등 특수학급 교육여건 개선 - 교육부, 108억 지원키로 … 소프트웨어 등 구입
[내일신문 2007-06-07 17:27]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108억원이 지원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올해 3892개 초등학교 특수학급을 대상으로 교육용 소프트웨어와 보조공학기기를 보급해 정보격차를 해소하고, 장애학생의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해 108억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특수교육 여건 개선사업은 2005년 시작돼 중·고교 과정을 설치한 122개교에 직업교육용 교재·교구 구입비와 일반유치원 중 특수교육 대상유아가 배치된 953개 유치원에 특수교육용 교재·교구 구입비로 총 69억1900만원을 지원했다.
2006년에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13개교, 청각장애 특수학교 19개교, 지체부자유·정신지체·정서장애 특수학교 105개교, 유치원·중등 특수학급 1304개 학급에 교재교구 및 보조공학기기 구입비로 총 144억6900만원을 지원했다.
교육부는 나아가 올해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를 지원하기로 하고, 설치·운영 중인 특수학급 수를 기준으로 1학급당 276만5000원을 시·도교육청별로 지원한다.
이번에 지원되는 예산은 특수학급에 필요한 교과학습용 소프트웨어, 개별화교육을 위한 학습용 소프트웨어, 교무업무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을 구입하는데 사용된다. 또 특수학급에 중증 장애학생이 들올 경우, 언어학습 및 훈련을 위한 보조공학기기와 기타 장애인용 보조공학기기 등도 구비할 예정이어서 교육성과와 정보격차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장애특성상 특수학급에서의 개별화교육을 위해서는 적정 수량의 교육용 소프트웨어와 보조공학기기 구비가 필요하다”며 “ 특수학급 예산이 부족해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었으나 올해 예산지원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수-학습 여건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교육 여건 개선과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시·도교육청에서도 장애특성에 적합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보급을 위해 적극적으로 예산을 확보해 지원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출처>
http://edu.kbgsed.go.kr
http://blog.naver.com/susugirls?Redirect=Log&logNo=40036179584
http://blog.naver.com/onlyonepixie/20004571365
http://blog.daum.net/365-1105/10281067
http://blog.naver.com/16january?Redirect=Log&logNo=13224651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3&article_id=0000450907§ion_id=102&menu_id=102
추천자료
(프로포절) 성인 정신지체 장애인의 성의식 개선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사업명 : 표현하...
정신지체인의 전환교육과 평생교육
정신지체장애인(지적장애인)의 성과 성교육
[수업지도안][학습지도안][특수학교 정신지체 고등부 식목일 지도안][지도안]특수학교 정신지...
(프로그램) 성교육을 통한 정신지체 청소년의 올바른 성인식 확립 프로포절
[특수교육]지체부자유
특수아동 정신지체)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3/5) 121> 5. 생활 속의 측정 (시계알기(1)) ...
중증중복장애아, 언어장애아, 청각장애아, 자폐성장애아, 정신지체아, 지적장애아, 지체부자...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개념, 분류,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중요성, 한국 전통민속놀이와 학습활...
발달장애 자폐 (정신지체 장애-분류·원인·특성 & 발달장애(자폐증) 정의·분류·원인·특성·...
시각장애인과 지체 장애인의 특수교육
[수업지도안][특수교육 사회과 교수계획안] 지체장애아 교육 - 지체장애아 중학교 2학년 수업...
정신지체아와 행동장애아의 정의(개념), 특징(특성), 교육방법
정신지체(지적장애), 학습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교육 방안에 대하여 ...